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연구용역보고서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농239ㅊ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통계담당관실
- 서명/저자
- 차세대 농림수산식품정책 IT융합 마스터플랜 수립 /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통계담당관실 ; (사)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[공편]. 상
- 발행사항
- [경기] :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, 2011
- 형태사항
- [568] p. : 삽도 ; 30 cm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 : 최영찬
- 주기사항
- 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1173-01
- 키워드
- 농식품정책
- 기타저자
- 최영찬
- 기타저자
-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9451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04407 | 용 : 520.7 농239ㅊ v.2011-206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20223s2011 ggka t 000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농239ㅊ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정보통계담당관실
24500▼a차세대 농림수산식품정책 IT융합 마스터플랜 수립▼d농림수산식품부 정보통계담당관실▼e(사)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[공편]▼n상
260 ▼a[경기]▼b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▼c2011
300 ▼a[568] p.▼b삽도▼c30 cm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00▼a연구책임자 : 최영찬
50000▼a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1173-01
653 ▼a농식품정책
7001 ▼a최영찬
710 ▼a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4407
9501 ▼a비매품
제1장 서론 =Ⅰ-1
제1절 연구의 필요성 =Ⅰ-1
1. 산업적 측면 =Ⅰ-1
2. 정책적 측면 =Ⅰ-6
3. 기술적 측면 =Ⅰ-9
4. 법/제도적 측면 =Ⅰ-11
제2절 국 · 내외 IT융합 현황 =Ⅰ-13
1. 국외의 IT융합 추진현황 =Ⅰ-13
2. 국내 타산업 분야의 IT융합 현황 =Ⅰ-13
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=Ⅰ-15
1. 연구의 목표 및 범위 =Ⅰ-15
2. 연구의 방법 및 추진체계 =Ⅰ-17
제2장 농수산식품 정보화 요구도 분석 =Ⅱ-1
제1절 농산업 정보화 환경 분석 =Ⅱ-1
1. 소비와 유통구조의 변화 =Ⅱ-1
가. 글로벌 무한경쟁시대에 따른 국내 농업경쟁력 확보 시급 =Ⅱ-1
나. 농업의 불확실성 증대로 농업예측의 중요성 확대 =Ⅱ-2
다. 농식품 소비욕구 다변화에 따른 정보 활용의 중요성 증대 =Ⅱ-5
라. ICT기반의 농산물소비와 유통이 새로운 트렌드로 확산 =Ⅱ-8
마. 수출시장의 확대와 정보화 =Ⅱ-10
2. 농산업 구조의 변화 =Ⅱ-13
가. 농업의 지속성에 대한 위기감 증대 =Ⅱ-13
나. 농업과 IT와의 결합을 통한 산업고도화 시도 =Ⅱ-16
다. 농업인력구조의 취약성 확대 =Ⅱ-17
3. 지역농업 주체의 변화 =Ⅱ-19
가. 규모화 · 조직화된 산지유통주체의 확산 =Ⅱ-19
나. 산지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유통형법인 성장 =Ⅱ-21
다. 시설중심의 산지유통규모화 진행, S/W구축은 미흡 =Ⅱ-21
제2절 농림수산 정책사업 현황분석 =Ⅱ-23
1. 정부 농정의 변화 방향 =Ⅱ-23
가. 분석 목적과 필요성 =Ⅱ-23
(1) 정책사업 분석 목적 =Ⅱ-23
(2) 분석 범위와 방향 =Ⅱ-24
나. 농정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비전 =Ⅱ-25
(1) 농정 패러다임의 전환 방향 =Ⅱ-25
(2) 현 정부의 농정 비전과 목표 =Ⅱ-28
2. 농업 · 농촌발전 기본계획 =Ⅱ-31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31
(1) 농정의 가이드라인 =Ⅱ-31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31
(3) 농업정보화 연계사업 분류 =Ⅱ-31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32
(1) 식량자급률 목표치 =Ⅱ-32
(2) 식량자급률 제고방안 주요내용 =Ⅱ-32
(3) FTA 경쟁력강화 주요내용 =Ⅱ-33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34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34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35
3.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=Ⅱ-36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36
(1) 식품산업 육성 종합계획 =Ⅱ-36
(2) 식품산업 진흥의 필요성 =Ⅱ-36
(3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36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37
(1)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=Ⅱ-37
(2)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지원계획 =Ⅱ-38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38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38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40
4.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 =Ⅱ-44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44
(1)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=Ⅱ-44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44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44
(1)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=Ⅱ-44
(2) 도시농업 활성화방안 =Ⅱ-45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46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46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48
5. 축산업 선진화 계획 =Ⅱ-50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50
(1) 친환경 녹색 축산업 육성 =Ⅱ-50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51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51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52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52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52
6.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개발 =Ⅱ-53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53
(1)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개발 =Ⅱ-53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53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53
(1)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=Ⅱ-53
(2) 여성농업인 육성계획 =Ⅱ-54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55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55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56
제3절 농림수산 핵심사업 분석 =Ⅱ-59
1. 분석 목적과 범위 =Ⅱ-59
가. 분석의 목적 =Ⅱ-59
나. 분석의 범위 =Ⅱ-59
다. 분석의 방법 =Ⅱ-60
2. 농림수산 정책사업 종합분석 =Ⅱ-61
가. 농림수산 정책사업 이슈 도출 =Ⅱ-61
(1) 이슈 도출 절차 =Ⅱ-61
(2) 농림수산 전략목표와 성과목표 =Ⅱ-62
(3) 농림수산식품부 중점 추진방향 =Ⅱ-63
(4) 농촌진흥청 중점 추진방향 =64
(5) 농림수산 정책사업 키워드 추출 =Ⅱ-65
(6) 농림수산 정책사업 이슈 정제 =Ⅱ-66
나. 이슈별 농림수산 정책사업 분류 =Ⅱ-67
(1) 농림수산 정책사업 분류 절차 =Ⅱ-67
(2) 농림수산 정책사업 현황 =Ⅱ-68
(3) 이슈별 주요 농림수산 정책사업 정렬 =Ⅱ-70
다. 이슈별 농림수산 사업 주요내용 =Ⅱ-72
(1) 생산기반 확충 =Ⅱ-72
(2) 위험관리 강화 =Ⅱ-79
(3) 농식품 수급안정 =Ⅱ-84
(4) 유통 효율화 =Ⅱ-87
(5) 식품산업 육성 =Ⅱ-93
(6) 지역개발 =Ⅱ-96
(7) 농어가 경영안정 =Ⅱ-98
(8) 농업 역량강화 =Ⅱ-99
(9) 농식품 안전성 관리 =Ⅱ-101
(10) 국제협력 =Ⅱ-103
제4절 농식품 분야 각 주체별 정보화 요구도 분석 =Ⅱ-105
1. 정보화 요구도 분석 개요 =Ⅱ-105
가. 조사개요 =Ⅱ-105
2. 정량조사(생산대상 농가 설문조사) 결과분석 =Ⅱ-107
가. 조사개요 =Ⅱ-107
나. 조사결과 =Ⅱ-108
3. 정성조사(IDI, FGI) 결과분석 =Ⅱ-114
가. 조사개요 =Ⅱ-114
나. 조사결과 =Ⅱ-116
4. 결과요약 및 시사점 =Ⅱ-122
가. 결과 요약 =Ⅱ-122
나. 시사점 =Ⅱ-122
제3장 국가정보화 정책의 변화와 IT융합 =Ⅲ-1
제1절 국가정보화 정책방향 분석 =Ⅲ-1
1. 국가 정보화 계획의 변화 과정 =Ⅲ-1
가. 정보화 정책 추진 경과 =Ⅲ-1
나. 주요성과 =Ⅲ-2
다. 그간의 성과 반성 =Ⅲ-3
2. 국가 정보화 비전 및 계획 =Ⅲ-5
가. 국가정보화 비전 소개 =Ⅲ-5
(1) 2008년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=Ⅲ-5
(2) 2009년 국가정보화 실행계획 =Ⅲ-7
가. 주요 부처별 정보화 추진 전략 소개 =Ⅲ-11
(1) 분야별 정보화 추진계획 =Ⅲ-11
(2) 그린 IT 국가전략 =Ⅲ-12
(3)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=Ⅲ-15
(4)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 =Ⅲ-17
(5) IT KOREA 5대 전략 =Ⅲ-19
(6) 사물통신 기반 구축 계획 =Ⅲ-21
3. 국가정보화 정책 거버넌스의 변화 =Ⅲ-23
가. 새로운 정책체계의 확립 =Ⅲ-24
나. 정보화 및 IT산업 육성정책의 변화 : IT융합의 중요성 부각 =Ⅲ-24
4. 농림수산정보화 계획의 변화 과정 =Ⅲ-25
가. 제1차 농업 · 농촌 정보화의 추진(2002년 ~ 2005년) =Ⅲ-25
나. 제2차 농업 · 농촌 정보화 추진계획 수립(2007년 ~ 2011년) =Ⅲ-25
제2절 IT융합의 정의와 농식품분야의 새로운 기회 =Ⅲ-28
1. IT 융합의 정의 =Ⅲ- 28
가. 학술적인 IT 융합의 배경 =Ⅲ-28
나. 정부의 IT 융합 개념 분석 =Ⅲ-30
2. 산업융합촉진을 위한 법/제도의 제정 =Ⅲ-34
가. 법 · 시행령의 제정 =Ⅲ-34
나. 법 · 시행령의 핵심 내용 =Ⅲ- 35
(1) 산업융합의 정의 및 촉진을 위한 국가의 책무 =Ⅲ-35
(2) 산업융합을 위한 추진체계의 구축 =Ⅲ-36
(3)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지원 =Ⅲ-37
(4) 산업융합의 기반 조성 =Ⅲ-40
3. 타산업분야 IT 융합정책 =Ⅲ-41
가. New IT 산업 발전전략 =Ⅲ-41
나. 타분야 IT 융합 전략 주체별 구분 =Ⅲ-46
다. 타분야 IT 융합 전략의 주체별 정리 =Ⅲ-47
라. 주체별 타분야 IT 융합 전략 vs New IT 산업 발전전략 =Ⅲ-48
4. 농식품 분야에서의 IT 융합 =Ⅲ-49
가. 가치사슬에 내재화 되고 있는 IT기술 =Ⅲ-49
나. IT융합기술의 농식품 분야 적용 가능성 =Ⅲ-53
다. 농식품 IT융합의 필요성 =Ⅲ-56
제4장 농식품 정보화 추진체계 및 추진조직 진단 =Ⅳ-1
제1절 농식품 정보화 사업 추진체계진단 및 개선기회 도출 =Ⅳ-1
1. 해외 주요국의 정보화 지원체계 벤치마킹 =Ⅳ-1
가. 미국 농무성 및 산하 조직에서의 정보화 지원체계 =Ⅳ-1
(1) 미국 농무성(USDA) 슈석정보담당관실(OCIO) 개요 =Ⅳ-1
(2) 미국 농무성(USDA) 수석정보담당관실(CIO) 주요 업무 =Ⅳ-2
(3) 미국 농무성 주요 부처(국)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=Ⅳ-6
(4) 미국 농무성 농업통계 서비스 =Ⅳ-7
(5) 미국 농무성 연구, 교육, 경제 담당 차관실의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=Ⅳ-8
나. 덴마크 농업자문서비스(DAAS)의 정보화 지원 서비스 체계 =Ⅳ-10
(1) 덴마크 농업자문서비스(Danish Agricultural Advisory Service) 개요 =Ⅳ-10
(2) Web & IT부의 역할 및 주요 성과 =Ⅳ-
다. 농식품분야 해외 학제간 연구 =Ⅳ-
(1) 해외 대학의 농어업 분야 IT 융합 연구 활동 =Ⅳ-
(2) 저널을 통한 농업의 IT 융합 연구 =Ⅳ-
(3) EU ICT-AGRI의 정보통신 신기술 연구 활동 =Ⅳ-
2. 구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체계 분석 =Ⅳ-
가. 분석 개요 =Ⅳ-
나. 2000년대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=Ⅳ-
(1)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방향 =Ⅳ-
(2)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목표 =Ⅳ-
(3) 주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현황 =Ⅳ-
(4)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특징 =Ⅳ-
다. 2011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=Ⅳ-
(1) 중소기업 정보화정책 기초 및 추진방향 =Ⅳ-
(2) 중소기업 정보화사업 추진체계 =Ⅳ-
(3) 정보화 사업 개요 =Ⅳ-
(4) 정보화 사업 세부 내용 =Ⅳ-
3. IT 혁신 센터 사업 =Ⅳ-
가. IT혁신센터 사업의 추진배경 =Ⅳ-
나. IT융합 혁신센터 분야별 분석 =Ⅳ-
(1) 섬유 IT 혁신 센터 =Ⅳ-
(2) 건설 IT 혁신 센터 =Ⅳ-
(3) 농기계 IT 혁신센터 =Ⅳ-
4. 타기관의 사례 =Ⅳ-
가. 행정안전부의 지역정보통합센터 사례 =Ⅳ-
나. 보건복지부의 보건복지정보개발원 사례 =Ⅳ-
5. 농식품부 정보화 추진체계 진단 =Ⅳ-
가. 정보화 추진현황 =Ⅳ-
나.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화[IT] 관리체계 =Ⅳ-
다. 농식품부 내부 정보화 사업 특성 판단 =Ⅳ-
마. 정보화진흥원 현황 =Ⅳ-
바. 보건복지정보개발원 =Ⅳ-
사. 정보통신산업진흥원 =Ⅳ-
아.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 현황 =Ⅳ-
자.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의 역할/기능 진단 =Ⅳ-
6. 정보화 성과 평가 =Ⅳ-
가. 정보화 성과평가 =Ⅳ-
(1) 정보화 성과평가의 필요성 =Ⅳ-
(2) 정보화 성과관리 제도 도입 배경 =Ⅳ-82
(3) 정보화 성과관리의 기대 효과 =Ⅳ-83
나. 성과평가 방법론 소개 =Ⅳ-84
다. 농림수산식품부의 정보화 성과평가 = Ⅳ-106
제2절 농식품부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 = Ⅳ-108
1.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의 목표 = Ⅳ-108
2.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의 방법 = Ⅳ-108
가. 분석 도구의 선택 - 다중접촉관점(Multi-contingency View) = Ⅳ-108
나. 다중접촉관점의 세부 내용 = Ⅳ-109
(1) 이론적 배경 = Ⅳ-109
(2) 세부 상황요인 = Ⅳ-110
3. 농식품부 정보화담당관실 분석 결과 = Ⅳ-114
가. 정보화담당관실 진단 결과 종합 = Ⅳ-114
나. 정보화담당관실 진단 결과 세부내용 = Ⅳ-115
(1) 목표 = Ⅳ-115
(2) 전략 = Ⅳ-116
(3) 환경 = Ⅳ-117
(4) 구성 = Ⅳ-118
(5) 복잡성 = Ⅳ-119
(6) 지역분산 = Ⅳ-120
(7) 지식교환 = Ⅳ-121
(8) 업무설계 = Ⅳ-122
(9) 인력 = Ⅳ-123
(10) 리더십 = Ⅳ-124
(11) 조직풍토 = Ⅳ-125
(12) 조정통체계 = Ⅳ-126
(13) 정보체계 = Ⅳ-127
(14) 인센티브 = Ⅳ-128
4. AFFIS 분석 결과 = Ⅳ-129
가. AFFIS 진단 결과 종합 = Ⅳ-129
나. AFFIS 진단 결과 세부내용 = Ⅳ-130
(1) 목표 = Ⅳ-130
(2) 전략 = Ⅳ-131
(3) 환경 = Ⅳ-132
(4) 구성 = Ⅳ-133
(5) 복잡성 = Ⅳ-134
(6) 지식교환 = Ⅳ-135
(7) 업무설계 = Ⅳ-136
(8) 인력 = Ⅳ-137
(9) 리더십 = Ⅳ-138
(10) 조직풍토 = Ⅳ-139
(11) 조정통체계 = Ⅳ-140
(12) 정보체계 = Ⅳ-141
(13) 인센티브 = Ⅳ-142
5. 조직설계 방향 = Ⅳ-142
6. 정보화담당관실을 대상으로 다중조직이론 관점의 조직진단 결과 단계별 적용 = Ⅳ-143
7. 아피스를 대상으로 다중조직이론 관점의 조직진단 결과 단계별 적용 = Ⅳ-150
8. 조직진단 결과에 대한 소결 = Ⅳ-153
가.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통계 담당관실 = Ⅳ-153
나. 아피스 = Ⅳ-155
9. 추진체계별 역할 진단에 대한 소결 = Ⅳ-156
가. IT 통합 관제 센터 구축을 위한 AFFIS의 역할 = Ⅳ-156
(1) AFFIS의 주요 역량 = Ⅳ-156
(2) IT 통합 관제 센터로소의 AFFIS의 역할 = Ⅳ-157
제3절 농식품부 IT거버넌스 = Ⅳ-160
1.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= Ⅳ-160
가. IT 의사결정 종류 = Ⅳ-161
나. IT 의사결정 원형 = Ⅳ-163
다. IT 거버넌스 매트릭스 = Ⅳ-165
2. 농림수산식품부의 거버넌스 배치 분석 및 설계 = Ⅳ-167
제4절 농식품 정보화 추진체계의 방향성 = 171
1. 농식품부 정보통계담당관실 및 AFFIS의 역할 = 171
가. 정보통계담당관실 및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의 방향성 제시 = 171
나. 농림수산식품부의 IT관련 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 = 171
다. IT관련 사업의 성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및 운영관리 = 171
라. 농업 정보자원의 체계적인 수집, 공유, 연계, 활용을 지원 = 172
마. 정보화 담당관실 및 AFFIS의 조직 규모 확대 = 172
바. IT시스템 및 사업의 관리 = 173
2. IT의사결정 형태의 방향성(IT거버넌스 관점) = 174
가. IT와 관련된 각 부처별 의견 수렴을 통한 정보화 목표(IT원칙) 도출 = 174
나. 중앙관리를 통한 정보화 체계(IT아키텍처)의 통합과 표준화 달성 = 174
다. 조직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(IT인프라) 공유 = 174
라. 현업 문제들을 실무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= 175
마. IT사업에 중요도를 반영할 수 있는 IT투자 결정 = 175
3. 농림수산식품부의 정보화 성과평가의 방향성 = 176
제5장 농식품 정보시스템 현황 및 벤치마킹 = V-1
제1절 농식품 정보화 사업 현황 분석 = 1
1. 분석의 개요 = 1
2. 분야별 정보시스템 현황 분석 = 1
가. 농기업 정보화 = 1
(1) 분석개요 = 1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3
나. 정보유통 서비스 = 7
(1) 분석개요 = 7
(2) 안전정보 = 7
(3) 이력추적 = 15
(4) 농어업 자원정보 = 21
(5) 생산/경영정보 = 28
(6) 유통정보 = 32
(7) 기타정보 = 33
다. 농식품 R&D = 34
(1) 분석개요 = 34
(2) 업무정보시스템 = 34
(3) R&D 지원 정보시스템 = 42
(4) 교육지원 정보 서비스 = 45
라. 농어촌 경쟁력 강화 = 50
(1) 분석개요 = 50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51
마. 행정서비스 고도화 = 53
(1) 분석개요 = 53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54
3. 현행 정보화 사업 시사점 = 56
(1) 정보화 교육 및 컨설팅의 혁신 = 56
(2) 경영능력 향상 지원도구의 다야화 추진 = 56
(3) 정보화 지원 체계의 혁신 = 57
제2절 국내외 정보화 선진사례 분석 = 58
1. 농업인용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 = 58
가. 덴마크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보급 사례 = 58
(1) 양돈농장 관리프로그램 - DLBR Svine IT = 58
(2) 낙농 관리 프로그램 - DLBR Kvaeg IT = 60
(3) 경종농장 관리 프로그램 - DLBR Plante IT = 62
나. 국내 양돈생산관리 프로그램 사례 = 65
(1) 양돈 경영체의 전산관리 현황 = 65
(2) 전산관리 애로사항 = 66
(3) 전산프로그램 사용농가의 성과분석 = 67
(4) 피그플랜(Pigplan) 사용 농가의 생산성적 분석 = 68
(5) 양돈 ASP 사업의 발전방향 = 70
2. 중소기업 정보화 시스템 및 서비스 구축현황 분석 = 72
가. 분석 개요 = 72
나. 구축 시스템 현황 = 72
(1) 업무정보시스템 = 72
(2) 교육 및 창업지원 = 73
(3) 마케팅 자원 = 76
(4) 조달/공급망 지원 = 78
(5) 중소기업 통계 = 80
(6) 기타 = 81
다. 시사점 = 82
(1)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기존 사업의 강화 = 82
(2) 새로운 IT 트렌드에 맞춤 사업 신설 = 83
(3) 중소기업 기술보호상담 지원 = 83
3. 농업통계, 유통정보, 안전관리 서비스 벤치마킹 = 85
가. 미 농무성의 농업정보 제공 사례 = 85
(1) 경제연구서비스(Economic Research Service, ERS) = 85
(2) 해외농업서비스(Foreign Agricultural Service, FAS) = 87
(3) 국가농업통계서비스(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, NASS) = 88
나. 유럽의 식품안전관리 서비스 사례 (RASFF) = 89
(1) 유럽 식품 및 사료 신속경보시스템(RASFF) 개요 = 89
(2) RASFF 통지 종류 = 90
4. 기후변화 대응 정보화 지원 벤치마킹 = 91
가. 탄소표시제 = 91
(1) 탄소라벨링의 개념 = 91
(2) 해외 추진 동향 = 91
(3) 우리나라의 탄소성적표지제도 = 95
(4) 정보시스템 시사점과 탄소표시제의 도입 효과 = 200
나. 푸드 마일리지(Food Mileage) = 103
(1) 푸드 마일리지의 개념 = 103
(2) 해외 사례 = 104
(3) 우리날 현황 = 104
다. 배출권 거래제(Emission Trading) = 106
(1) 배출권 거래제의 개념 = 106
(2) 해외사례 = 107
(3) 해외사례 = 108
라. 농업 기상 시스템 및 재해 대비 네트워크 구축 = 109
(1) 위성 정보를 활용한 농업 관측 = 109
(2) 재해 경보 시스템 = 111
제3절 국내외 IT융합 서비스 모델 분석 = 114
1. 국내외 농수축산 분야 IT융합 신기술 서비스 모델 개발 동향 = 114
가. 과수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14
나. 원예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30
다. 축산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41
라. 수산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47
2. 국내외의 서비스 진행 중의 IT융합 비즈니스 모델 분석 = 149
가. 의약품 유통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= 149
(1) 소개 = 149
(2) 국내 적용 사례 = 155
(3) 정책 동향 = 157
나. 유통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: 월마트의 RFID 적용 = 159
(1) 사례개요 = 159
(2) RFID 적용 과정 = 160
(3) RFID 요구사항 = 161
(4) 운영현황 = 161
(5) ROI 및 향후 전망 = 162
다. 국방분야의 적용사례 = 164
(1) 사례개요 = 164
(2) DOD 가이드 라인 = 167
(3) 로드맵 = 168
(4) Global I-TV(In-Transit Visibility) = 172
라. 항만 물류 분야 적용사례 = 177
(1) 사업의 배경 및 목표 = 177
(2) 세부 시스템 구성 = 178
제1절 연구의 필요성 =Ⅰ-1
1. 산업적 측면 =Ⅰ-1
2. 정책적 측면 =Ⅰ-6
3. 기술적 측면 =Ⅰ-9
4. 법/제도적 측면 =Ⅰ-11
제2절 국 · 내외 IT융합 현황 =Ⅰ-13
1. 국외의 IT융합 추진현황 =Ⅰ-13
2. 국내 타산업 분야의 IT융합 현황 =Ⅰ-13
제3절 연구내용 및 방법 =Ⅰ-15
1. 연구의 목표 및 범위 =Ⅰ-15
2. 연구의 방법 및 추진체계 =Ⅰ-17
제2장 농수산식품 정보화 요구도 분석 =Ⅱ-1
제1절 농산업 정보화 환경 분석 =Ⅱ-1
1. 소비와 유통구조의 변화 =Ⅱ-1
가. 글로벌 무한경쟁시대에 따른 국내 농업경쟁력 확보 시급 =Ⅱ-1
나. 농업의 불확실성 증대로 농업예측의 중요성 확대 =Ⅱ-2
다. 농식품 소비욕구 다변화에 따른 정보 활용의 중요성 증대 =Ⅱ-5
라. ICT기반의 농산물소비와 유통이 새로운 트렌드로 확산 =Ⅱ-8
마. 수출시장의 확대와 정보화 =Ⅱ-10
2. 농산업 구조의 변화 =Ⅱ-13
가. 농업의 지속성에 대한 위기감 증대 =Ⅱ-13
나. 농업과 IT와의 결합을 통한 산업고도화 시도 =Ⅱ-16
다. 농업인력구조의 취약성 확대 =Ⅱ-17
3. 지역농업 주체의 변화 =Ⅱ-19
가. 규모화 · 조직화된 산지유통주체의 확산 =Ⅱ-19
나. 산지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유통형법인 성장 =Ⅱ-21
다. 시설중심의 산지유통규모화 진행, S/W구축은 미흡 =Ⅱ-21
제2절 농림수산 정책사업 현황분석 =Ⅱ-23
1. 정부 농정의 변화 방향 =Ⅱ-23
가. 분석 목적과 필요성 =Ⅱ-23
(1) 정책사업 분석 목적 =Ⅱ-23
(2) 분석 범위와 방향 =Ⅱ-24
나. 농정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래 비전 =Ⅱ-25
(1) 농정 패러다임의 전환 방향 =Ⅱ-25
(2) 현 정부의 농정 비전과 목표 =Ⅱ-28
2. 농업 · 농촌발전 기본계획 =Ⅱ-31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31
(1) 농정의 가이드라인 =Ⅱ-31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31
(3) 농업정보화 연계사업 분류 =Ⅱ-31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32
(1) 식량자급률 목표치 =Ⅱ-32
(2) 식량자급률 제고방안 주요내용 =Ⅱ-32
(3) FTA 경쟁력강화 주요내용 =Ⅱ-33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34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34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35
3.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=Ⅱ-36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36
(1) 식품산업 육성 종합계획 =Ⅱ-36
(2) 식품산업 진흥의 필요성 =Ⅱ-36
(3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36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37
(1) 식품산업진흥 기본계획 =Ⅱ-37
(2)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지원계획 =Ⅱ-38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38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38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40
4. 친환경농업육성 5개년 계획 =Ⅱ-44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44
(1)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=Ⅱ-44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44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44
(1) 친환경농업 육성계획 =Ⅱ-44
(2) 도시농업 활성화방안 =Ⅱ-45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46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46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48
5. 축산업 선진화 계획 =Ⅱ-50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50
(1) 친환경 녹색 축산업 육성 =Ⅱ-50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51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51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52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52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52
6.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개발 =Ⅱ-53
가. 정책의 의미와 범위 =Ⅱ-53
(1) 삶의 질 향상 및 지역개발 =Ⅱ-53
(2) 분석대상과 범위 =Ⅱ-53
나. 분야별 주요정책 =Ⅱ-53
(1)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 지역개발 =Ⅱ-53
(2) 여성농업인 육성계획 =Ⅱ-54
다. 농업정보화 연계분석 =Ⅱ-55
(1) 농업정보화 연계 아이템 =Ⅱ-55
(2) 농업정보화 연계방향 =Ⅱ-56
제3절 농림수산 핵심사업 분석 =Ⅱ-59
1. 분석 목적과 범위 =Ⅱ-59
가. 분석의 목적 =Ⅱ-59
나. 분석의 범위 =Ⅱ-59
다. 분석의 방법 =Ⅱ-60
2. 농림수산 정책사업 종합분석 =Ⅱ-61
가. 농림수산 정책사업 이슈 도출 =Ⅱ-61
(1) 이슈 도출 절차 =Ⅱ-61
(2) 농림수산 전략목표와 성과목표 =Ⅱ-62
(3) 농림수산식품부 중점 추진방향 =Ⅱ-63
(4) 농촌진흥청 중점 추진방향 =64
(5) 농림수산 정책사업 키워드 추출 =Ⅱ-65
(6) 농림수산 정책사업 이슈 정제 =Ⅱ-66
나. 이슈별 농림수산 정책사업 분류 =Ⅱ-67
(1) 농림수산 정책사업 분류 절차 =Ⅱ-67
(2) 농림수산 정책사업 현황 =Ⅱ-68
(3) 이슈별 주요 농림수산 정책사업 정렬 =Ⅱ-70
다. 이슈별 농림수산 사업 주요내용 =Ⅱ-72
(1) 생산기반 확충 =Ⅱ-72
(2) 위험관리 강화 =Ⅱ-79
(3) 농식품 수급안정 =Ⅱ-84
(4) 유통 효율화 =Ⅱ-87
(5) 식품산업 육성 =Ⅱ-93
(6) 지역개발 =Ⅱ-96
(7) 농어가 경영안정 =Ⅱ-98
(8) 농업 역량강화 =Ⅱ-99
(9) 농식품 안전성 관리 =Ⅱ-101
(10) 국제협력 =Ⅱ-103
제4절 농식품 분야 각 주체별 정보화 요구도 분석 =Ⅱ-105
1. 정보화 요구도 분석 개요 =Ⅱ-105
가. 조사개요 =Ⅱ-105
2. 정량조사(생산대상 농가 설문조사) 결과분석 =Ⅱ-107
가. 조사개요 =Ⅱ-107
나. 조사결과 =Ⅱ-108
3. 정성조사(IDI, FGI) 결과분석 =Ⅱ-114
가. 조사개요 =Ⅱ-114
나. 조사결과 =Ⅱ-116
4. 결과요약 및 시사점 =Ⅱ-122
가. 결과 요약 =Ⅱ-122
나. 시사점 =Ⅱ-122
제3장 국가정보화 정책의 변화와 IT융합 =Ⅲ-1
제1절 국가정보화 정책방향 분석 =Ⅲ-1
1. 국가 정보화 계획의 변화 과정 =Ⅲ-1
가. 정보화 정책 추진 경과 =Ⅲ-1
나. 주요성과 =Ⅲ-2
다. 그간의 성과 반성 =Ⅲ-3
2. 국가 정보화 비전 및 계획 =Ⅲ-5
가. 국가정보화 비전 소개 =Ⅲ-5
(1) 2008년 국가정보화 기본계획 =Ⅲ-5
(2) 2009년 국가정보화 실행계획 =Ⅲ-7
가. 주요 부처별 정보화 추진 전략 소개 =Ⅲ-11
(1) 분야별 정보화 추진계획 =Ⅲ-11
(2) 그린 IT 국가전략 =Ⅲ-12
(3)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 =Ⅲ-15
(4) 소프트웨어 강국 도약 전략 =Ⅲ-17
(5) IT KOREA 5대 전략 =Ⅲ-19
(6) 사물통신 기반 구축 계획 =Ⅲ-21
3. 국가정보화 정책 거버넌스의 변화 =Ⅲ-23
가. 새로운 정책체계의 확립 =Ⅲ-24
나. 정보화 및 IT산업 육성정책의 변화 : IT융합의 중요성 부각 =Ⅲ-24
4. 농림수산정보화 계획의 변화 과정 =Ⅲ-25
가. 제1차 농업 · 농촌 정보화의 추진(2002년 ~ 2005년) =Ⅲ-25
나. 제2차 농업 · 농촌 정보화 추진계획 수립(2007년 ~ 2011년) =Ⅲ-25
제2절 IT융합의 정의와 농식품분야의 새로운 기회 =Ⅲ-28
1. IT 융합의 정의 =Ⅲ- 28
가. 학술적인 IT 융합의 배경 =Ⅲ-28
나. 정부의 IT 융합 개념 분석 =Ⅲ-30
2. 산업융합촉진을 위한 법/제도의 제정 =Ⅲ-34
가. 법 · 시행령의 제정 =Ⅲ-34
나. 법 · 시행령의 핵심 내용 =Ⅲ- 35
(1) 산업융합의 정의 및 촉진을 위한 국가의 책무 =Ⅲ-35
(2) 산업융합을 위한 추진체계의 구축 =Ⅲ-36
(3) 산업융합 촉진을 위한 지원 =Ⅲ-37
(4) 산업융합의 기반 조성 =Ⅲ-40
3. 타산업분야 IT 융합정책 =Ⅲ-41
가. New IT 산업 발전전략 =Ⅲ-41
나. 타분야 IT 융합 전략 주체별 구분 =Ⅲ-46
다. 타분야 IT 융합 전략의 주체별 정리 =Ⅲ-47
라. 주체별 타분야 IT 융합 전략 vs New IT 산업 발전전략 =Ⅲ-48
4. 농식품 분야에서의 IT 융합 =Ⅲ-49
가. 가치사슬에 내재화 되고 있는 IT기술 =Ⅲ-49
나. IT융합기술의 농식품 분야 적용 가능성 =Ⅲ-53
다. 농식품 IT융합의 필요성 =Ⅲ-56
제4장 농식품 정보화 추진체계 및 추진조직 진단 =Ⅳ-1
제1절 농식품 정보화 사업 추진체계진단 및 개선기회 도출 =Ⅳ-1
1. 해외 주요국의 정보화 지원체계 벤치마킹 =Ⅳ-1
가. 미국 농무성 및 산하 조직에서의 정보화 지원체계 =Ⅳ-1
(1) 미국 농무성(USDA) 슈석정보담당관실(OCIO) 개요 =Ⅳ-1
(2) 미국 농무성(USDA) 수석정보담당관실(CIO) 주요 업무 =Ⅳ-2
(3) 미국 농무성 주요 부처(국)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=Ⅳ-6
(4) 미국 농무성 농업통계 서비스 =Ⅳ-7
(5) 미국 농무성 연구, 교육, 경제 담당 차관실의 정보시스템 운영 현황 =Ⅳ-8
나. 덴마크 농업자문서비스(DAAS)의 정보화 지원 서비스 체계 =Ⅳ-10
(1) 덴마크 농업자문서비스(Danish Agricultural Advisory Service) 개요 =Ⅳ-10
(2) Web & IT부의 역할 및 주요 성과 =Ⅳ-
다. 농식품분야 해외 학제간 연구 =Ⅳ-
(1) 해외 대학의 농어업 분야 IT 융합 연구 활동 =Ⅳ-
(2) 저널을 통한 농업의 IT 융합 연구 =Ⅳ-
(3) EU ICT-AGRI의 정보통신 신기술 연구 활동 =Ⅳ-
2. 구내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체계 분석 =Ⅳ-
가. 분석 개요 =Ⅳ-
나. 2000년대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=Ⅳ-
(1)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방향 =Ⅳ-
(2)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 목표 =Ⅳ-
(3) 주요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현황 =Ⅳ-
(4)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의 특징 =Ⅳ-
다. 2011년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사업 =Ⅳ-
(1) 중소기업 정보화정책 기초 및 추진방향 =Ⅳ-
(2) 중소기업 정보화사업 추진체계 =Ⅳ-
(3) 정보화 사업 개요 =Ⅳ-
(4) 정보화 사업 세부 내용 =Ⅳ-
3. IT 혁신 센터 사업 =Ⅳ-
가. IT혁신센터 사업의 추진배경 =Ⅳ-
나. IT융합 혁신센터 분야별 분석 =Ⅳ-
(1) 섬유 IT 혁신 센터 =Ⅳ-
(2) 건설 IT 혁신 센터 =Ⅳ-
(3) 농기계 IT 혁신센터 =Ⅳ-
4. 타기관의 사례 =Ⅳ-
가. 행정안전부의 지역정보통합센터 사례 =Ⅳ-
나. 보건복지부의 보건복지정보개발원 사례 =Ⅳ-
5. 농식품부 정보화 추진체계 진단 =Ⅳ-
가. 정보화 추진현황 =Ⅳ-
나.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화[IT] 관리체계 =Ⅳ-
다. 농식품부 내부 정보화 사업 특성 판단 =Ⅳ-
마. 정보화진흥원 현황 =Ⅳ-
바. 보건복지정보개발원 =Ⅳ-
사. 정보통신산업진흥원 =Ⅳ-
아.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 현황 =Ⅳ-
자.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의 역할/기능 진단 =Ⅳ-
6. 정보화 성과 평가 =Ⅳ-
가. 정보화 성과평가 =Ⅳ-
(1) 정보화 성과평가의 필요성 =Ⅳ-
(2) 정보화 성과관리 제도 도입 배경 =Ⅳ-82
(3) 정보화 성과관리의 기대 효과 =Ⅳ-83
나. 성과평가 방법론 소개 =Ⅳ-84
다. 농림수산식품부의 정보화 성과평가 = Ⅳ-106
제2절 농식품부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 = Ⅳ-108
1.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의 목표 = Ⅳ-108
2. 정보화 추진조직 분석의 방법 = Ⅳ-108
가. 분석 도구의 선택 - 다중접촉관점(Multi-contingency View) = Ⅳ-108
나. 다중접촉관점의 세부 내용 = Ⅳ-109
(1) 이론적 배경 = Ⅳ-109
(2) 세부 상황요인 = Ⅳ-110
3. 농식품부 정보화담당관실 분석 결과 = Ⅳ-114
가. 정보화담당관실 진단 결과 종합 = Ⅳ-114
나. 정보화담당관실 진단 결과 세부내용 = Ⅳ-115
(1) 목표 = Ⅳ-115
(2) 전략 = Ⅳ-116
(3) 환경 = Ⅳ-117
(4) 구성 = Ⅳ-118
(5) 복잡성 = Ⅳ-119
(6) 지역분산 = Ⅳ-120
(7) 지식교환 = Ⅳ-121
(8) 업무설계 = Ⅳ-122
(9) 인력 = Ⅳ-123
(10) 리더십 = Ⅳ-124
(11) 조직풍토 = Ⅳ-125
(12) 조정통체계 = Ⅳ-126
(13) 정보체계 = Ⅳ-127
(14) 인센티브 = Ⅳ-128
4. AFFIS 분석 결과 = Ⅳ-129
가. AFFIS 진단 결과 종합 = Ⅳ-129
나. AFFIS 진단 결과 세부내용 = Ⅳ-130
(1) 목표 = Ⅳ-130
(2) 전략 = Ⅳ-131
(3) 환경 = Ⅳ-132
(4) 구성 = Ⅳ-133
(5) 복잡성 = Ⅳ-134
(6) 지식교환 = Ⅳ-135
(7) 업무설계 = Ⅳ-136
(8) 인력 = Ⅳ-137
(9) 리더십 = Ⅳ-138
(10) 조직풍토 = Ⅳ-139
(11) 조정통체계 = Ⅳ-140
(12) 정보체계 = Ⅳ-141
(13) 인센티브 = Ⅳ-142
5. 조직설계 방향 = Ⅳ-142
6. 정보화담당관실을 대상으로 다중조직이론 관점의 조직진단 결과 단계별 적용 = Ⅳ-143
7. 아피스를 대상으로 다중조직이론 관점의 조직진단 결과 단계별 적용 = Ⅳ-150
8. 조직진단 결과에 대한 소결 = Ⅳ-153
가. 농림수산식품부 정보통계 담당관실 = Ⅳ-153
나. 아피스 = Ⅳ-155
9. 추진체계별 역할 진단에 대한 소결 = Ⅳ-156
가. IT 통합 관제 센터 구축을 위한 AFFIS의 역할 = Ⅳ-156
(1) AFFIS의 주요 역량 = Ⅳ-156
(2) IT 통합 관제 센터로소의 AFFIS의 역할 = Ⅳ-157
제3절 농식품부 IT거버넌스 = Ⅳ-160
1.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= Ⅳ-160
가. IT 의사결정 종류 = Ⅳ-161
나. IT 의사결정 원형 = Ⅳ-163
다. IT 거버넌스 매트릭스 = Ⅳ-165
2. 농림수산식품부의 거버넌스 배치 분석 및 설계 = Ⅳ-167
제4절 농식품 정보화 추진체계의 방향성 = 171
1. 농식품부 정보통계담당관실 및 AFFIS의 역할 = 171
가. 정보통계담당관실 및 AFFIS(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)의 방향성 제시 = 171
나. 농림수산식품부의 IT관련 사업 전반에 대한 관리 = 171
다. IT관련 사업의 성공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및 운영관리 = 171
라. 농업 정보자원의 체계적인 수집, 공유, 연계, 활용을 지원 = 172
마. 정보화 담당관실 및 AFFIS의 조직 규모 확대 = 172
바. IT시스템 및 사업의 관리 = 173
2. IT의사결정 형태의 방향성(IT거버넌스 관점) = 174
가. IT와 관련된 각 부처별 의견 수렴을 통한 정보화 목표(IT원칙) 도출 = 174
나. 중앙관리를 통한 정보화 체계(IT아키텍처)의 통합과 표준화 달성 = 174
다. 조직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(IT인프라) 공유 = 174
라. 현업 문제들을 실무적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 = 175
마. IT사업에 중요도를 반영할 수 있는 IT투자 결정 = 175
3. 농림수산식품부의 정보화 성과평가의 방향성 = 176
제5장 농식품 정보시스템 현황 및 벤치마킹 = V-1
제1절 농식품 정보화 사업 현황 분석 = 1
1. 분석의 개요 = 1
2. 분야별 정보시스템 현황 분석 = 1
가. 농기업 정보화 = 1
(1) 분석개요 = 1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3
나. 정보유통 서비스 = 7
(1) 분석개요 = 7
(2) 안전정보 = 7
(3) 이력추적 = 15
(4) 농어업 자원정보 = 21
(5) 생산/경영정보 = 28
(6) 유통정보 = 32
(7) 기타정보 = 33
다. 농식품 R&D = 34
(1) 분석개요 = 34
(2) 업무정보시스템 = 34
(3) R&D 지원 정보시스템 = 42
(4) 교육지원 정보 서비스 = 45
라. 농어촌 경쟁력 강화 = 50
(1) 분석개요 = 50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51
마. 행정서비스 고도화 = 53
(1) 분석개요 = 53
(2) 주요 서비스 시스템 = 54
3. 현행 정보화 사업 시사점 = 56
(1) 정보화 교육 및 컨설팅의 혁신 = 56
(2) 경영능력 향상 지원도구의 다야화 추진 = 56
(3) 정보화 지원 체계의 혁신 = 57
제2절 국내외 정보화 선진사례 분석 = 58
1. 농업인용 소프트웨어 개발 사례 = 58
가. 덴마크의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보급 사례 = 58
(1) 양돈농장 관리프로그램 - DLBR Svine IT = 58
(2) 낙농 관리 프로그램 - DLBR Kvaeg IT = 60
(3) 경종농장 관리 프로그램 - DLBR Plante IT = 62
나. 국내 양돈생산관리 프로그램 사례 = 65
(1) 양돈 경영체의 전산관리 현황 = 65
(2) 전산관리 애로사항 = 66
(3) 전산프로그램 사용농가의 성과분석 = 67
(4) 피그플랜(Pigplan) 사용 농가의 생산성적 분석 = 68
(5) 양돈 ASP 사업의 발전방향 = 70
2. 중소기업 정보화 시스템 및 서비스 구축현황 분석 = 72
가. 분석 개요 = 72
나. 구축 시스템 현황 = 72
(1) 업무정보시스템 = 72
(2) 교육 및 창업지원 = 73
(3) 마케팅 자원 = 76
(4) 조달/공급망 지원 = 78
(5) 중소기업 통계 = 80
(6) 기타 = 81
다. 시사점 = 82
(1)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기존 사업의 강화 = 82
(2) 새로운 IT 트렌드에 맞춤 사업 신설 = 83
(3) 중소기업 기술보호상담 지원 = 83
3. 농업통계, 유통정보, 안전관리 서비스 벤치마킹 = 85
가. 미 농무성의 농업정보 제공 사례 = 85
(1) 경제연구서비스(Economic Research Service, ERS) = 85
(2) 해외농업서비스(Foreign Agricultural Service, FAS) = 87
(3) 국가농업통계서비스(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, NASS) = 88
나. 유럽의 식품안전관리 서비스 사례 (RASFF) = 89
(1) 유럽 식품 및 사료 신속경보시스템(RASFF) 개요 = 89
(2) RASFF 통지 종류 = 90
4. 기후변화 대응 정보화 지원 벤치마킹 = 91
가. 탄소표시제 = 91
(1) 탄소라벨링의 개념 = 91
(2) 해외 추진 동향 = 91
(3) 우리나라의 탄소성적표지제도 = 95
(4) 정보시스템 시사점과 탄소표시제의 도입 효과 = 200
나. 푸드 마일리지(Food Mileage) = 103
(1) 푸드 마일리지의 개념 = 103
(2) 해외 사례 = 104
(3) 우리날 현황 = 104
다. 배출권 거래제(Emission Trading) = 106
(1) 배출권 거래제의 개념 = 106
(2) 해외사례 = 107
(3) 해외사례 = 108
라. 농업 기상 시스템 및 재해 대비 네트워크 구축 = 109
(1) 위성 정보를 활용한 농업 관측 = 109
(2) 재해 경보 시스템 = 111
제3절 국내외 IT융합 서비스 모델 분석 = 114
1. 국내외 농수축산 분야 IT융합 신기술 서비스 모델 개발 동향 = 114
가. 과수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14
나. 원예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30
다. 축산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41
라. 수산분야 IT융합 신기술 동향 = 147
2. 국내외의 서비스 진행 중의 IT융합 비즈니스 모델 분석 = 149
가. 의약품 유통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= 149
(1) 소개 = 149
(2) 국내 적용 사례 = 155
(3) 정책 동향 = 157
나. 유통분야의 비즈니스 모델 : 월마트의 RFID 적용 = 159
(1) 사례개요 = 159
(2) RFID 적용 과정 = 160
(3) RFID 요구사항 = 161
(4) 운영현황 = 161
(5) ROI 및 향후 전망 = 162
다. 국방분야의 적용사례 = 164
(1) 사례개요 = 164
(2) DOD 가이드 라인 = 167
(3) 로드맵 = 168
(4) Global I-TV(In-Transit Visibility) = 172
라. 항만 물류 분야 적용사례 = 177
(1) 사업의 배경 및 목표 = 177
(2) 세부 시스템 구성 = 17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