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20002 | 150 김223ㅌ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10511s2011 ggka 000a kor
020 ▼a9788993905588▼g03100▼c\13000
056 ▼a150▼24
090 ▼a150▼b김223ㅌ
1001 ▼a김덕균
24510▼a통쾌한 동양학▼b동양 고전의 눈으로 오늘의 현실을 읽어내다▼d김덕균 지음
260 ▼a파주▼b글항아리▼c2011
300 ▼a307 p.▼b삽도▼c22 cm
653 ▼a동양학▼a동양고전▼a동아시아문화
9500 ▼b\13000
머리말_ 즐거운 동양학을 위하여
제1부 오래된 말들의 부활
하나 | 공부를 무기로 삼는 사회
둘 | 몸과 마음으로 하는 공부
셋 | 제사와 구더기의 관계
넷 | 제사를 지내는 진짜 이유
다섯 | 차례인가, 다례인가, 주례인가
여섯 | 군주는 배, 서민은 물
일곱 | 빗나간 충성
여덟 | 명당明堂에 대한 오해
아홉 | 역易에 숨겨진 뜻
열 | 한자의 수는 왜 계속 늘어날까
열하나 | 가난함이 공자를 만들었다
열둘 | 벌목과 사냥이 효와 무슨 관계인가
열셋 | 예禮는 발을 열심히 움직이는 것
열넷 | 오랑캐, 창조와 집적의 차이
열다섯 | 신라의 화랑은 어떻게 변질되었나
열여섯 | 유교는 경제를 무시한 적이 없다
열일곱 | 당나라의 절묘한 성경 번역
열여덟 | 원효는 정말 해골바가지의 물을 마셨을까
열아홉 | 퇴계가 페미니스트인 몇 가지 이유
스물 | 주자학은 산에서, 양명학은 도시에서
스물하나 | 내용이 좋아도 포장이 지나치면
스물둘 | 죽음에 대한 동양적 고찰
스물셋 | 역사 속의 유가문화
제2부 고전의 눈으로 읽는 현실
하나 |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
둘 | 세계화시대 세계화하지 못한 것
셋 | 문화 포용정책의 위력
넷 | 날로 먹는 나라, 삭혀 먹는 나라
다섯 | 일본이 부러워하는 한국의 효문화
여섯 | 자연재해가 만든 일본인의 품성
일곱 |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명당
여덟 | 이상사회, 아무것도 안 해야 이뤄진다?
아홉 | “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”
열 | 왜란 때 의병의 배후에 있었던 것은
열하나 | 경종이 후사를 두지 않은 진짜 이유
열둘 | 동양의 가족은 마치 생명체 같다
열셋 | 가족주의의 재활용은 가능한가?
열넷 | 가족해체와 애완동물
열다섯 | 멀수록 더 간절해지는 효
열여섯 | 고산족의 살인에 종지부를 찍다
열일곱 | 지하철만 타면 눈을 감는 사람들
열여덟 | 오래된 주제, 선과 악
열아홉 | 첫 단추를 잘못 끼운 것이 화근이다
스물 | 회초리와 교육
스물하나 | 서당의 작은 역사
스물둘 | 황제도 스승 앞에서는 예를 갖췄는데
스물셋 | 줄 세우기 교육, 과연 옳은가?
스물넷 | 공공의 심부름꾼에게 바라는 것
스물다섯 | 발해는 발해일 뿐
스물여섯 | 단군릉은 어디에?
스물일곱 | 동방예의지국, 서방예의지국
스물여덟 | 군자 같은 소인, 소인 같은 군자
스물아홉 | 현대판 합종연횡
서른 | 아시아적 가치의 경쟁력
서른하나 | 유교문화, 재활용 가능할까?
서른둘 | 밥 하는 사람, 밥 먹는 사람
서른셋 | 진시황과 베이징 올림픽
서른넷 | 일반화된 중국의 대對 한반도 인식
서른다섯 | 문화민족의 저력
서른여섯 | 중국의 편협한 애국주의 열풍을 염려하며
서른일곱 | 중국, 희망인가 두려움인가?
제1부 오래된 말들의 부활
하나 | 공부를 무기로 삼는 사회
둘 | 몸과 마음으로 하는 공부
셋 | 제사와 구더기의 관계
넷 | 제사를 지내는 진짜 이유
다섯 | 차례인가, 다례인가, 주례인가
여섯 | 군주는 배, 서민은 물
일곱 | 빗나간 충성
여덟 | 명당明堂에 대한 오해
아홉 | 역易에 숨겨진 뜻
열 | 한자의 수는 왜 계속 늘어날까
열하나 | 가난함이 공자를 만들었다
열둘 | 벌목과 사냥이 효와 무슨 관계인가
열셋 | 예禮는 발을 열심히 움직이는 것
열넷 | 오랑캐, 창조와 집적의 차이
열다섯 | 신라의 화랑은 어떻게 변질되었나
열여섯 | 유교는 경제를 무시한 적이 없다
열일곱 | 당나라의 절묘한 성경 번역
열여덟 | 원효는 정말 해골바가지의 물을 마셨을까
열아홉 | 퇴계가 페미니스트인 몇 가지 이유
스물 | 주자학은 산에서, 양명학은 도시에서
스물하나 | 내용이 좋아도 포장이 지나치면
스물둘 | 죽음에 대한 동양적 고찰
스물셋 | 역사 속의 유가문화
제2부 고전의 눈으로 읽는 현실
하나 |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
둘 | 세계화시대 세계화하지 못한 것
셋 | 문화 포용정책의 위력
넷 | 날로 먹는 나라, 삭혀 먹는 나라
다섯 | 일본이 부러워하는 한국의 효문화
여섯 | 자연재해가 만든 일본인의 품성
일곱 |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명당
여덟 | 이상사회, 아무것도 안 해야 이뤄진다?
아홉 | “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”
열 | 왜란 때 의병의 배후에 있었던 것은
열하나 | 경종이 후사를 두지 않은 진짜 이유
열둘 | 동양의 가족은 마치 생명체 같다
열셋 | 가족주의의 재활용은 가능한가?
열넷 | 가족해체와 애완동물
열다섯 | 멀수록 더 간절해지는 효
열여섯 | 고산족의 살인에 종지부를 찍다
열일곱 | 지하철만 타면 눈을 감는 사람들
열여덟 | 오래된 주제, 선과 악
열아홉 | 첫 단추를 잘못 끼운 것이 화근이다
스물 | 회초리와 교육
스물하나 | 서당의 작은 역사
스물둘 | 황제도 스승 앞에서는 예를 갖췄는데
스물셋 | 줄 세우기 교육, 과연 옳은가?
스물넷 | 공공의 심부름꾼에게 바라는 것
스물다섯 | 발해는 발해일 뿐
스물여섯 | 단군릉은 어디에?
스물일곱 | 동방예의지국, 서방예의지국
스물여덟 | 군자 같은 소인, 소인 같은 군자
스물아홉 | 현대판 합종연횡
서른 | 아시아적 가치의 경쟁력
서른하나 | 유교문화, 재활용 가능할까?
서른둘 | 밥 하는 사람, 밥 먹는 사람
서른셋 | 진시황과 베이징 올림픽
서른넷 | 일반화된 중국의 대對 한반도 인식
서른다섯 | 문화민족의 저력
서른여섯 | 중국의 편협한 애국주의 열풍을 염려하며
서른일곱 | 중국, 희망인가 두려움인가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