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해62ㅇ
- 단체저자
- 해양수산부
- 서명/저자
- 연안생태계 식생복원을 통한 연안관리 기술개발 / 해양수산부 ; 군산대학교 [공편]
- 발행사항
- [전북] : 군산대학교, 2008
- 형태사항
- 177 p. : 삽도 ; 전자파일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 : 이점숙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162-173
- 기타저자
- 이점숙
- 기타저자
- 군산대학교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7817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0576 | EB : 520.7 해62ㅇ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10330s2008 jbk OG a korIB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해62ㅇ
110 ▼a해양수산부
24500▼a연안생태계 식생복원을 통한 연안관리 기술개발▼d해양수산부▼e군산대학교 [공편]
260 ▼a[전북]▼b군산대학교▼c2008
300 ▼a177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10▼a연구책임자 : 이점숙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4 ▼a참고문헌 : p.162-173
7001 ▼a이점숙
710 ▼a군산대학교
710 ▼a농림수산식품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710 ▼a농림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0576
9501 ▼a비매품
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(Summary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28
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(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28
1. 연구개발의 과학기술, 사회경제적 중요성(Importance of technology and social economy on research and development) = 28
가. 기술적 측면(Points of Technology) = 31
나. 경제, 산업적 측면(Points of economy and industry) = 31
다. 사회, 문화적 측면(공공성 포함)(Points of society and culture) = 32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과학기술정보(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and the world and technology information) = 33
제1절 연구개발 기술의 세계적 수준(Global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33
제2절 국내 및 국외 관련기술 동향(Tendency of technology in Korea and the world) = 34
1. 국내기술동향(Tendency of Korea technology) = 34
2. 국외기술동향(Tendency of global technology) = 35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(Contents and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39
제1절 조사지역 현황(Overview of research areas) = 39
제2절 조사방법(Methods) = 40
1. 염생식물 조사(Survey of halophytes) = 40
가. 염생식물상(Flora of halophytes) = 40
나. 염생식물군락(Halophytes communities) = 40
다. 염생식물 현존식생도작성(Actual vegetation of halophytes) = 40
라. 염색식물 생산량측정(Biomass of halophytes) = 40
2. 염생식물 군락지 저토환경 특성(Sedimentary environment in halophytes communities) = 41
가. 수분함량(Moisture content) = 41
나. 유기물함량(Organic matter) = 41
다. 토양산도(pH), 전기전도도(Electric conductivity), 염도(Salinity) = 41
라. 가용성인(Available phosphorous) = 41
마. 총질소(Total nitrogen) = 41
바. 토성(Soil texture) = 41
사. 토양경도(Soil hardness) = 41
3.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시범지역(함평만) 염생식물 분포분석(Distribution analysis of halophytes using LiDAR) = 42
가. 연구방법(Methods) = 42
제3절 연안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적합종 선정(Selection of optimal species for restoration of salt marsh) = 44
1. 줄포(Julpo) = 44
가. 식물상(Flora) = 44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46
2. 봉오(Bongoh) = 46
가. 식물상(Flora) = 46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48
3. 석창(Seokchang) = 48
가. 식물상(Flora) = 4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0
4. 칠곡(Chilgok) = 50
가. 식물상(Flora) = 50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1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3
5. 현화(Hyeonhwa) = 53
가. 식물상(Flora) = 53
나. 염생식물이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6
6. 가입(Gaip) = 57
가. 식물상(Flora) = 57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7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9
7. 중산(Jungsan) = 59
가. 식물상(Flora) = 59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2
8. 반월(Banweol) = 63
가. 식물상(Flora) = 63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3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5
9. 상하(Sanghwa) = 65
가. 식물상(Flora) = 65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8
10. 송석(Songseok) = 68
가. 식물상(Flora) = 6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1
11. 장포(Jangpo) = 72
가. 식물상(Flora) = 72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2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4
12. 수문(Sumoon) = 74
가. 식물상(Flora) = 74
나. 염생식물이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6
13. 전일(Jeonil) = 77
가. 식물상(Flora) = 77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7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0
14. 석간(Seokgan) = 80
가. 식물상(Flora) = 80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0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2
15. 장선(Jangsun) = 83
가. 식물상(Flora) = 83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3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5
16. 화동(Hwadong) = 85
가. 식물상(Flora) = 86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8
17. 농주(Nongju) = 88
가. 식물상(Flora) = 8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91
18. 상내(Sangnae) = 91
가. 식물상(Flora) = 91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91
다. 지상부 길이, 밀토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93
제4절 연안생태계 염생식물 군락과 환경요인의 Database 구축(Construction of database system of environment factors on coastal ecosystem and halophyte communities) = 94
1. 연안생태계 환경특성조사(Envrionmental survey of coastal ecosystem) = 94
2. 서식지 환경특성과 군락특성의 관계규명(Relationship Analyses of habitate environment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) = 96
가. 저토환경요인에 따른 염생식물 군락의 ordination(CCA ordination analysis for plant community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) = 96
3. 생육지별 염생식물 군락의 저토환경요인(Soil environmental factors of halophytes community for habitate type) = 98
가. 해안성 염습지(Coastal marsh) = 98
나. 하구성 염습지(Estuary marsh) = 103
4. 연안생태계 염생식물과 환경요인의 Database구축(Construction of database system for halophytes and environmental factors) = 108
가. 연안생태계 유형에 따른 환경요인의 분포역조사(Distribution survey of environmental factors ccording habitate types) = 108
5. 연안생태계 유형에 따른 염생식물군락의 분포역조사(Distribution survey of halpphytes community according habitate types) = 111
가. 생육지 유형에 따른 군락의 적정 범위 = 111
6. 분포면적에 대한 환경요인의 상관성분석(Correlation of environment to distribution area) = 124
7. 연안생태계 유형별 염생식물 및 관속식물 출현률(Halopytes and vascular plants to habitate type on coastal ecosystem) = 126
8. 함평만의 염생식물 분포와 지형과의 관계(Relationship of halophyte distribution and geomorphology in Hampyung bay) = 127
9. 함평만 염생식물 분포지역의 미지형 변화(Geomorphology change of halophyte distribution in Hampyung bay) = 134
제5절 환경 친화적 에코블럭 개발 및 제작(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eco-block) = 139
1. 환경 친화적 물질탐색 및 연안생태계특성에 적합한 에코블럭제작(Investigation of Eco-material and manufacture of optimal eco-block to coastal ecosystem types) = 139
가. 염습지 에코블럭 특성 및 현장 적용 종류 = 139
제6절 연안생태계 복원 및 관리기술개발(Restoration of coastal ecosystem and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) = 141
1. 에코블럭 시범복원지역의 선정 및 염생식물과 연안환경 = 141
가. 복원을 위한 갈대(종)선정 = 141
나. 복원 적합지역 선정 = 141
다. 복원지점 선정 = 141
라. 시범복원지역의 연안환경 = 141
2. 에코블럭 현장 적용 및 기법의 다양화 = 145
가. 에코블럭 현장 적용 및 기법의 다양화 = 145
3. 에코블럭적용후 연안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= 150
4. 연안생태계 안정화 기작 규명 및 관리기술개발 = 153
제4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(Achievement of the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field) = 155
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= 155
제2절 연구개발 기술발전 기여도 = 156
1. 기술적 측면 = 156
2. 경제·산업적 측면 = 156
3. 사회·문화적 측면 = 157
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) = 159
1.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= 159
2. 맞춤식 해안 복원 에코불럭 사업화 가능 = 161
3. 본 연구와 관련 추가 연구의 필요성 = 161
제6장 참고문헌(Reference) = 162
별첨(Appendix) The list of flora = 174
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(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28
1. 연구개발의 과학기술, 사회경제적 중요성(Importance of technology and social economy on research and development) = 28
가. 기술적 측면(Points of Technology) = 31
나. 경제, 산업적 측면(Points of economy and industry) = 31
다. 사회, 문화적 측면(공공성 포함)(Points of society and culture) = 32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과학기술정보(Current status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Korea and the world and technology information) = 33
제1절 연구개발 기술의 세계적 수준(Global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33
제2절 국내 및 국외 관련기술 동향(Tendency of technology in Korea and the world) = 34
1. 국내기술동향(Tendency of Korea technology) = 34
2. 국외기술동향(Tendency of global technology) = 35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(Contents and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) = 39
제1절 조사지역 현황(Overview of research areas) = 39
제2절 조사방법(Methods) = 40
1. 염생식물 조사(Survey of halophytes) = 40
가. 염생식물상(Flora of halophytes) = 40
나. 염생식물군락(Halophytes communities) = 40
다. 염생식물 현존식생도작성(Actual vegetation of halophytes) = 40
라. 염색식물 생산량측정(Biomass of halophytes) = 40
2. 염생식물 군락지 저토환경 특성(Sedimentary environment in halophytes communities) = 41
가. 수분함량(Moisture content) = 41
나. 유기물함량(Organic matter) = 41
다. 토양산도(pH), 전기전도도(Electric conductivity), 염도(Salinity) = 41
라. 가용성인(Available phosphorous) = 41
마. 총질소(Total nitrogen) = 41
바. 토성(Soil texture) = 41
사. 토양경도(Soil hardness) = 41
3.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시범지역(함평만) 염생식물 분포분석(Distribution analysis of halophytes using LiDAR) = 42
가. 연구방법(Methods) = 42
제3절 연안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적합종 선정(Selection of optimal species for restoration of salt marsh) = 44
1. 줄포(Julpo) = 44
가. 식물상(Flora) = 44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46
2. 봉오(Bongoh) = 46
가. 식물상(Flora) = 46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48
3. 석창(Seokchang) = 48
가. 식물상(Flora) = 4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4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0
4. 칠곡(Chilgok) = 50
가. 식물상(Flora) = 50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1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3
5. 현화(Hyeonhwa) = 53
가. 식물상(Flora) = 53
나. 염생식물이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6
6. 가입(Gaip) = 57
가. 식물상(Flora) = 57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7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59
7. 중산(Jungsan) = 59
가. 식물상(Flora) = 59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5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2
8. 반월(Banweol) = 63
가. 식물상(Flora) = 63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3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5
9. 상하(Sanghwa) = 65
가. 식물상(Flora) = 65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68
10. 송석(Songseok) = 68
가. 식물상(Flora) = 6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6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1
11. 장포(Jangpo) = 72
가. 식물상(Flora) = 72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2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4
12. 수문(Sumoon) = 74
가. 식물상(Flora) = 74
나. 염생식물이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4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76
13. 전일(Jeonil) = 77
가. 식물상(Flora) = 77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77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0
14. 석간(Seokgan) = 80
가. 식물상(Flora) = 80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0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2
15. 장선(Jangsun) = 83
가. 식물상(Flora) = 83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3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5
16. 화동(Hwadong) = 85
가. 식물상(Flora) = 86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6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88
17. 농주(Nongju) = 88
가. 식물상(Flora) = 88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89
다. 지상부 길이, 밀도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91
18. 상내(Sangnae) = 91
가. 식물상(Flora) = 91
나. 염생식물의 우점군락(Dominance community of halophytes) = 91
다. 지상부 길이, 밀토 및 생산량(Height, density and biomass) = 93
제4절 연안생태계 염생식물 군락과 환경요인의 Database 구축(Construction of database system of environment factors on coastal ecosystem and halophyte communities) = 94
1. 연안생태계 환경특성조사(Envrionmental survey of coastal ecosystem) = 94
2. 서식지 환경특성과 군락특성의 관계규명(Relationship Analyses of habitate environment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) = 96
가. 저토환경요인에 따른 염생식물 군락의 ordination(CCA ordination analysis for plant community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) = 96
3. 생육지별 염생식물 군락의 저토환경요인(Soil environmental factors of halophytes community for habitate type) = 98
가. 해안성 염습지(Coastal marsh) = 98
나. 하구성 염습지(Estuary marsh) = 103
4. 연안생태계 염생식물과 환경요인의 Database구축(Construction of database system for halophytes and environmental factors) = 108
가. 연안생태계 유형에 따른 환경요인의 분포역조사(Distribution survey of environmental factors ccording habitate types) = 108
5. 연안생태계 유형에 따른 염생식물군락의 분포역조사(Distribution survey of halpphytes community according habitate types) = 111
가. 생육지 유형에 따른 군락의 적정 범위 = 111
6. 분포면적에 대한 환경요인의 상관성분석(Correlation of environment to distribution area) = 124
7. 연안생태계 유형별 염생식물 및 관속식물 출현률(Halopytes and vascular plants to habitate type on coastal ecosystem) = 126
8. 함평만의 염생식물 분포와 지형과의 관계(Relationship of halophyte distribution and geomorphology in Hampyung bay) = 127
9. 함평만 염생식물 분포지역의 미지형 변화(Geomorphology change of halophyte distribution in Hampyung bay) = 134
제5절 환경 친화적 에코블럭 개발 및 제작(Development and Manufacture of eco-block) = 139
1. 환경 친화적 물질탐색 및 연안생태계특성에 적합한 에코블럭제작(Investigation of Eco-material and manufacture of optimal eco-block to coastal ecosystem types) = 139
가. 염습지 에코블럭 특성 및 현장 적용 종류 = 139
제6절 연안생태계 복원 및 관리기술개발(Restoration of coastal ecosystem and development of management technique) = 141
1. 에코블럭 시범복원지역의 선정 및 염생식물과 연안환경 = 141
가. 복원을 위한 갈대(종)선정 = 141
나. 복원 적합지역 선정 = 141
다. 복원지점 선정 = 141
라. 시범복원지역의 연안환경 = 141
2. 에코블럭 현장 적용 및 기법의 다양화 = 145
가. 에코블럭 현장 적용 및 기법의 다양화 = 145
3. 에코블럭적용후 연안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= 150
4. 연안생태계 안정화 기작 규명 및 관리기술개발 = 153
제4장 연구개발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(Achievement of the research and contribution to the field) = 155
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= 155
제2절 연구개발 기술발전 기여도 = 156
1. 기술적 측면 = 156
2. 경제·산업적 측면 = 156
3. 사회·문화적 측면 = 157
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 of research results) = 159
1.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 = 159
2. 맞춤식 해안 복원 에코불럭 사업화 가능 = 161
3. 본 연구와 관련 추가 연구의 필요성 = 161
제6장 참고문헌(Reference) = 162
별첨(Appendix) The list of flora = 17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