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연구용역보고서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농239ㅅ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
- 서명/저자
- 식물 방어 기작을 이용한 싹기름채소의 고품질화 및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화 기술개발 / 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 ; 한국식품연구원
- 발행사항
- [경기] : 한국식품연구원, 2011
- 형태사항
- 335 p. : 삽도 ; 30 cm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: 임정호
- 주기사항
- 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1075-01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320-334
- 기타저자
- 임정호
- 기타저자
- 한국식품연구원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9127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03674 | 용 : 520.7 농239ㅅ v.2011-171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20103s2011 ggka t 000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농239ㅅ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식품산업정책과
24500▼a식물 방어 기작을 이용한 싹기름채소의 고품질화 및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화 기술개발▼d농림수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과▼e한국식품연구원
260 ▼a[경기]▼b한국식품연구원▼c2011
300 ▼a335 p.▼b삽도▼c30 cm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00▼a연구책임자: 임정호
50000▼a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1075-01
504 ▼a참고문헌 : p.320-334
7001 ▼a임정호
710 ▼a한국식품연구원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3674
9501 ▼a비매품
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= 46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= 54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= 59
제1절 재료 및 방법 = 59
1. 식물방어기작을 이용한 기능성 증진 싹기름채소의 단위 공정별 기술개발 = 59
가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및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59
(1) 이산화염소수의 제조 = 59
(2) 총균수 측정 = 59
(3) 발아율 측정 = 59
(4) 균주 배양 및 현탁액 제조 = 59
(5) 균주의 인위적인 오염 = 60
(6) 이산화염소수, citric acid 및 glycerin 처리 = 60
나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을 위한 elicitor 처리 효과 = 60
(1) 추출 = 60
(2) 총 페놀 함량 측정 = 60
(3) UPLC-Q-TOF 를 이용한 phenolic compounds의 분리 및 동정 = 61
(4) 루틴 함량 측정 = 61
(5) DPPH 라디칼 소거능 = 61
(6)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(Frap) assay 측정 = 62
(7) Phenylalanine ammonina lyase (PAL) activity assay = 62
(8) α-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 = 62
(9) α-Amylase 저해활성 측정 = 63
(10) ACE 저해 활성 측정 = 63
다. 병행 elicitor 처리에 의한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 실증실험 = 63
(1) 길이변화 측정 = 64
(2) 중량 감소율 측정 = 64
(3) 색도 및 갈색도 측정 = 64
(4) 카로티노이드 함량 측정 = 64
(5) 유기산 함량 측정 = 64
(6) 유리당 함량 측정 = 65
(7) 통계처리 = 65
2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식품 소재화 연구 = 65
가.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메밀 (Fagopyrum esculentum M.) 새싹 기능성분의 추출 조건 최적화 = 65
(1) 추출 = 65
(2) 추출조건 설정을 위한 실험설계 = 65
(3) 최적 추출조건의 예측 및 실증시험 = 67
(4) 수율 측정 = 67
나. 용매 특성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유효성분 추출 조건 설정 = 67
(1) 재료 = 67
(2) 용매 추출 조건 = 68
다. 메밀쌀기름채소 추출물의 분리정제 및 비드 제조 = 68
(1) 수용성 페놀 물질 (SBP) 정제 = 68
(2)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을 이용한 비드제조 = 68
(3) 비드 방출실험 = 69
(4) SEM 분석 = 70
(5) Bead 크기 및 구형 분석 = 70
3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omic 특성 및 지질대사 개선 연구 = 70
가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존생산 방식과 MeJA 처리구간의 Metabolomic 특성 조사 = 70
(1) 메밀싹기름채소 재배 및 MeJA 처리 = 70
(2) UPLC-Q-TOF를 이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ites 분석 = 70
(3) Data process = 71
(4) 다변량통계분석 및 data analysis = 71
나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72
(1) 메밀싹기름채소 기능소재 추출물 제조 = 72
(2) 전분가수분해 저해 효과 = 72
(3) 담즙산흡수지연 효과 = 73
다. 메밀싹기름채소의 RAW 264.7 cell에 의한 항염증효과 조사 = 73
(1) 추출 = 73
(2) RAW 264.7 cells 배양 = 73
(3) Nitrite oxide (NO) 생성량 측정 = 74
(4) 세포 독성 측정 = 74
라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내 지방축적 저감 및 ROS (reactive oxygen species) 생성 억제능 평가 = 74
(1) 재료 = 74
(2) 추출 및 시료조제 = 74
(3) 3T3-L1 세포배양 및 분화 = 75
(4)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평가 = 75
(5) Oil Red O staining을 이용한 지방축적량 관찰 = 76
(6) NBT assay를 이용한 ROS 함량 측정 = 76
(7) 주요 유전자의 발현 조사 = 76
(8) Total RNA의 추출 및 cDNA의 함성 = 77
(9) Semi-quantitative RT-PCR = 77
(10) 통계분석 = 78
마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vo 고지혈증 개선 효과 측정 = 78
(1) 재료 = 78
(2) 실험동물 = 78
(3) 실험식이 = 79
(4) 분변의 수집, 채혈, 장기무게 측정 = 79
(5) 혈액성분 측정 = 80
(6) 간장 및 분변의 성분 측정 = 80
(7) 통계처리 = 80
바. UPLC-Q-TOF MS를 이용한 메밀 싹 처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의 혈청 대사체 분석 = 81
(1) 재료 및 시료 전처리 = 81
(2) UPLC-Q-TOF MS를 이용한 혈청 대사체 분석 = 81
(3) Data analysis = 81
제2절 식물방어기작을 이용한 기능성 증진 싹기름채소의 단위 공정별 기술개발 = 82
1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및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82
가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조건 설정 = 82
나. 싹기름 채소의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90
2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을 위한 적정 elicitor 처리 효과 = 94
가. 기능수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기능성 증진 효과 = 94
나. MSM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 특성 변화 = 99
다. 키토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Ⅰ= 102
라. 키토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Ⅱ= 106
마. CO2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1
바. N2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4
사. UV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7
아.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21
3. 단독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24
가.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24
(1) Methyl Jasmonate 농도별 처리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= 124
(2)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수확일별 및 처리 주기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= 132
나. 염화물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36
4. 병행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41
가. MeJA에 대한 UV-B 및 light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41
나. MeJA에 대한 염화물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45
다. MeJA에 대한 염화물과 light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52
5. 병행 elicitor 처리에 의한 기능성 증긴 메밀싹채소의 재배효과 및 실증실험 = 165
가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품질 특성 = 165
나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품질 특성Ⅱ= 177
다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유통 품질 특성 = 189
제3절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식품 소재화 연구 = 198
1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영양성분 분석 = 198
2.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메밀 (Fagopyrum esculentum M.) 새싹 기능성분의 추출 조건 최적화 = 206
3. 용매 특성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분 추출 조건 설정 = 215
4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의 분리정제 = 222
가. 메밀싹기름채소의 수용성 페놀 물질 분리 = 223
나. 메밀싹기름채소로부터 추출한 천연항산화성분을 이용한 비드제조 = 230
제4절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omic 특성 및 지질대사 개선 연구 = 243
1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존생산 방식과 MeJA 처리구간의 Metabolomic 특성 조사 = 243
2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50
가. 적정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50
나. 병행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72
3. 메밀싹기름채소의 RAW 264.7 cell에 의한 항염증효과 조사 = 278
4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내 지방축적 저감 및 ROS (reactive oxygen species) 생성 억제능 평가 = 281
5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vo 고지혈증 개선 효과 = 292
6. UPLC-Q-TOF MS를 이용한 메밀싹기름채소 처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의 혈청 대사체 분석 = 301
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= 306
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= 309
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= 313
제7장 참고문헌 = 320
부록 = 335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= 54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= 59
제1절 재료 및 방법 = 59
1. 식물방어기작을 이용한 기능성 증진 싹기름채소의 단위 공정별 기술개발 = 59
가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및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59
(1) 이산화염소수의 제조 = 59
(2) 총균수 측정 = 59
(3) 발아율 측정 = 59
(4) 균주 배양 및 현탁액 제조 = 59
(5) 균주의 인위적인 오염 = 60
(6) 이산화염소수, citric acid 및 glycerin 처리 = 60
나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을 위한 elicitor 처리 효과 = 60
(1) 추출 = 60
(2) 총 페놀 함량 측정 = 60
(3) UPLC-Q-TOF 를 이용한 phenolic compounds의 분리 및 동정 = 61
(4) 루틴 함량 측정 = 61
(5) DPPH 라디칼 소거능 = 61
(6)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(Frap) assay 측정 = 62
(7) Phenylalanine ammonina lyase (PAL) activity assay = 62
(8) α-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 = 62
(9) α-Amylase 저해활성 측정 = 63
(10) ACE 저해 활성 측정 = 63
다. 병행 elicitor 처리에 의한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 실증실험 = 63
(1) 길이변화 측정 = 64
(2) 중량 감소율 측정 = 64
(3) 색도 및 갈색도 측정 = 64
(4) 카로티노이드 함량 측정 = 64
(5) 유기산 함량 측정 = 64
(6) 유리당 함량 측정 = 65
(7) 통계처리 = 65
2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식품 소재화 연구 = 65
가.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메밀 (Fagopyrum esculentum M.) 새싹 기능성분의 추출 조건 최적화 = 65
(1) 추출 = 65
(2) 추출조건 설정을 위한 실험설계 = 65
(3) 최적 추출조건의 예측 및 실증시험 = 67
(4) 수율 측정 = 67
나. 용매 특성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유효성분 추출 조건 설정 = 67
(1) 재료 = 67
(2) 용매 추출 조건 = 68
다. 메밀쌀기름채소 추출물의 분리정제 및 비드 제조 = 68
(1) 수용성 페놀 물질 (SBP) 정제 = 68
(2)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을 이용한 비드제조 = 68
(3) 비드 방출실험 = 69
(4) SEM 분석 = 70
(5) Bead 크기 및 구형 분석 = 70
3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omic 특성 및 지질대사 개선 연구 = 70
가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존생산 방식과 MeJA 처리구간의 Metabolomic 특성 조사 = 70
(1) 메밀싹기름채소 재배 및 MeJA 처리 = 70
(2) UPLC-Q-TOF를 이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ites 분석 = 70
(3) Data process = 71
(4) 다변량통계분석 및 data analysis = 71
나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72
(1) 메밀싹기름채소 기능소재 추출물 제조 = 72
(2) 전분가수분해 저해 효과 = 72
(3) 담즙산흡수지연 효과 = 73
다. 메밀싹기름채소의 RAW 264.7 cell에 의한 항염증효과 조사 = 73
(1) 추출 = 73
(2) RAW 264.7 cells 배양 = 73
(3) Nitrite oxide (NO) 생성량 측정 = 74
(4) 세포 독성 측정 = 74
라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내 지방축적 저감 및 ROS (reactive oxygen species) 생성 억제능 평가 = 74
(1) 재료 = 74
(2) 추출 및 시료조제 = 74
(3) 3T3-L1 세포배양 및 분화 = 75
(4) X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평가 = 75
(5) Oil Red O staining을 이용한 지방축적량 관찰 = 76
(6) NBT assay를 이용한 ROS 함량 측정 = 76
(7) 주요 유전자의 발현 조사 = 76
(8) Total RNA의 추출 및 cDNA의 함성 = 77
(9) Semi-quantitative RT-PCR = 77
(10) 통계분석 = 78
마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vo 고지혈증 개선 효과 측정 = 78
(1) 재료 = 78
(2) 실험동물 = 78
(3) 실험식이 = 79
(4) 분변의 수집, 채혈, 장기무게 측정 = 79
(5) 혈액성분 측정 = 80
(6) 간장 및 분변의 성분 측정 = 80
(7) 통계처리 = 80
바. UPLC-Q-TOF MS를 이용한 메밀 싹 처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의 혈청 대사체 분석 = 81
(1) 재료 및 시료 전처리 = 81
(2) UPLC-Q-TOF MS를 이용한 혈청 대사체 분석 = 81
(3) Data analysis = 81
제2절 식물방어기작을 이용한 기능성 증진 싹기름채소의 단위 공정별 기술개발 = 82
1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및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82
가. 싹기름채소의 위생적인 종자 처리 조건 설정 = 82
나. 싹기름 채소의 발아 중 관수처리 조건 설정 = 90
2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증진을 위한 적정 elicitor 처리 효과 = 94
가. 기능수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기능성 증진 효과 = 94
나. MSM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 특성 변화 = 99
다. 키토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Ⅰ= 102
라. 키토산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Ⅱ= 106
마. CO2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1
바. N2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4
사. UV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17
아.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 특성 변화 = 121
3. 단독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24
가.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24
(1) Methyl Jasmonate 농도별 처리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= 124
(2) Methyl Jasmonate 처리에 따른 수확일별 및 처리 주기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 = 132
나. 염화물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36
4. 병행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품질 특성 변화 = 141
가. MeJA에 대한 UV-B 및 light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41
나. MeJA에 대한 염화물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45
다. MeJA에 대한 염화물과 light 병행 처리 조건 설정 = 152
5. 병행 elicitor 처리에 의한 기능성 증긴 메밀싹채소의 재배효과 및 실증실험 = 165
가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품질 특성 = 165
나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품질 특성Ⅱ= 177
다. 병행 처리에 따른 메밀싹채소의 유통 품질 특성 = 189
제3절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식품 소재화 연구 = 198
1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영양성분 분석 = 198
2.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메밀 (Fagopyrum esculentum M.) 새싹 기능성분의 추출 조건 최적화 = 206
3. 용매 특성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기능성분 추출 조건 설정 = 215
4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의 분리정제 = 222
가. 메밀싹기름채소의 수용성 페놀 물질 분리 = 223
나. 메밀싹기름채소로부터 추출한 천연항산화성분을 이용한 비드제조 = 230
제4절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Metabolomic 특성 및 지질대사 개선 연구 = 243
1. 메밀싹기름채소의 기존생산 방식과 MeJA 처리구간의 Metabolomic 특성 조사 = 243
2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50
가. 적정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50
나. 병행 elicitor 처리에 따른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tro 효능 평가 = 272
3. 메밀싹기름채소의 RAW 264.7 cell에 의한 항염증효과 조사 = 278
4. 메밀싹기름채소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내 지방축적 저감 및 ROS (reactive oxygen species) 생성 억제능 평가 = 281
5. 식물방어기작을 적용한 메밀싹기름채소의 in vivo 고지혈증 개선 효과 = 292
6. UPLC-Q-TOF MS를 이용한 메밀싹기름채소 처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쥐의 혈청 대사체 분석 = 301
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= 306
제5장 연구개발 성과 및 성과활용 계획 = 309
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= 313
제7장 참고문헌 = 320
부록 = 33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