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20556 | 524.2 김43ㅆ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20209s2011 ulkad 001a kor
020 ▼a9788928500345▼g94380▼c\20000
056 ▼a524.2▼25
090 ▼a524.2▼b김43ㅆ
1001 ▼a김범철
24500▼a쌀의 고고학▼b한국 청동기시대 水稻作과 정치경제▼d김범철 지음
260 ▼a서울▼b민속원▼c2011
300 ▼a283 p.▼b삽화, 도표▼c24 cm
44000▼a쌀·삶·문명 총서
504 ▼a참고문헌 : p.263-279, 색인수록
653 ▼a쌀
9500 ▼b\20000
서문 = 5
제1장 서론 = 13
1. 사회복합화의 진전과 농업생산의 집약화 = 26
2. 한반도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사회ㆍ정치적 변화와 水稻作 = 32
제2장 稻作集約化의 사회조직 복원과 관련된 고고학적 이론과 방법론 = 37
1. 농업집약화를 설명하는 하달형ㆍ자발형 모형의 이론적 배경 = 40
2. 도작집약화에 적용된 하달형ㆍ자발형 모형의 고고학적 함의 = 47
제3장 연구대상지역의 자연환경과 고고학적 배경 = 53
1. 연구대상지역의 자연환경 = 55
2. 연구대상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= 63
제4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광역적 취락분표유형 = 73
1. 자료수집: 자체 광역지표조사와 선행연구 병합 = 80
2. 분석단위의 설정과 취락체계의 복원 = 91
제5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광역적 취락분포유형과 水稻經濟 = 125
1. 토양생선성과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29
2. 협업적 수자원관리와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41
3. 잉여수집의 용이성과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48
4. 요약: 공동체 및 지역정치체별 수도경제의 차별적 양상 = 154
제6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중기의 취락 내 가구 간 빈부차 양상 = 159
1. 고고학 분석단위로서 '家口' 의 정의와 家口考古學 = 163
2. 취락 내 가구 간 貧富差/位階 분석 = 169
3. 각 등급 공동체 내 부 분포양상 = 181
4. 공동체 내 富의 편차와 지역차원의 수도경제 = 192
제7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공공활동과 水稻 생산 = 199
1. 支石墓 축조와 노동력의 공공화 전략 = 202
2. 공공화된 노동력투여의 변화 = 243
제8장 결론: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도작집약화와 정치경제의 발달 = 249
1. 정치체별 사회조직 구성의 상사ㆍ상이성 = 252
2. 수도 생산ㆍ분배의 공동체별 차별성 = 253
3. 공동체별 두 분포의 양상의 상사ㆍ상이성 = 255
4. 하달형 혹은 자발형? = 256
5. 중기 청동기사회의 정치경제와 지도권: 양분적 대립모형의 극복 = 257
6. 정치경제의 발달과 공공행위 양상의 변화 = 260
참고문헌 = 262
찾아보기 = 280
제1장 서론 = 13
1. 사회복합화의 진전과 농업생산의 집약화 = 26
2. 한반도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사회ㆍ정치적 변화와 水稻作 = 32
제2장 稻作集約化의 사회조직 복원과 관련된 고고학적 이론과 방법론 = 37
1. 농업집약화를 설명하는 하달형ㆍ자발형 모형의 이론적 배경 = 40
2. 도작집약화에 적용된 하달형ㆍ자발형 모형의 고고학적 함의 = 47
제3장 연구대상지역의 자연환경과 고고학적 배경 = 53
1. 연구대상지역의 자연환경 = 55
2. 연구대상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= 63
제4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광역적 취락분표유형 = 73
1. 자료수집: 자체 광역지표조사와 선행연구 병합 = 80
2. 분석단위의 설정과 취락체계의 복원 = 91
제5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의 광역적 취락분포유형과 水稻經濟 = 125
1. 토양생선성과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29
2. 협업적 수자원관리와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41
3. 잉여수집의 용이성과 광역적 취락분포유형 = 148
4. 요약: 공동체 및 지역정치체별 수도경제의 차별적 양상 = 154
제6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중기의 취락 내 가구 간 빈부차 양상 = 159
1. 고고학 분석단위로서 '家口' 의 정의와 家口考古學 = 163
2. 취락 내 가구 간 貧富差/位階 분석 = 169
3. 각 등급 공동체 내 부 분포양상 = 181
4. 공동체 내 富의 편차와 지역차원의 수도경제 = 192
제7장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의 공공활동과 水稻 생산 = 199
1. 支石墓 축조와 노동력의 공공화 전략 = 202
2. 공공화된 노동력투여의 변화 = 243
제8장 결론: 중서부지역 청동기시대 중기 도작집약화와 정치경제의 발달 = 249
1. 정치체별 사회조직 구성의 상사ㆍ상이성 = 252
2. 수도 생산ㆍ분배의 공동체별 차별성 = 253
3. 공동체별 두 분포의 양상의 상사ㆍ상이성 = 255
4. 하달형 혹은 자발형? = 256
5. 중기 청동기사회의 정치경제와 지도권: 양분적 대립모형의 극복 = 257
6. 정치경제의 발달과 공공행위 양상의 변화 = 260
참고문헌 = 262
찾아보기 = 28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