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농239ㅈ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
- 서명/저자
- (2007년도) 전남바다목장사업보고서 : 2단계 4차년도 보고서 / 농림수산식품부 ; 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- 발행사항
- [부산] : 국립수산과학원, 2008
- 형태사항
- lxⅶ, 521 p. : 삽도 ; 전자파일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 : 김윤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수록
- 기타저자
- 김윤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국립수산과학원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7856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0624 | EB : 520.7 농239ㅈ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10408s2008 bnk 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농239ㅈ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
24520▼a(2007년도) 전남바다목장사업보고서▼b2단계 4차년도 보고서▼d농림수산식품부▼e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260 ▼a[부산]▼b국립수산과학원▼c2008
300 ▼alxⅶ, 521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10▼a연구책임자 : 김윤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4 ▼a참고문헌 수록
7001 ▼a김윤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국립수산과학원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0624
9501 ▼a비매품
제1장 총괄관리 = 71
제1절 서론 = 73
제2절 사업 계획수립 = 74
1. 중점목표 및 추진방향 = 74
가. 필요성 = 74
나. 개념 = 74
다. 중점목표 및 추진방향 수립 = 76
2. 세부추진 방향 = 76
가. 지속적 생산성 유지를 위한 기반 조성 = 76
나. 생태계 개선을 위한 어장 조성 = 78
다. 생태계 개선을 위한 자원 조성 = 79
라. 최대 생산량 유지를 위한 어업생산시스템 확립 = 79
마. 바다목장 이용·관리 = 79
제3절 로드맵 작성 = 80
1. 기본계획 = 80
2. 추진현황 = 84
3. 로드맵 구성 = 90
4.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 수립 = 91
가. 분야별 흐름도 = 91
나.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= 99
제4절 업무편람 정비 = 102
1. 운영관리 규정 = 102
가. 운영위원회 = 102
나. 지역협의회 = 103
다. 지역관리사무소 = 103
2. 업무편람 항목 = 104
가. 연구개발사업 = 104
나. 인공어초 시설사업 = 104
다. 종묘방류사업 = 105
라. 기타 시설사업 = 105
마. 성과평가 = 106
바. 성과물 관리(연구성과물, 지적재산권) = 106
3. 연구개발사업 업무편람 = 106
가. 업무흐름도(그림 1-4-1) = 106
나. 연구용역 선정 세부절차 = 106
다. 진도관리 및 평가 = 108
라. 연구성과 활용 및 관리 = 109
4. 시설·방류사업 업무편람 = 109
가. 인공어초 시설사업(그림 1-4-2) = 109
나. 종묘방류 사업(그림 1-4-3) = 112
다. 기타 시설사업(그림 1-4-3) = 120
제5절 결론 및 고찰 = 123
제2장 연구개발사업 = 125
제1절 서론 = 127
제2절 어장 및 자원조성 = 129
1.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전복방류량 산정연구 = 129
가. 서론 = 129
나. 재료 및 방법 = 131
1) 인공어초 연구 = 131
가) 조사 시기 및 장소 = 131
나) 인공어초 시설지 기초조사 = 132
다) 시험어초 효과조사 = 133
2) 해중림 효과조사 = 134
가) seedbank 시설 상태조사 = 134
나) seedbank 시설해역 해조류 실태조사 = 134
3) 전복 적정 방류량 산정 연구 = 135
가) 전복 및 해조자원 조사 = 135
나) 먹이전환효율 구명 = 135
다) 적정 방류량 산정 = 136
다. 결과 및 고찰 = 136
1) 인공어초 연구 = 136
가) 인공어초 시설지 기초조사(서식생물상) = 136
나) 시험어초 효과 = 171
2) 해중림 효과조사 = 175
가) seedbank 시설 상태 = 175
나) seedbank 시설해역 해조상 = 176
3) 전복 적정 방류량 산정 연구 = 181
가) 전복 및 해조자원 조사 = 181
나) 먹이전환효율 구명 = 185
다) 방류량 산정을 위한 해조량 추정 = 186
라. 참고문헌 = 188
부록 = 190
2. 중간육성시험 및 방류효과조사 = 193
가. 서론 = 193
나. 재료 및 방법 = 194
1) 구조물과 행동 특성 = 194
2)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= 194
3) 방류 효과조사 = 195
가) 어류 = 195
나) 전복 = 196
4) 감성돔의 음향순치 = 196
가) 음향순치 시스템 = 196
나) 감성돔 음향 순치 = 198
다) 감성돔 음향 순치 효과조사 방법 = 199
5)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= 201
가) 시험어 = 201
나)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= 201
다) 감성돔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(D-loop) 증폭 및 PCR-RFLP 분석 = 201
라) Microsatelite marker를 이용한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비교 = 203
다. 결과 및 토의 = 204
1) 구조물과 행동 특성 = 204
가) 자연석과 TTP로 만든 어장 = 204
나) 사다리꼴 복합 강제어초 = 206
다) 돔형 복합 강제어초 = 207
라) 이야포 피라미드 강제어초 = 207
마) 이야포 입구 피라미드 강제어초 = 210
바) 안도 이야포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1
사) 중삼서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2
아/자) 초삼서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2
자/차) 이식 잘피밭(안도 북쪽 연안) = 213
2)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= 218
가) 해양수산부 수산종묘 매입 방류사업 시행지침 = 218
나) 중간육성 타당성 검토 = 219
다) 야성화 훈련 = 220
라) 건의 = 221
3) 방류효과조사 = 221
가) 방류해역의 어류상 = 221
나) 어류 방류효과 = 223
다) 전복 방류효과 = 226
4) 감성돔의 음향 순치 = 229
가) 방류 직후 음향급이기 근접 주변의 감성돔 유집 반응 = 229
나)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순치 후 효과 조사 = 230
5)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= 235
가)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(D-loop) 분석 = 235
나)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(D-loop)의 다양성 및 관련성 = 237
다)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= 237
라. 참고문헌 = 245
3. 감성돔 이동조사 = 247
가. 서론 = 247
나. 재료 및 방법 = 247
1) 실험 해역, 장치의 구성 및 배치 = 247
2) 음향표지 = 248
3) 음향표지의 부착 및 방류 = 248
다. 결과 및 고찰 = 250
1) 이동범위 = 250
2) 행동특성 = 251
가) 수평방향의 주야간 행동 = 251
나) 연직 일주행동 및 유영층의 수온 = 251
3) 감성돔의 체류시간 및 체류율 = 251
가) 어체의 크기에 따른 비교 = 251
나) 해안선의 모양에 따른 비교 = 252
다) 자연산과 양식산의 비교 = 253
라) 해상가두리의 유무에 따른 비교 = 253
4) 황점볼락의 체류시간 및 체류율 = 255
5) 음향표지의 탐지율 = 255
가) 신호 송신주기와의 관계 = 255
나) 신호 송신출력과의 관계 = 257
라. 요약 = 257
마. 앞으로의 연구 계획 = 258
바. 참고문헌 = 259
4. 잘피어장 조성 = 260
가. 서론 = 260
나. 재료 및 방법 = 260
1) 생육환경 특성조사 = 260
2) 잘피의 형태학적 특성조사 = 260
3) 잘피장 생산성 변화 = 261
4) 바다목장화 지역에서의 이식 가능 지역탐색 = 261
5) 어류군집조사 = 261
다. 결과 및 고찰 = 262
1) 생육환경특성조사 = 262
2) 잘피의 형태학적 특성조사 = 263
3) 잘피장 생산성 변화 = 263
4) 바다목장화 지역에서의 이식 가능 지역탐색 = 266
5) 어류군집조사 = 266
가) 종조성 = 266
나) 계절별 양적변동 = 266
다) 어류군집의 생태지수 = 268
라) 군집분석 = 268
라. 참고문헌 = 269
5.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= 270
가. 서론 = 270
나. 재료 및 방법 = 270
1) 친어확보 및 사육관리 = 270
2) 친어의 암수 판별 = 270
3) 황점볼락 암수 친어의 적정 수용비 검토 = 271
4) 암수 교미시기 조사 = 272
5)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2= 72
다. 결과 및 고찰 = 272
1) VGT 및 생식소를 통한 암수 확인 = 272
2) 확보된 자연산 황점볼락의 암수 친어 수 및 어체측정 = 274
3) 황점볼락 암수 친어의 적정 수용비 조사 = 275
4) 황점볼락의 친어의 교미시기 조사 = 276
가) GSI, HSI, CF = 276
나) 혈중 sex steroid hormone 농도 = 276
5)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= 279
라. 참고문헌 = 280
제3절 해양환경 및 자원평가 = 81
1. 해양환경 = 281
가. 해수유동 = 281
1) 조사개요 = 281
2) 재료 및 방법 = 281
가) 조석자료 = 281
나) 조류관측 = 283
3) 결과 및 고찰 = 283
가) 조석특성 = 283
나) 조류특성 = 285
나. 일반물리환경 = 302
1) 서론 = 302
2) 재료 및 방법 = 302
3) 결과 및 고찰 = 303
가) 투명도 = 303
나) 수온 = 304
다) 염분 = 305
라) T-S diagram에 의한 수괴분포 = 306
4) 소결 = 307
다. 해수질 특성 = 308
1) 서론 = 308
2) 재료 및 방법 = 308
가) 수소이온농도(pH) = 309
나) 용존산소량(Dissolved Oxygen, DO) = 309
다) 화학적 산소요구량(Chemical Oxygen Demand, COD) = 309
라) 총부유물질량(Total Suspended Matters, TSM) = 309
마) 질소계 영양염류 = 309
바) 인계 영양염류 = 309
사) 규산염 = 310
아) 입자성 유기탄소와 질소(Particulate Organic Carbon/Nitrogen ; POC, PON) = 310
자) 엽록소 a 량(Chlorophyll a) = 310
3) 결과 및 고찰(해양환경 및 생물군집 특성조사 3) = 310
가) 수소이온농도(pH) = 310
나) 용존산소량(Dissolved Oxygen, DO) = 311
다) 화학적 산소요구량(Chemical Oxygen Demand, COD) = 312
라) 질소계 영양염류 = 314
마) 인계 영양염류 = 317
바) 규산염 = 321
사) 입자성 유기탄소와 질소(Particulate Organic Carbon/Nitrogen, POC, PON) = 322
아) 엽록소 a 량(Chlorophyll a) = 325
4) 결론 = 329
라. 해양표층퇴적물의 유기물량 = 329
1) 서론 = 329
2) 재료 및 방법 = 330
가) 강열감량(Ignition Loss, IL) = 330
나)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s) = 330
다)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331
라) 입도분석 = 331
3) 결과 및 토의 = 331
가) 강열감량(Ignition Loss, IL) = 331
나)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s) = 331
다)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332
라) 입도분석 = 333
4) 결론 = 333
마. 식물플랑크톤 군집 = 334
1) 서론 = 334
2) 재료 및 방법 = 335
가) 군집구조 = 335
나) 크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= 336
다)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= 337
라) 기초생산력 = 337
3) 결과 및 토의 = 337
가)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= 337
나) 현존량 = 344
다) 우점종 = 362
라) 생태지수 및 집괴분석 = 363
마) 크기에 따른 Chl-a 농도 = 367
바)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= 370
사) 기초생산력 = 372
4) 결론 = 372
바. 동물플랑크톤 군집 = 372
1) 서론 = 372
2) 재료 및 방법 = 373
3) 결과 및 고찰 = 374
가) 1차 조사(2007년 1월, 3월, 5월)의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양상 = 374
나) 2차 조사(2007년 9월, 11월)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과 요각류의 이차생산 = 385
4) 요약 및 결론 = 395
사. 저서동물 = 395
1) 조사개요 = 395
2) 재료 및 방법 = 396
3) 결과 및 토의 = 397
가) 저서동물군집 현황 = 397
나)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= 398
다) 저서다모류 우점종 = 401
라) 저서다모류군집의 생태지수 = 403
마) 저서다모류군집 군집분석 = 404
4) 결론 = 407
아. 어류, 어란 및 자치어 = 407
1) 서론 = 407
2) 재료 및 방법 = 408
가) 어란 및 자치어 = 408
나) 어류상 조사 = 408
3) 결과 및 토의 = 409
가) 어란 및 자치어 = 409
나) 어류상 = 410
4) 요약 및 결론 = 417
5) 참고문헌 = 418
2. 생태계 모델 = 422
가. 서론 = 422
나. 자료 및 방법 = 423
1) Ecopath 모델 = 423
2) 생물군 그룹평 = 424
3) 모델 입력파라미터의 추정 = 425
가) 생물군별 어획량(C) = 425
나) 생물군별 생체량(B) = 425
다) 생물군별 생산량/생체량(P/B) 비 = 426
라) 생물군별 섭식량/생체량(Q/B) 비 = 426
마) 생물군별 먹이조성비(DC) = 426
4) 영양단계의 추정 = 426
다. 결과 및 요약 = 427
1) 생물군 그룹핑 = 427
2) 생태계 모델 입력파라미터 = 431
가) 생물군별 어획량(C) = 431
나) 생물군별 생체량(B) = 436
다) 생물군별 생산량/생체량(P/B) 비 = 440
라) 생물군별 섭식량/생체량(Q/B) 비 = 448
마) 생물군별 먹이조성비(DC) = 449
바) 기본 입력파라미터 = 460
사) 먹이조성 matrix = 462
3) 생태계 구조 = 464
4) 영양단계 = 466
5) 고찰 = 467
라. 참고문헌 = 468
3. 자원조사 및 평가 = 471
가. 서론 = 471
나. 재료 및 방법 = 471
다. 결과 및 고찰 = 472
1) 수산자원의 서식실태조사 = 472
가) 어업인 기록에 의한 수산자원조사 = 472
나) 시험조업에 의한 수산자원조사 = 473
2) 주요 종(자원 조성종)의 자원상태 = 476
가) 낚시에 의한 감성돔 어획량의 월 변화 = 476
나) 통발에 의한 감성돔 어획량의 월 변화 = 476
다) 감성돔의 체장범위 = 476
라) 감성돔의 혼획율 및 자원상태 분석 = 477
3) 금후 조사계획 = 477
라. 참고문헌 = 478
4. 먹이생물 조사 = 479
가. 서론 = 479
나. 재료 및 방법 = 479
다. 결과 및 고찰 = 481
1) 감성돔(Acanthopagrus schlegeli) = 481
가) 체장분포 = 481
나) 위내용물 조성 = 481
2) 볼락(Sebastes inermis) = 486
가) 체장분포 = 486
나) 위내용물 조성 = 486
라. 참고문헌 = 491
제4절 이용관리 = 492
1.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= 492
가. 서론 = 492
나. 재료 및 방법 = 492
1) 여수바다목장 관리이용시스템 보완 = 492
2) 여수바다목장 모델 평가 = 494
3) 바다목장 개념 재평가 = 496
가) 설문 개요 = 496
나) 설문 구성 = 497
다. 결과 및 고찰 = 499
1) 여수바다목장 관리이용시스템 보완 = 499
가) 수산자원관리수면체제로 이행 = 499
나) 관리이용 조직의 역량 강화 = 503
2) 여수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= 507
가) 여수바다목장 모델 추진 경과 = 507
나) 이용관리 분야 추진실적 = 511
다) 향후 추진 방향 및 과제 = 513
3) 바다목장 개념 재평가 = 517
가) 바다목장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응답 = 517
나) 바다목장 관리방향 = 520
다) 바다목장 명칭의 적합성 = 522
라) 바다목장의 추진방향 = 524
마) 설문결과의 종합정리 = 528
라. 참고문헌 = 529
부록 1. 여수바다목장 자율관리공동체 자율관리 규약(안) = 530
제5절 결과 및 고찰 = 535
제3장 시설·방류사업 = 538
제1절 서론 = 540
제2절 인공어초 시설사업 = 541
1. 계획수립 = 541
2. 해역별 세부계획 = 542
3. 시설 결과 = 546
제3절 종묘방류사업 = 548
1. 계획수립 = 548
2. 품종별 세부계획 = 548
3. 방류 결과 = 549
제4절 기타 시설사업 = 550
1. 계획수립 = 550
2. 사업별 세부계획 = 550
3. 사업 결과 = 554
제5절 결론 및 고찰 = 557
제4장 종합고찰 = 558
부록 = 562
제1절 서론 = 73
제2절 사업 계획수립 = 74
1. 중점목표 및 추진방향 = 74
가. 필요성 = 74
나. 개념 = 74
다. 중점목표 및 추진방향 수립 = 76
2. 세부추진 방향 = 76
가. 지속적 생산성 유지를 위한 기반 조성 = 76
나. 생태계 개선을 위한 어장 조성 = 78
다. 생태계 개선을 위한 자원 조성 = 79
라. 최대 생산량 유지를 위한 어업생산시스템 확립 = 79
마. 바다목장 이용·관리 = 79
제3절 로드맵 작성 = 80
1. 기본계획 = 80
2. 추진현황 = 84
3. 로드맵 구성 = 90
4.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 수립 = 91
가. 분야별 흐름도 = 91
나.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= 99
제4절 업무편람 정비 = 102
1. 운영관리 규정 = 102
가. 운영위원회 = 102
나. 지역협의회 = 103
다. 지역관리사무소 = 103
2. 업무편람 항목 = 104
가. 연구개발사업 = 104
나. 인공어초 시설사업 = 104
다. 종묘방류사업 = 105
라. 기타 시설사업 = 105
마. 성과평가 = 106
바. 성과물 관리(연구성과물, 지적재산권) = 106
3. 연구개발사업 업무편람 = 106
가. 업무흐름도(그림 1-4-1) = 106
나. 연구용역 선정 세부절차 = 106
다. 진도관리 및 평가 = 108
라. 연구성과 활용 및 관리 = 109
4. 시설·방류사업 업무편람 = 109
가. 인공어초 시설사업(그림 1-4-2) = 109
나. 종묘방류 사업(그림 1-4-3) = 112
다. 기타 시설사업(그림 1-4-3) = 120
제5절 결론 및 고찰 = 123
제2장 연구개발사업 = 125
제1절 서론 = 127
제2절 어장 및 자원조성 = 129
1. 인공어초 효과조사 및 전복방류량 산정연구 = 129
가. 서론 = 129
나. 재료 및 방법 = 131
1) 인공어초 연구 = 131
가) 조사 시기 및 장소 = 131
나) 인공어초 시설지 기초조사 = 132
다) 시험어초 효과조사 = 133
2) 해중림 효과조사 = 134
가) seedbank 시설 상태조사 = 134
나) seedbank 시설해역 해조류 실태조사 = 134
3) 전복 적정 방류량 산정 연구 = 135
가) 전복 및 해조자원 조사 = 135
나) 먹이전환효율 구명 = 135
다) 적정 방류량 산정 = 136
다. 결과 및 고찰 = 136
1) 인공어초 연구 = 136
가) 인공어초 시설지 기초조사(서식생물상) = 136
나) 시험어초 효과 = 171
2) 해중림 효과조사 = 175
가) seedbank 시설 상태 = 175
나) seedbank 시설해역 해조상 = 176
3) 전복 적정 방류량 산정 연구 = 181
가) 전복 및 해조자원 조사 = 181
나) 먹이전환효율 구명 = 185
다) 방류량 산정을 위한 해조량 추정 = 186
라. 참고문헌 = 188
부록 = 190
2. 중간육성시험 및 방류효과조사 = 193
가. 서론 = 193
나. 재료 및 방법 = 194
1) 구조물과 행동 특성 = 194
2)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= 194
3) 방류 효과조사 = 195
가) 어류 = 195
나) 전복 = 196
4) 감성돔의 음향순치 = 196
가) 음향순치 시스템 = 196
나) 감성돔 음향 순치 = 198
다) 감성돔 음향 순치 효과조사 방법 = 199
5)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= 201
가) 시험어 = 201
나) Genomic DNA 분리 및 정제 = 201
다) 감성돔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(D-loop) 증폭 및 PCR-RFLP 분석 = 201
라) Microsatelite marker를 이용한 방류집단과 자연집단 비교 = 203
다. 결과 및 토의 = 204
1) 구조물과 행동 특성 = 204
가) 자연석과 TTP로 만든 어장 = 204
나) 사다리꼴 복합 강제어초 = 206
다) 돔형 복합 강제어초 = 207
라) 이야포 피라미드 강제어초 = 207
마) 이야포 입구 피라미드 강제어초 = 210
바) 안도 이야포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1
사) 중삼서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2
아/자) 초삼서 석탑형다기능어초 = 212
자/차) 이식 잘피밭(안도 북쪽 연안) = 213
2) 중간육성 타당성 및 야성화 = 218
가) 해양수산부 수산종묘 매입 방류사업 시행지침 = 218
나) 중간육성 타당성 검토 = 219
다) 야성화 훈련 = 220
라) 건의 = 221
3) 방류효과조사 = 221
가) 방류해역의 어류상 = 221
나) 어류 방류효과 = 223
다) 전복 방류효과 = 226
4) 감성돔의 음향 순치 = 229
가) 방류 직후 음향급이기 근접 주변의 감성돔 유집 반응 = 229
나) 과학어군탐지기를 이용한 순치 후 효과 조사 = 230
5) 방류어의 유전 특성 조사 = 235
가)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(D-loop) 분석 = 235
나) 미토콘드리아 DNA의 조절영역(D-loop)의 다양성 및 관련성 = 237
다)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= 237
라. 참고문헌 = 245
3. 감성돔 이동조사 = 247
가. 서론 = 247
나. 재료 및 방법 = 247
1) 실험 해역, 장치의 구성 및 배치 = 247
2) 음향표지 = 248
3) 음향표지의 부착 및 방류 = 248
다. 결과 및 고찰 = 250
1) 이동범위 = 250
2) 행동특성 = 251
가) 수평방향의 주야간 행동 = 251
나) 연직 일주행동 및 유영층의 수온 = 251
3) 감성돔의 체류시간 및 체류율 = 251
가) 어체의 크기에 따른 비교 = 251
나) 해안선의 모양에 따른 비교 = 252
다) 자연산과 양식산의 비교 = 253
라) 해상가두리의 유무에 따른 비교 = 253
4) 황점볼락의 체류시간 및 체류율 = 255
5) 음향표지의 탐지율 = 255
가) 신호 송신주기와의 관계 = 255
나) 신호 송신출력과의 관계 = 257
라. 요약 = 257
마. 앞으로의 연구 계획 = 258
바. 참고문헌 = 259
4. 잘피어장 조성 = 260
가. 서론 = 260
나. 재료 및 방법 = 260
1) 생육환경 특성조사 = 260
2) 잘피의 형태학적 특성조사 = 260
3) 잘피장 생산성 변화 = 261
4) 바다목장화 지역에서의 이식 가능 지역탐색 = 261
5) 어류군집조사 = 261
다. 결과 및 고찰 = 262
1) 생육환경특성조사 = 262
2) 잘피의 형태학적 특성조사 = 263
3) 잘피장 생산성 변화 = 263
4) 바다목장화 지역에서의 이식 가능 지역탐색 = 266
5) 어류군집조사 = 266
가) 종조성 = 266
나) 계절별 양적변동 = 266
다) 어류군집의 생태지수 = 268
라) 군집분석 = 268
라. 참고문헌 = 269
5.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= 270
가. 서론 = 270
나. 재료 및 방법 = 270
1) 친어확보 및 사육관리 = 270
2) 친어의 암수 판별 = 270
3) 황점볼락 암수 친어의 적정 수용비 검토 = 271
4) 암수 교미시기 조사 = 272
5)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2= 72
다. 결과 및 고찰 = 272
1) VGT 및 생식소를 통한 암수 확인 = 272
2) 확보된 자연산 황점볼락의 암수 친어 수 및 어체측정 = 274
3) 황점볼락 암수 친어의 적정 수용비 조사 = 275
4) 황점볼락의 친어의 교미시기 조사 = 276
가) GSI, HSI, CF = 276
나) 혈중 sex steroid hormone 농도 = 276
5) 방류용 건강종묘 생산 = 279
라. 참고문헌 = 280
제3절 해양환경 및 자원평가 = 81
1. 해양환경 = 281
가. 해수유동 = 281
1) 조사개요 = 281
2) 재료 및 방법 = 281
가) 조석자료 = 281
나) 조류관측 = 283
3) 결과 및 고찰 = 283
가) 조석특성 = 283
나) 조류특성 = 285
나. 일반물리환경 = 302
1) 서론 = 302
2) 재료 및 방법 = 302
3) 결과 및 고찰 = 303
가) 투명도 = 303
나) 수온 = 304
다) 염분 = 305
라) T-S diagram에 의한 수괴분포 = 306
4) 소결 = 307
다. 해수질 특성 = 308
1) 서론 = 308
2) 재료 및 방법 = 308
가) 수소이온농도(pH) = 309
나) 용존산소량(Dissolved Oxygen, DO) = 309
다) 화학적 산소요구량(Chemical Oxygen Demand, COD) = 309
라) 총부유물질량(Total Suspended Matters, TSM) = 309
마) 질소계 영양염류 = 309
바) 인계 영양염류 = 309
사) 규산염 = 310
아) 입자성 유기탄소와 질소(Particulate Organic Carbon/Nitrogen ; POC, PON) = 310
자) 엽록소 a 량(Chlorophyll a) = 310
3) 결과 및 고찰(해양환경 및 생물군집 특성조사 3) = 310
가) 수소이온농도(pH) = 310
나) 용존산소량(Dissolved Oxygen, DO) = 311
다) 화학적 산소요구량(Chemical Oxygen Demand, COD) = 312
라) 질소계 영양염류 = 314
마) 인계 영양염류 = 317
바) 규산염 = 321
사) 입자성 유기탄소와 질소(Particulate Organic Carbon/Nitrogen, POC, PON) = 322
아) 엽록소 a 량(Chlorophyll a) = 325
4) 결론 = 329
라. 해양표층퇴적물의 유기물량 = 329
1) 서론 = 329
2) 재료 및 방법 = 330
가) 강열감량(Ignition Loss, IL) = 330
나)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s) = 330
다)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331
라) 입도분석 = 331
3) 결과 및 토의 = 331
가) 강열감량(Ignition Loss, IL) = 331
나) 화학적 산소요구량(CODs) = 331
다)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332
라) 입도분석 = 333
4) 결론 = 333
마. 식물플랑크톤 군집 = 334
1) 서론 = 334
2) 재료 및 방법 = 335
가) 군집구조 = 335
나) 크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= 336
다)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= 337
라) 기초생산력 = 337
3) 결과 및 토의 = 337
가)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= 337
나) 현존량 = 344
다) 우점종 = 362
라) 생태지수 및 집괴분석 = 363
마) 크기에 따른 Chl-a 농도 = 367
바)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= 370
사) 기초생산력 = 372
4) 결론 = 372
바. 동물플랑크톤 군집 = 372
1) 서론 = 372
2) 재료 및 방법 = 373
3) 결과 및 고찰 = 374
가) 1차 조사(2007년 1월, 3월, 5월)의 동물플랑크톤의 출현양상 = 374
나) 2차 조사(2007년 9월, 11월)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과 요각류의 이차생산 = 385
4) 요약 및 결론 = 395
사. 저서동물 = 395
1) 조사개요 = 395
2) 재료 및 방법 = 396
3) 결과 및 토의 = 397
가) 저서동물군집 현황 = 397
나)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= 398
다) 저서다모류 우점종 = 401
라) 저서다모류군집의 생태지수 = 403
마) 저서다모류군집 군집분석 = 404
4) 결론 = 407
아. 어류, 어란 및 자치어 = 407
1) 서론 = 407
2) 재료 및 방법 = 408
가) 어란 및 자치어 = 408
나) 어류상 조사 = 408
3) 결과 및 토의 = 409
가) 어란 및 자치어 = 409
나) 어류상 = 410
4) 요약 및 결론 = 417
5) 참고문헌 = 418
2. 생태계 모델 = 422
가. 서론 = 422
나. 자료 및 방법 = 423
1) Ecopath 모델 = 423
2) 생물군 그룹평 = 424
3) 모델 입력파라미터의 추정 = 425
가) 생물군별 어획량(C) = 425
나) 생물군별 생체량(B) = 425
다) 생물군별 생산량/생체량(P/B) 비 = 426
라) 생물군별 섭식량/생체량(Q/B) 비 = 426
마) 생물군별 먹이조성비(DC) = 426
4) 영양단계의 추정 = 426
다. 결과 및 요약 = 427
1) 생물군 그룹핑 = 427
2) 생태계 모델 입력파라미터 = 431
가) 생물군별 어획량(C) = 431
나) 생물군별 생체량(B) = 436
다) 생물군별 생산량/생체량(P/B) 비 = 440
라) 생물군별 섭식량/생체량(Q/B) 비 = 448
마) 생물군별 먹이조성비(DC) = 449
바) 기본 입력파라미터 = 460
사) 먹이조성 matrix = 462
3) 생태계 구조 = 464
4) 영양단계 = 466
5) 고찰 = 467
라. 참고문헌 = 468
3. 자원조사 및 평가 = 471
가. 서론 = 471
나. 재료 및 방법 = 471
다. 결과 및 고찰 = 472
1) 수산자원의 서식실태조사 = 472
가) 어업인 기록에 의한 수산자원조사 = 472
나) 시험조업에 의한 수산자원조사 = 473
2) 주요 종(자원 조성종)의 자원상태 = 476
가) 낚시에 의한 감성돔 어획량의 월 변화 = 476
나) 통발에 의한 감성돔 어획량의 월 변화 = 476
다) 감성돔의 체장범위 = 476
라) 감성돔의 혼획율 및 자원상태 분석 = 477
3) 금후 조사계획 = 477
라. 참고문헌 = 478
4. 먹이생물 조사 = 479
가. 서론 = 479
나. 재료 및 방법 = 479
다. 결과 및 고찰 = 481
1) 감성돔(Acanthopagrus schlegeli) = 481
가) 체장분포 = 481
나) 위내용물 조성 = 481
2) 볼락(Sebastes inermis) = 486
가) 체장분포 = 486
나) 위내용물 조성 = 486
라. 참고문헌 = 491
제4절 이용관리 = 492
1.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= 492
가. 서론 = 492
나. 재료 및 방법 = 492
1) 여수바다목장 관리이용시스템 보완 = 492
2) 여수바다목장 모델 평가 = 494
3) 바다목장 개념 재평가 = 496
가) 설문 개요 = 496
나) 설문 구성 = 497
다. 결과 및 고찰 = 499
1) 여수바다목장 관리이용시스템 보완 = 499
가) 수산자원관리수면체제로 이행 = 499
나) 관리이용 조직의 역량 강화 = 503
2) 여수바다목장 모델 재검토 = 507
가) 여수바다목장 모델 추진 경과 = 507
나) 이용관리 분야 추진실적 = 511
다) 향후 추진 방향 및 과제 = 513
3) 바다목장 개념 재평가 = 517
가) 바다목장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응답 = 517
나) 바다목장 관리방향 = 520
다) 바다목장 명칭의 적합성 = 522
라) 바다목장의 추진방향 = 524
마) 설문결과의 종합정리 = 528
라. 참고문헌 = 529
부록 1. 여수바다목장 자율관리공동체 자율관리 규약(안) = 530
제5절 결과 및 고찰 = 535
제3장 시설·방류사업 = 538
제1절 서론 = 540
제2절 인공어초 시설사업 = 541
1. 계획수립 = 541
2. 해역별 세부계획 = 542
3. 시설 결과 = 546
제3절 종묘방류사업 = 548
1. 계획수립 = 548
2. 품종별 세부계획 = 548
3. 방류 결과 = 549
제4절 기타 시설사업 = 550
1. 계획수립 = 550
2. 사업별 세부계획 = 550
3. 사업 결과 = 554
제5절 결론 및 고찰 = 557
제4장 종합고찰 = 558
부록 = 56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