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04614 | 522.1 한17ㅎ v. 상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20319s2003 ulk 001a korIA
056 ▼a522.1▼24
090 ▼a522.1▼b한17ㅎ
110 ▼a농림부
24500▼a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▼d농림부▼e한국농촌경제연구원 [공편]▼n상
260 ▼a서울▼b한국농촌경제연구원▼c2003.
300 ▼axⅲ, 832 p.▼c26 cm.
50010▼a상권은 1901~1945, 하권은 1945~2000
504 ▼a색인 수록
710 ▼a한국농촌경제연구원
710 ▼a농림수산식품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710 ▼a농림수산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4614
9501 ▼a비매품
[상권]
제1편 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 개관
제1장 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의 범위와 시각
제1절 「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」의 범위 = 3
제2절 편찬 시각과 구성 = 6
제2장 근대 한국 농업·농촌의 변화
제1절 조선 후기 농촌사회의 재생산구조 = 10
제2절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 구축과 농업·농촌 = 25
제3절 공황과 전시체제하의 농업·농촌 = 63
제3장 현대 한국 농업·농촌의 변화
제1절 해방·전쟁·복구기의 농업·농촌 = 103
제2절 고도 경제성장기의 농업·농촌 = 123
제3절 개방화 시기의 농업·농촌 = 154
제2편 조선 후기 농촌사회의 재생산구조
제1장 체제, 구조의 속성
제2장 조선후기의 사회경제구조
제1절 기층의 관계들 = 185
제2절 생산조직 = 199
제3절 재분배구조 = 224
제4절 향촌구조 = 249
제3장 변화와 저항
제1절 세계자본주의의 침입과 조선의 대응 = 267
제2절 사회구조의 동요 = 269
제3절 변화를 향하여 = 277
제3편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 구축과 농업·농촌
제1장 식민지 시기의 역사적 위상과 역할
제1절 식민지 시기의 시작 = 287
제2절 식민지 시기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= 291
제3절 식민지 시기의 시기 구분 = 294
제2장 일제의 농업이민과 식민지 농업기구의 구축
제1절 일제의 대한 농업이민 추진 배경 = 301
제2절 일본인 농업이민의 전개와 동양척식회사 = 313
제3절 식민지 지배를 위한 기초시설 = 331
제4절 식민지 농업기구의 구축 = 335
제3장 근대적 토지소유제도와 지세제도의 확립
제1절 광무 양전·지계 사업과 국유지 문제 = 369
제2절 통감부의 징세제도 개혁과 국유지 조사 = 383
제3절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실시 = 396
제4절 과세지가제의 성립 = 426
제4장 식민지지주제의 형성과 농가경제의 피폐
제1절 1910년대의 농업정책 = 443
제2절 산미증식계획의 실시와 미곡생산의 증대 = 459
제3절 식민지지주제의 형성과 농가경제의 피폐 = 485
제4편 공황과 전시체제하의 농업·농촌
제1장 농업공황과 농가경제의 동요
제1절 농산물 가격 폭락과 농민의 궁핍 = 547
제2절 지주경제의 강화 = 553
제3절 소작쟁의의 격화 = 557
제2장 농업공황과 조선미 · 일본미의 마찰
제1절 미곡조사회의 조선미 통제를 둘러싼 논의 = 564
제2절 농림성의 식민지미에 대한 인식 = 571
제3절 조선미 통제를 둘러싼 농림성과 식민지의 대립 = 573
제4절 미곡통제법 제정과 조선미 이입통제 = 577
제5절 미곡통제법의 보강책 = 583
제3장 산미증식계획의 중지
제1절 농업공황하의 미곡생산정책 = 598
제2절 미곡검사의 국영화 = 606
제3절 미곡저장정책과 농업창고 = 608
제4절 산미증식계획의 중지 = 615
제4장 농업공황과 농지정책의 적극화
제1절 1928년의「소작문제조사요강」과「소작관행 개선에 관한 건」= 625
제2절 자작농지설정사업 = 630
제3절 「조선소작조정령」= 640
제4절 「조선농지령」= 645
제5절 소작조정과 농촌통제 = 660
제5장 농촌진흥운동의 전개와 농가경제
제1절 대공황과 농촌의 위기 = 669
제2절 농촌궁핍의 실상과 원인 = 672
제3절 농촌진흥운동의 전개과정 = 675
제4절 「농가갱생계획」의 실적 및 효과 = 682
제5절 농촌진흥운동의 평가 = 705
제6장 전시체제하의 식량정책
제1절 1939년 대가뭄과 농가의 궁핍 = 708
제2절 전시체제하 일본의 미곡수급 사정 = 711
제3절 전시체제하 미곡통제의 강화 = 714
제4절 전시체제하 식량증산정책 = 719
제7장 전시체제와 농업통제 강화
제1절 농가단위 계획에서 부락단위 계획으로 전환 = 728
제2절 농촌노동력 동원 = 732
제3절 식량공출과 촌락 = 737
제4절 농지 통제 강화 = 742
제5절 농촌재편성 계획 = 747
제8장 농업생산구조의 변화
제1절 농업생산요소의 변화 = 756
제2절 주요 농산물의 생산량 변화 = 764
제9장 농업 관련 행정·연구조직 변천
제1절 농업 관련 중앙행정조직 = 775
제2절 농업 관련 지방행정조직 = 785
제3절 농업시험장 조직의 변천 = 787
찾아보기 = 795
편찬위원 = 829
편찬사무국 = 829
집필위원·감수위원 = 829
[하권]
제5편 해방·전쟁·복구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서론
제1절 50년대 한국농업·농촌을 보는 각도 = 833
제2절 미국의 대한 경제정책 = 838
제3절 농지개혁과 농업·농촌 = 847
제4절 한국전쟁과 농업·농촌 = 848
제5절 낮은 공업화 수준 = 854
제2장 농지개혁
제1절 농지개혁의 배경 = 859
제2절 농지개혁법의 입법과정과 내용 = 872
제3절 농지개혁의 추진결과 = 877
제4절 농지개혁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 = 890
제5절 1950년대 자작농체제와 소작제 = 898
제3장 미국 잉여농산물 원조와 영향
제1절 개설 = 908
제2절 잉여농산물의 도입 배경 = 910
제3절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= 916
제4절 미국 잉여농산물 원조의 영향 = 926
제4장 농업생산의 정체와 식량부족
제1절 농업생산의 완만한 성장 = 947
제2절 농업생산요소의 취약성 = 961
제5장 저농산물가격과 전근대적 유통
제1절 물가안정과 저농산물가격정책 = 978
제2절 해방후 혼란기(1945-1949)의 양곡관리와 유통 = 982
제3절 1950년대의 미곡 부분통제와 저농산물가격 = 992
제4절 청과물시장과 유통 = 998
제6장 농가경제의 피폐
제1절 해방 직후의 농가경제 = 1002
제2절 한국전쟁 직후 농촌의 빈곤 = 1005
제3절 1950년대 농촌의 피폐 = 1025
제4절 농어촌고리채 정리사업 = 1040
제7장 과도기의 농촌사회
제1절 신분제 해체 = 1046
제2절 자작농체제 하의 계층분화 = 1053
제3절 가부장제와 동족집단의 잔존과 약화 = 1059
제4절 농촌 사회조직의 변화 = 1066
제5절 지역사회의 전개와 이농 = 1072
제6절 농촌 교육의 확대 = 1080
제7절 서양문화의 유입과 전통문화의 쇠퇴 = 1084
제8장 농촌의 지배구조와 농민운동
제1절 농업기구의 정비 = 1093
제2절 농민의식의 보수화 = 1100
제3절 농촌 지역의 정치 = 1107
제4절 농민운동의 분출과 침잠 = 1121
제6편 고도 경제성장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경제의 고도성장과 농업문제
제1절 경제의 고도성장 = 1137
제2절 고도 경제성장과 농업문제 = 1146
제3절 경제성장과 농업의 역할 = 1155
제4절 본편의 구성 = 1159
제5절 결언 = 1161
제2장 농업성장과 주곡자급
제1절 농업성장과 농업의 구조전환 = 1166
제2절 농업생산성 성장의 과정과 원천 = 1173
제3절 녹색혁명과 주곡자급 = 1179
제4절 결언 = 1196
제3장 농업생산기반, 농지제도 및 농업기계화
제1절 식량증산을 위한 농업생산기반 조성 = 1202
제2절 농지소유와 임대차문제 = 1214
제3절 농업기계화의 진전 = 1234
제4절 결언 = 1242
제4장 농산물 유통과 국제무역
제1절 품목별 농산물 가격정책의 전개 = 1249
제2절 이중곡가제와 양특적자 문제 = 1254
제3절 농산물 유통문제 = 1265
제4절 농산물 무역 제도와 무역정책 = 1281
제5절 결언 = 1293
제5장 농업금융과 농업협동조합
제1절 농업금융과 자본시장 = 1298
제2절 농업협동조합의 발족과 역할 = 1315
제3절 결언 = 1319
제6장 농업기술개발과 보급 및 농업교육
제1절 농사시험연구제도 = 1324
제2절 농촌지도기구 = 1335
제3절 농업교육제도 = 1343
제4절 결언 = 1351
제7장 고도 경제성장과 농촌문제
제1절 도농 간 소득격차와 이농문제 = 1359
제2절 농촌공업화와 농외소득문제 = 1370
제3절 결언 = 1377
제8장 농민문제
제1절 재건국민운동과 새마을운동 = 1382
제2절 민간 중심의 농민조직과 농민운동 = 1394
제3절 결언 = 1403
제7편 개방화 시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농산물시장 개방의 배경·전개·귀결
제1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배경과 성격 = 1409
제2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전개 = 1413
제3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귀결 = 1417
제4절 본편의 구성 = 1421
제5절 결언 = 1423
제2장 농업생산력 및 경영구조의 변화
제1절 농업자원의 취약화 = 1427
제2절 농가계층 분화의 전개 = 1437
제3절 농지소유 및 임대차구조의 변화 = 1464
제4절 농작업 기계화 진전 = 1494
제5절 규모의 경제와 경작규모 확대 = 1504
제6절 결언 = 1511
제3장 농산물 수급불안정 및 식량자급률 저하
제1절 농산물 수요구조의 변화 = 1518
제2절 농산물 생산구조의 변화 = 1525
제3절 수급 불균형과 식량자급률 저하 = 1544
제4절 농업성장 둔화와 농업부문의 지위저하 = 1560
제5절 결언 = 1570
제4장 농산물가격 불안정 및 유통구조의 변화
제1절 농산물 가격불안정의 심화 = 1573
제2절 농산물 가격정책의 전환 = 1582
제3절 농산물 유통여건의 변화 = 1601
제4절 주요 시장별 유통기능의 변화 = 1605
제5절 농산물 유통경로의 변천 = 1615
제6절 유통마진의 변동 = 1631
제7절 결언 = 1639
제5장 농가경제와 농촌사회의 변화
제1절 농가경제구조의 변화 = 1645
제2절 농촌공업화와 농외소득원 개발 = 1656
제3절 보유자원구조 및 활용의 변화 = 1667
제4절 농가부채의 누증과 대책 = 1675
제5절 농촌사회의 변모 = 1688
제6절 결언 = 1692
제6장 농민조직과 농민운동의 대응
제1절 농민운동 관련조직의 변모 = 1697
제2절 농민단체의 결성과 농민운동의 전개 = 1704
제3절 결언 = 1719
찾아보기 = 1723
편찬위원 = 1757
편찬사무국 = 1757
집필위원·감수위원 = 1757
편찬을 끝내며 = 1758
제1편 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 개관
제1장 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의 범위와 시각
제1절 「한국 농업·농촌 100년사」의 범위 = 3
제2절 편찬 시각과 구성 = 6
제2장 근대 한국 농업·농촌의 변화
제1절 조선 후기 농촌사회의 재생산구조 = 10
제2절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 구축과 농업·농촌 = 25
제3절 공황과 전시체제하의 농업·농촌 = 63
제3장 현대 한국 농업·농촌의 변화
제1절 해방·전쟁·복구기의 농업·농촌 = 103
제2절 고도 경제성장기의 농업·농촌 = 123
제3절 개방화 시기의 농업·농촌 = 154
제2편 조선 후기 농촌사회의 재생산구조
제1장 체제, 구조의 속성
제2장 조선후기의 사회경제구조
제1절 기층의 관계들 = 185
제2절 생산조직 = 199
제3절 재분배구조 = 224
제4절 향촌구조 = 249
제3장 변화와 저항
제1절 세계자본주의의 침입과 조선의 대응 = 267
제2절 사회구조의 동요 = 269
제3절 변화를 향하여 = 277
제3편 일제의 식민지 지배체제 구축과 농업·농촌
제1장 식민지 시기의 역사적 위상과 역할
제1절 식민지 시기의 시작 = 287
제2절 식민지 시기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= 291
제3절 식민지 시기의 시기 구분 = 294
제2장 일제의 농업이민과 식민지 농업기구의 구축
제1절 일제의 대한 농업이민 추진 배경 = 301
제2절 일본인 농업이민의 전개와 동양척식회사 = 313
제3절 식민지 지배를 위한 기초시설 = 331
제4절 식민지 농업기구의 구축 = 335
제3장 근대적 토지소유제도와 지세제도의 확립
제1절 광무 양전·지계 사업과 국유지 문제 = 369
제2절 통감부의 징세제도 개혁과 국유지 조사 = 383
제3절 조선토지조사사업의 실시 = 396
제4절 과세지가제의 성립 = 426
제4장 식민지지주제의 형성과 농가경제의 피폐
제1절 1910년대의 농업정책 = 443
제2절 산미증식계획의 실시와 미곡생산의 증대 = 459
제3절 식민지지주제의 형성과 농가경제의 피폐 = 485
제4편 공황과 전시체제하의 농업·농촌
제1장 농업공황과 농가경제의 동요
제1절 농산물 가격 폭락과 농민의 궁핍 = 547
제2절 지주경제의 강화 = 553
제3절 소작쟁의의 격화 = 557
제2장 농업공황과 조선미 · 일본미의 마찰
제1절 미곡조사회의 조선미 통제를 둘러싼 논의 = 564
제2절 농림성의 식민지미에 대한 인식 = 571
제3절 조선미 통제를 둘러싼 농림성과 식민지의 대립 = 573
제4절 미곡통제법 제정과 조선미 이입통제 = 577
제5절 미곡통제법의 보강책 = 583
제3장 산미증식계획의 중지
제1절 농업공황하의 미곡생산정책 = 598
제2절 미곡검사의 국영화 = 606
제3절 미곡저장정책과 농업창고 = 608
제4절 산미증식계획의 중지 = 615
제4장 농업공황과 농지정책의 적극화
제1절 1928년의「소작문제조사요강」과「소작관행 개선에 관한 건」= 625
제2절 자작농지설정사업 = 630
제3절 「조선소작조정령」= 640
제4절 「조선농지령」= 645
제5절 소작조정과 농촌통제 = 660
제5장 농촌진흥운동의 전개와 농가경제
제1절 대공황과 농촌의 위기 = 669
제2절 농촌궁핍의 실상과 원인 = 672
제3절 농촌진흥운동의 전개과정 = 675
제4절 「농가갱생계획」의 실적 및 효과 = 682
제5절 농촌진흥운동의 평가 = 705
제6장 전시체제하의 식량정책
제1절 1939년 대가뭄과 농가의 궁핍 = 708
제2절 전시체제하 일본의 미곡수급 사정 = 711
제3절 전시체제하 미곡통제의 강화 = 714
제4절 전시체제하 식량증산정책 = 719
제7장 전시체제와 농업통제 강화
제1절 농가단위 계획에서 부락단위 계획으로 전환 = 728
제2절 농촌노동력 동원 = 732
제3절 식량공출과 촌락 = 737
제4절 농지 통제 강화 = 742
제5절 농촌재편성 계획 = 747
제8장 농업생산구조의 변화
제1절 농업생산요소의 변화 = 756
제2절 주요 농산물의 생산량 변화 = 764
제9장 농업 관련 행정·연구조직 변천
제1절 농업 관련 중앙행정조직 = 775
제2절 농업 관련 지방행정조직 = 785
제3절 농업시험장 조직의 변천 = 787
찾아보기 = 795
편찬위원 = 829
편찬사무국 = 829
집필위원·감수위원 = 829
[하권]
제5편 해방·전쟁·복구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서론
제1절 50년대 한국농업·농촌을 보는 각도 = 833
제2절 미국의 대한 경제정책 = 838
제3절 농지개혁과 농업·농촌 = 847
제4절 한국전쟁과 농업·농촌 = 848
제5절 낮은 공업화 수준 = 854
제2장 농지개혁
제1절 농지개혁의 배경 = 859
제2절 농지개혁법의 입법과정과 내용 = 872
제3절 농지개혁의 추진결과 = 877
제4절 농지개혁의 성과와 역사적 의의 = 890
제5절 1950년대 자작농체제와 소작제 = 898
제3장 미국 잉여농산물 원조와 영향
제1절 개설 = 908
제2절 잉여농산물의 도입 배경 = 910
제3절 미국 잉여농산물 도입 = 916
제4절 미국 잉여농산물 원조의 영향 = 926
제4장 농업생산의 정체와 식량부족
제1절 농업생산의 완만한 성장 = 947
제2절 농업생산요소의 취약성 = 961
제5장 저농산물가격과 전근대적 유통
제1절 물가안정과 저농산물가격정책 = 978
제2절 해방후 혼란기(1945-1949)의 양곡관리와 유통 = 982
제3절 1950년대의 미곡 부분통제와 저농산물가격 = 992
제4절 청과물시장과 유통 = 998
제6장 농가경제의 피폐
제1절 해방 직후의 농가경제 = 1002
제2절 한국전쟁 직후 농촌의 빈곤 = 1005
제3절 1950년대 농촌의 피폐 = 1025
제4절 농어촌고리채 정리사업 = 1040
제7장 과도기의 농촌사회
제1절 신분제 해체 = 1046
제2절 자작농체제 하의 계층분화 = 1053
제3절 가부장제와 동족집단의 잔존과 약화 = 1059
제4절 농촌 사회조직의 변화 = 1066
제5절 지역사회의 전개와 이농 = 1072
제6절 농촌 교육의 확대 = 1080
제7절 서양문화의 유입과 전통문화의 쇠퇴 = 1084
제8장 농촌의 지배구조와 농민운동
제1절 농업기구의 정비 = 1093
제2절 농민의식의 보수화 = 1100
제3절 농촌 지역의 정치 = 1107
제4절 농민운동의 분출과 침잠 = 1121
제6편 고도 경제성장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경제의 고도성장과 농업문제
제1절 경제의 고도성장 = 1137
제2절 고도 경제성장과 농업문제 = 1146
제3절 경제성장과 농업의 역할 = 1155
제4절 본편의 구성 = 1159
제5절 결언 = 1161
제2장 농업성장과 주곡자급
제1절 농업성장과 농업의 구조전환 = 1166
제2절 농업생산성 성장의 과정과 원천 = 1173
제3절 녹색혁명과 주곡자급 = 1179
제4절 결언 = 1196
제3장 농업생산기반, 농지제도 및 농업기계화
제1절 식량증산을 위한 농업생산기반 조성 = 1202
제2절 농지소유와 임대차문제 = 1214
제3절 농업기계화의 진전 = 1234
제4절 결언 = 1242
제4장 농산물 유통과 국제무역
제1절 품목별 농산물 가격정책의 전개 = 1249
제2절 이중곡가제와 양특적자 문제 = 1254
제3절 농산물 유통문제 = 1265
제4절 농산물 무역 제도와 무역정책 = 1281
제5절 결언 = 1293
제5장 농업금융과 농업협동조합
제1절 농업금융과 자본시장 = 1298
제2절 농업협동조합의 발족과 역할 = 1315
제3절 결언 = 1319
제6장 농업기술개발과 보급 및 농업교육
제1절 농사시험연구제도 = 1324
제2절 농촌지도기구 = 1335
제3절 농업교육제도 = 1343
제4절 결언 = 1351
제7장 고도 경제성장과 농촌문제
제1절 도농 간 소득격차와 이농문제 = 1359
제2절 농촌공업화와 농외소득문제 = 1370
제3절 결언 = 1377
제8장 농민문제
제1절 재건국민운동과 새마을운동 = 1382
제2절 민간 중심의 농민조직과 농민운동 = 1394
제3절 결언 = 1403
제7편 개방화 시기의 농업·농촌
제1장 농산물시장 개방의 배경·전개·귀결
제1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배경과 성격 = 1409
제2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전개 = 1413
제3절 농산물시장 개방의 귀결 = 1417
제4절 본편의 구성 = 1421
제5절 결언 = 1423
제2장 농업생산력 및 경영구조의 변화
제1절 농업자원의 취약화 = 1427
제2절 농가계층 분화의 전개 = 1437
제3절 농지소유 및 임대차구조의 변화 = 1464
제4절 농작업 기계화 진전 = 1494
제5절 규모의 경제와 경작규모 확대 = 1504
제6절 결언 = 1511
제3장 농산물 수급불안정 및 식량자급률 저하
제1절 농산물 수요구조의 변화 = 1518
제2절 농산물 생산구조의 변화 = 1525
제3절 수급 불균형과 식량자급률 저하 = 1544
제4절 농업성장 둔화와 농업부문의 지위저하 = 1560
제5절 결언 = 1570
제4장 농산물가격 불안정 및 유통구조의 변화
제1절 농산물 가격불안정의 심화 = 1573
제2절 농산물 가격정책의 전환 = 1582
제3절 농산물 유통여건의 변화 = 1601
제4절 주요 시장별 유통기능의 변화 = 1605
제5절 농산물 유통경로의 변천 = 1615
제6절 유통마진의 변동 = 1631
제7절 결언 = 1639
제5장 농가경제와 농촌사회의 변화
제1절 농가경제구조의 변화 = 1645
제2절 농촌공업화와 농외소득원 개발 = 1656
제3절 보유자원구조 및 활용의 변화 = 1667
제4절 농가부채의 누증과 대책 = 1675
제5절 농촌사회의 변모 = 1688
제6절 결언 = 1692
제6장 농민조직과 농민운동의 대응
제1절 농민운동 관련조직의 변모 = 1697
제2절 농민단체의 결성과 농민운동의 전개 = 1704
제3절 결언 = 1719
찾아보기 = 1723
편찬위원 = 1757
편찬사무국 = 1757
집필위원·감수위원 = 1757
편찬을 끝내며 = 175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