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농239ㄷ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
- 서명/저자
- 동·서·제주바다목장사업보고서 / 농림수산식품부 ; 국립수산과학원 [편]. 2009년도
- 발행사항
- [부산] : 국립수산과학원, 2010
- 형태사항
- cxxivv, 1269 p. : 챠트 ; 전자파일
- 주기사항
- 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0563-10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기타저자
- 국립수산과학원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7363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442 | EB : 520.7 농239ㄷ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1231s2010 bnk d 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농239ㄷ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
24500▼a동·서·제주바다목장사업보고서▼d농림수산식품부▼e국립수산과학원 [편]▼n2009년도
260 ▼a[부산]▼b국립수산과학원▼c2010
300 ▼acxxivv, 1269 p.▼b챠트▼c전자파일
50000▼a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0563-10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710 ▼a국립수산과학원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442
9501 ▼a비매품
제1장. 총괄관리 = 1
제1절. 서론 = 3
제2절. 사업별 추진계획 = 5
1. 추진목표 = 5
2. 추진계획 = 5
가. 연구개발사업 = 8
1) 동해(울진)바다목장 = 8
2) 서해(태안)바다목장 = 10
3) 제주바다목장 = 11
나. 녹색성장사업 = 13
1)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3
2)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4
3)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5
제3절. 사업별 추진 체계 = 16
1. 연구개발사업 = 16
2. 녹색성장사업 = 16
가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6
나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20
다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23
제4절. 바다목장사업 운영 및 관리 = 24
1. 연구개발사업 = 24
가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4
나. 착수보고회 및 중간보고회 = 24
다. 최종평가회 = 25
2. 녹색성장사업 = 27
가. 사업 추진 = 27
나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7
다. 최종평가회 = 28
제6절. 결론 및 고찰 = 29
제2장. 동해(울진)바다목장사업 = 33
제1절. 서론 = 35
제2절. 연구개발사업 = 37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37
가. 서론 = 37
나. 재료 및 방법 = 37
1) 해양환경 = 37
2) 현존량 조사 = 37
3) 연령과 성장 = 39
4)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및 자원평가 = 40
5) 위내용물조사 = 42
6) 어획실태조사 = 42
다. 결과 및 고찰 = 42
1) 소형트롤조사 = 42
2) 자망조사 = 51
3) 패류자원조사 = 53
4) 대상어종의 생태학적 특징 = 58
5) 대상어종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= 63
6) 대상종의 자원평가 = 67
7) 동해(울진)바다목장 내 주요생물의 양적변동 = 71
8) 위내용물 조사 = 73
9) 동해(울진)바다목장 해역의 어업실태 = 76
10) 혼획 및 부수어획 조사 = 80
라. 참고문헌 = 82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83
가. 서론 = 83
나. 재료 및 방법 = 83
1) 이론적 접근방법 = 83
2) 실험적 접근방법 = 83
다. 결과 및 고찰 = 84
1) 분류 및 동정 = 84
가) 어란 종조성 = 84
나) 자치어 종조성 = 98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123
2) 생태지수 = 124
가) 종수 = 124
나) 개체수 = 124
다) 풍부도 = 125
라) 균등도 = 125
마) 다양도 = 126
바) 다차원척도분석 = 126
라. 참고문헌 = 127
3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131
가. 서론 = 131
나. 재료 및 방법 = 13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31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31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32
다. 결과 및 고찰 = 132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32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38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64
라. 참고문헌 = 170
4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71
가. 서론 = 171
나. 재료 및 방법 = 171
1) 조사 시기 = 171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71
다. 결과 = 178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78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80
3) 군집생태지수 = 183
4) 우점종 = 184
5) 다변량 분석 = 186
6) 생태계 건강도(ISEP)지수 = 188
7) 이차생산력 = 189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92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93
라. 참고문헌 = 197
5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200
가. 서론 = 200
나. 재료 및 방법 = 200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200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200
3) 생태계 기초조사 = 200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201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202
다. 결과 = 203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203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205
3) 생태계 기초조사 = 207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210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220
라. 참고문헌 = 221
6. 강도다리 번식주기 조사 = 222
가. 서론 = 222
나. 재료 및 방법 = 223
1) 조사정점 및 조사방법 = 223
2) 생식주기에 따른 생체지수(GSI, HSI, CF)의 변화 = 223
3) 생식주기에 따른 생식소의 조직 형태학적 관찰 = 224
4) 생식주기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농도 변화 = 224
5) 번식능력 평가(포란수 및 난경변화 조사) = 226
6) 통계 분석 = 226
다. 결과 = 226
1) 생식주기에 따른 생체지수(GSI, HSI, CF)의 변화 = 226
2) 생식주기에 따른 생식소의 구조 및 조직 형태학적 관찰 = 229
3) 생식주기 동안의 성비 = 232
4) 생식주기에 따른 혈중 성 호르몬 농도 변화 = 233
5) 번식능력 평가(포란수 및 난경변화) = 235
라. 고찰 = 236
마. 참고문헌 = 244
7. 인공어초 사전 적지조사, 시설된 어초에 부착된 생물조사 및 안정성조사 = 246
가. 서론 = 246
나. 재료 및 방법 = 246
1) 2009년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사전 적지조사 = 246
2) 2008년 투하한 숙영정, 어선어초, 원통2단강제어초, 팔각반구형대형강제어초 및 석산 시설지 생물 천이과정과 안정성 모니터링 = 247
다. 결과 = 249
1) 2009년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사전 적지조사 = 249
2) 2008년 투하한 숙영정, 어선어초, 원통2단강제어초, 팔각반구형대형강제어초 및 석산 시설지 생물 천이과정과 안정성 모니터링 = 253
라. 고찰 = 260
마. 참고문헌 = 260
8. 종묘방류효과 향상을 위한 중간육성 기술개발 = 261
가. 서론 = 261
나. 재료 및 방법 = 262
1) 잠입생태학적 연구 = 262
가) 방류종묘 잠입생태 연구 = 262
(1) 밀도별 중간육성실험 = 262
(2) 크기별 중간육성실험 = 263
나) 도피능력 향상 및 잠입훈련 = 264
다) 건강단계별 잠입능력조사 = 264
라) 중간육성 후 방류효과조사 = 264
2) 중간육성기술개발 = 264
가) 영양강화에 따른 환경적응력 향상조사 = 264
(1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64
(2) β-glucan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68
나) 동해 울진바다목장해역의 강도다리·넙치의 연간 건강도 변화 = 268
다) 표지표 개발 = 269
다. 결과 = 269
1) 잠입생태학적 연구 = 269
가) 방류종묘 잠입생태 연구 = 269
(1) 방류종묘 밀도별 잠입실험 = 269
(가) 강도다리 밀도별 잠입실험 = 269
(나) 넙치 밀도별 잠입실험 = 270
나) 도피능력 향상 및 잠입훈련 = 272
(1) 강도다리 크기별 잠입실험(1차 실내실험) = 272
(2) 강도다리 크기별 잠입실험(2차 실내실험) = 274
(3) 넙치 밀도별 잠입실험(실내실험) = 274
(4) 강도다리 재잠입실험(실내실험) = 277
다) 건강단계별 잠입능력 조사 = 278
라) 중간육성 후 행동특성 조사 = 280
마) 중간육성 후 방류효과 조사 = 281
2) 중간육성기술개발 = 283
가) 영양강화에 따른 환경적응력 향상조사 = 283
(1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83
(가) 생태학적 조사 = 283
(나) 혈액학적 조사 = 284
(2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(2차실험) = 286
(3) β-glucan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87
나) 연간 자연산 강도다리·넙치 건강도 변화 = 289
(1) 생화학적 변화 = 289
(2) 혈액학적 변화 = 290
(3) 방류 강도다리 이동 및 분포 = 292
(4) 울진바다목장 해역 포획어 및 양식어의 흑화현상 = 293
(5) 울진바다목장 해역 포획어 및 양식어의 형태학적 차이 = 294
다) 표지표 개발 = 295
라. 고찰 = 297
1) 강도다리 자연 환경적응력 향상 연구 = 297
2) 영양강화를 통한 면역증강실험 = 298
3) 울진바다목장 해역의 포획어 및 양식 강도다리의 형태학적 특성 = 298
4) 연간 울진바다목장 해역의 강도다리·넙치 건강도 변화 = 299
5) 표지표 개발 = 299
마. 참고문헌 = 300
9. 해중림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= 301
가. 서론 = 301
나. 재료 및 방법 = 301
1) 조사 장소 = 301
2) 조사 방법 = 302
가) 해중림 해역의 해조생태 조사 = 302
나) 해중림 조성의 효과조사 = 303
(1) 이식해조류의 생장 조사 = 303
(2) 해중림 조성지의 유지·관리 = 304
다. 결과 = 305
1) 해중림 해역의 해조생태 조사 = 305
가) 출현종 목록 = 305
나) 분류군별 종조성 = 308
다) 현존량 = 308
라) 종다양성 = 311
2) 해중림 조성의 효과 조사 = 314
가) 이식해조류의 생장 조사 = 314
나) 해중림 조성지의 유지·관리 = 318
라. 고찰 = 326
마. 참고문헌 = 329
10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330
가. 서론 = 330
나. 연구항목 = 330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330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330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330
다. 결과 = 330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330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338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341
라. 참고문헌 = 344
11. 동해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345
가. 서론 = 345
나. 재료 및 방법 = 346
1) 바다목장 관광계획 수정·보완 = 346
2) 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= 346
다. 결과 = 346
1) 바다목장 관광계획 수정·보완 = 346
2) 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= 354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358
1. 서론 = 358
2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360
가. 기본 계획 = 360
나. 세부 계획 = 360
다. 추가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365
라. 사업 결과 = 365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367
가. 기본 계획 = 367
나. 세부 계획 = 367
다. 사업 결과 = 368
4. 해양레저공간조성 및 지원시설사업 = 370
가. 홍보 전시 조형물 제작 설치 = 370
1) 사업 목적 = 370
2) 사업 범위 = 370
3) 사업 결과 = 370
나. 해조류 Seed Bank 보강을 위한 다시마 이식 = 371
1) 사업 목적 = 371
2) 사업 범위 = 371
3) 사업 결과 = 371
다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372
1) 사업 목적 = 372
2) 사업 범위 = 372
3) 사업 결과 = 373
라. 관리수면 표시부이 시설 = 374
1) 사업 목적 = 374
2) 사업 범위 = 374
3) 사업 결과 = 375
마. 홍보 다큐멘터리 제작 = 377
1) 사업 목적 = 377
2) 사업 범위 = 377
3) 사업 결과 = 378
바. 바다목장 수중촬영대회 개최 = 378
1) 사업 목적 = 378
2) 사업 범위 = 378
3) 사업 결과 = 378
사.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 장치 제작 설치 = 379
1) 사업 목적 = 379
2) 사업 범위 = 379
3) 사업 결과 = 383
아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383
1) 사업 목적 = 383
2) 사업 범위 = 383
3) 사업 결과 = 384
5. 결과 및 고찰 = 386
제4절. 종합 고찰 = 388
제3장. 서해(태안)바다목장사업
제1절. 서론 = 395
제2절. 연구개발사업 = 397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397
가. 서론 = 397
나. 재료 및 방법 = 397
1) 어획실태조사 = 397
2) 자원분포 및 변동조사 = 397
3) 생물학적 특성조사 = 398
4) 먹이생물조사 = 398
5) 자원량 추정 = 398
다. 결과 및 고찰 = 399
1) 어획실태조사 = 399
가) 어획비율 변동 = 399
나) 어획량 변동 = 401
2) 자원의 분포 및 변동조사 = 403
가) 조사개요 = 403
나) 출현 종 및 어획비율 = 403
다) 자원밀도 = 406
라) 주요종 자원밀도의 시공간 분포 = 411
(1) 홍어 = 412
(2) 참서대 = 413
(3) 문치가자미 = 414
(4) 조피볼락 = 415
(5) 쥐노래미 = 416
(6) 꽃게 = 417
3) 생물학적 특성조사 = 418
가) 홍어 = 418
나) 문치가자미 = 420
다) 쥐노래미 = 423
라) 조피볼락 = 425
4) 먹이생물 조사 = 426
5) 자원량 추정 = 427
라. 참고문헌 = 429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430
가. 서론 = 430
나. 재료 및 방법 = 430
1) 이론적 접근방법 = 430
2) 실험적 접근방법 = 430
다. 결과 및 고찰 = 431
1) 분류 및 동정 = 431
가) 어란 종조성 = 431
나) 자치어 종조성 = 454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483
2) 생태지수 = 484
가) 종수 = 484
나) 개체수 = 484
다) 풍부도 = 485
라) 균등도 = 485
마) 다양도 = 486
바) 다차원척도분석 = 486
라. 참고문헌 = 487
3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491
가. 서론 = 491
나. 재료 및 방법 = 49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491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491
가) 동물플랑크톤 = 491
나) 식물플랑크톤 = 492
다. 결과 및 고찰 = 492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492
가) 종 조성 및 우점종 = 492
(1) 대형전주 = 492
(2) 2단상자형 = 493
(3) 원통2단형 = 493
(4) 정삼각뿔형 = 493
(5) 야간촬영 = 493
나) 출현량 = 493
(1) 대형전주 = 493
(2) 2단상자형 = 494
(3) 원통2단형 = 494
(4) 정삼각뿔형 = 494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496
가) 동물플랑크톤 = 496
(1) 출현양상 = 496
(가) 종조성 = 496
(나) 현존량 = 501
(다) 우점종 = 506
(2) 어초별 군집분석 = 506
나) 식물플랑크톤 = 510
(1) 출현양상 = 510
(가) 종조성 = 510
(나) 현존량 = 516
(다) 우점종 = 519
(2) 어초별 군집분석 = 520
라. 참고문헌 = 524
4. 바다목장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525
가. 서론 = 525
나. 재료 및 방법 = 525
1) 조사 시기 = 525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525
가) 군집생태지수 = 526
(1) 다양성지수 = 526
(2) 균등성지수 = 526
나) 다변량분석 = 526
(1) 집괴분석(cluster analysis) = 526
(2) 다차원척도법(non-metric MDS) = 526
다) ISEP(Inverse function of SEP) index = 526
라) 저서동물 군집 이차생산력 = 527
마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528
다. 결과 = 531
1) 동물군별 종조성 = 531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532
3) 군집생태지수 = 535
4) 우점종 = 536
5) 다변량 분석 = 539
6) 생태계 건강도(ISEP)지수 = 541
7) 이차생산력 = 542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545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546
라. 참고문헌 = 550
5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553
가. 서론 = 553
나. 재료 및 방법 = 553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553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553
3) 생태계 기초조사 = 553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555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556
다. 결과 = 556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556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558
3) 생태계 기초조사 = 559
가) 체장 및 체중 = 559
나) 생식소 발달과정 = 561
다) 생식소 중량지수 = 561
라) 연령사정 = 561
마) 먹이조성 = 561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561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569
라. 참고문헌 = 570
6. 생태기반공간조성(인공어초) 시설 안정성 및 효과 = 571
가. 서론 = 571
나. 재료 및 방법 = 571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71
가) 2009년까지 인공어초 시설 현황 = 571
나) 어획효과조사 = 571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인공어초 조사 자료 = 572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인공어초 조사 자료 = 573
가) 패·조류용 어초 시설지 부착생물 조사 = 573
(1) 태안바다목장 해조류 조사 = 574
(2) 대형저서동물 조사 = 574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 특성 조사 = 574
(1) 해류 관측 = 575
(2) 조위 자료 = 576
(3) 자료 처리 = 576
다) 시설 어초 안정성 조사 = 576
다. 결과 및 고찰 = 577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77
가) 삼중자망을 이용한 위집조사 및 어획효과 = 577
(1) 사각어초 = 577
(2) 잠보형어초 = 578
(3) 자연초(대조구) = 580
나) 기존 인공어초 시설 상태조사 = 582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82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결과 = 585
가) 부착생물 조사 = 585
(1) 인공어초의 부착생물 조사 = 585
(2) 적정 인공어초 시설량 산정을 위한 부착생물 조사 = 586
(가) 바다목장 내의 해조류 = 586
(나) 바다목장 내의 대형저서동물 조사 = 591
(다) 바다목장 내의 전복 자원조성용 인공어초어장 면적 산정 = 598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특성 조사 = 599
(1) 태안바다목장의 유향 및 유속 = 599
(2) 관측 자료의 검증 = 600
다) 시설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604
라. 결론 = 605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605
가) 삼중자망을 이용한 위집조사 및 어획효과 = 605
(1) 사각어초 = 605
(2) 잠보형어초 = 606
(3) 자연초(대조구) = 606
나) 기존 인공어초 시설 상태조사 = 606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606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결과 = 607
가) 부착생물 조사 = 607
(1) 인공어초의 부착생물 조사 = 607
(2) 적정 인공어초 시설량 산정을 위한 부착생물 조사 = 607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특성 조사 = 607
다) 시설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607
마. 참고문헌 = 608
7. 바다목장 자원관리를 위한 어구어법 개발 = 609
가. 서론 = 609
나. 재료 및 방법 = 609
다. 결과 = 609
1) 어업 실태 = 609
2) 시험조업 결과 = 610
3) 어종별 체장조성 = 611
가) 쥐노래미 = 611
나) 조피볼락 = 612
다) 황해볼락 = 614
라) 민꽃게 = 616
라. 고찰 = 618
마. 참고문헌 = 618
8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619
가. 서론 = 619
나. 연구항목 = 619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619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619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619
다. 결과 = 619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619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627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630
라. 참고문헌 = 633
9. 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634
가. 서론 = 634
나. 재료 및 방법 = 635
1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분석 대장 = 635
2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접근 방법 = 635
다. 결과 = 635
1) 서해바다목장 해역의 수산물 유통실태 = 635
2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바다목장해역 수산물의 상품화계획 = 637
10. 생태기반공간조성을 위한 개념설계 및 배치기법 개발 = 639
가. 서해태안 바다목장해역 일반현황 = 639
1) 서해태안 바다목장해역 = 639
가) 서해태안 바다목장사업 = 639
나) 서해태안 바다목장 당초 조성계획 = 640
2) 자연환경 = 646
가) 기상특성 = 646
나) 수질특성 = 655
3) 해양지형/저질 현황 = 660
4) 해양물리환경 = 667
가) 해수유동 = 667
나) 해양파랑 = 671
5) 해양생물환경 = 676
가) 어구어획량 조사를 통한 생물자원 조사 = 676
나) 잠수조사를 통한 생물자원 조사 = 707
6) 수중공간 이용현황 = 715
가) 인공어초 시설사업 = 715
나) 기타 시설사업 = 720
7) 종묘방류사업 = 723
나. 생태기반공간 조성의 설계요소 = 724
1) 해저지형/저질 = 724
가) 해저지형 = 724
나) 해저저질 = 724
2) 해수유동 = 727
가) 부표추적조사 = 727
나) 사용모형 = 728
다) 수치모형의 적용 = 734
라) 해수유동 수치실험결과 = 738
마) 패조류 Seed Bank 포자 확산실험 = 745
3) 해양파랑 = 747
가) SW AN 파랑변형 수치모형 = 747
나) 실험입력조건 및 경계조건 = 747
다) 해양파랑 수치실험결과 = 755
4) 해양생물 = 794
가) 연구체계 = 794
나) 대상생물종 선정 = 794
다) 연구방법 = 796
라) 현지 청취조사 결과 = 796
마) 대상생물의 분포특성 = 799
바) 기시설된 인공어초 위집 생물상 특성 = 805
사) 대상생물종 생태특성의 설계요소화 = 808
아) 생물학적 설계요소를 고려한 구조물의 설계 제안 = 815
5) 지역 어업인 및 전문가 의견 = 840
가) 제1차 현장답사 및 지역어업인(어선어업) 의견 수렴회 = 840
나) 제2차 현장답사 및 지역어업인(어촌계) 의견 수렴회 = 841
다) 제3차 현장어업인 의견 수렴회 및 전문 연구원 협의 = 842
라) 제4차 지역어업인 설명회 = 844
다. 생태기반공간 조성의 개념설계 및 배치 = 845
1) 생태기반공간 설계·배치의 방향 = 845
가) 생태기반 공간조성 구조물의 설계·배치 원칙 = 845
나) 설계대상 어장 = 846
2) 생태기반공간 설계·배치의 설계요소 = 848
가) 어류어장 조성해역 = 848
나) 갑각류 보호육성장 조성해역 = 848
다) 주꾸미 조성해역 = 850
3) 생태기반공간 조성시설의 설계·배치 = 855
가) 어류어장 조성단지 = 855
나) 갑각류어장 조성단지 = 866
다) 주꾸미 산란육성장 = 870
4) 생태기반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= 873
가) 실험시설 = 873
나) 모형의 축척과 제작 = 874
다) 실험조건 및 항목 = 876
라) 실험결과 = 876
5) 생태기반공간 조성시설별 공사비 = 878
라. 종합 및 결론 = 879
1) 개요 = 879
2) 설계요소별 종합적 제안 = 879
가) 해저지형 및 저질 = 879
나) 해수유동 = 880
다) 해양파랑 = 880
라) 해양생물 = 882
마) 수질특성 = 883
3) 결론 = 884
마. 참고문헌 = 887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889
1. 서론 = 889
2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891
가. 기본 계획 = 891
나. 세부 계획 = 891
다. 추가 시설사업 = 893
라. 사업 결과 = 893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895
가. 기본 계획 = 895
나. 세부 계획 = 895
다. 사업 결과 = 895
4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896
가. 바다목장 해양환경 관측자료 표출 프로그램 구축 = 896
1) 사업 목적 = 896
2) 사업 범위 = 896
3) 사업 결과 = 896
나. 바다목장 패조류 Seed Bank 조성 = 897
1) 사업 목적 = 897
2) 사업 범위 = 897
3) 사업 결과 = 897
다. 갯벌 생산성 향상 시설사업 = 899
1) 사업 목적 = 899
2) 사업 범위 = 899
3) 사업 결과 = 899
라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904
1) 사업 목적 = 904
2) 사업 범위 = 904
3) 사업 결과 = 905
마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906
1) 사업 목적 = 906
2) 사업 범위 = 906
3) 사업 결과 = 907
5. 결과 및 고찰 = 908
제4절. 종합고찰 = 910
제4장. 제주바다목장사업
제1절. 서론 = 917
제2절. 연구개발 사업 = 919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919
가. 서론 = 919
나. 재료 및 방법 = 919
1) 어업실태조사 = 919
2) 어업별·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919
3) 주요 어종의 위내용물 조사 = 920
4) 주요대상종의 생물학적 특성조사 = 921
5) 쏨뱅이 적정어획수준 및 적정어획량 산정을 위한 예비조사 = 922
다. 결과 및 고찰 = 922
1) 어업실태조사 = 922
2) 어업별·어종별 자원량 변동현황 = 924
3) 주요 어종의 식성 = 943
4) 주요 대상종의 생물학적 특성 = 959
5) 쏨뱅이 적정어획수준 및 적정어획량 산정을 위한 예비조사 결과 = 964
라. 참고문헌 = 966
2. 음향자원조사에 의한 어류 자원량 추정 = 967
가. 서론 = 967
나. 재료 및 방법 = 967
1) 에코적분법에 의한 현존량 추정 이론 = 967
2) 조사 해역과 정선(survey line) = 969
3) 음향 시스템과 자료 처리 = 970
4) 주요 우점 어류의 음향반사강도 측정 = 971
5) 어획조사를 통한 종조성 조사 = 975
다. 결과 및 고찰 = 975
1) 저층 어군의 공간분포 특성 = 975
2) 저층 어군의 총생체량 추정 = 976
3) 주요 저층 우점 어류의 생체량 추정 = 978
4) 주요 저층 우점 어류의 음향반사강도 측정 = 982
라. 참고문헌 = 993
3. 난자치어 종저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994
가. 서론 = 994
나. 재료 및 방법 = 994
1) 난자치어 채집 = 994
2) DNA분석에 의한 종동정 = 994
다. 결과 및 고찰 = 994
1) 어란의 종조성 = 994
2) 자치어의 종조성 = 1009
3) DNA분석에 의한 종동정 = 1025
4) 생태지수 = 1026
라. 참고문헌 = 1029
4.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3
가. 서론 = 1033
나. 재료 및 방법 = 1033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3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033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034
다. 결과 및 고찰 = 1034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4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041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069
라. 참고문헌 = 1075
5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076
가. 서론 = 1076
나. 재료 및 방법 = 1076
1) 조사 시기 = 1076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076
다. 결과 및 고찰 = 1082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082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082
3) 군집생태지수 = 1086
4) 우점종 = 1087
5) 다변량 분석 = 1090
6) 생태계 건강도(ISEP 지수) = 1092
7) 이차생산력 = 1093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096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097
라. 참고문헌 = 1101
6. 생태계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1104
가. 서론 = 1104
나. 재료 및 방법 = 1104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1104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1104
3) 생태계 기초조사 = 1105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1106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1107
다. 결과 및 고찰 = 1107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1107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1109
3) 생태계 기초조사 = 1112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1114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1124
라. 참고문헌 = 1125
7. 인공어초 사전적지 조사 및 시설안정성 조사 = 1126
가. 서론 = 1126
나. 재료 및 방법 = 1126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 조사 = 1126
2) 생태기반 공간조성 효과조사 = 1126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1127
다. 결과 및 고찰 = 1127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 조사 = 1127
2) 생태기반 공간조성 효과조사 = 1129
가) 바다목장해역에 시설된 인공어초 = 1129
나) 저서생물 부착효과 = 1130
(1) 출현현황 = 1130
(2) 해역별 저서무척추생물의 출현양상 = 1131
다) 해조류 출현양상 = 1136
(1) 출현 현황 = 1136
(2) 해조류 피도 = 1137
(3) 감태의 부착밀도 = 1139
라) 인공어초 주변의 어류상 = 1139
(1) 출현어류 = 1139
(2) 출현어류별 개체수 = 1140
(3) 출현어류의 크기 = 1143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1146
가) 바다목장해역 인공어초 종류별 시설수심, 저질상태, 배치형태 = 1146
나) 바다목장해역 인공어초 종류별 매몰량, 파손율, 전도율 = 1146
라. 참고문헌 = 1149
8. 산호류 종묘이식 및 자원조성 모니터링 = 1150
가. 서론 = 1150
나. 재료 및 방법 = 1150
1) 산호류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= 1150
2) 연산호의 인공번식 기술개발 = 1150
3) 산호류의 종묘이식 및 산호장 조성 = 1152
다. 결과 = 1153
1)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= 1153
가) 출현종수 = 1153
나) 해역별 지형구조에 따른 산호류 분포특성 = 1154
다) 우점종 = 1154
라) 해역별 출현종 = 1156
(1) 신창 북부해역 = 1157
(2) 신창 중부해역 = 1160
(3) 신창 남부해역 = 1162
2) 연산호의 인공번식 기술개발 = 1163
가) 산호류 실내사육 관리 = 1163
나) 사육수온에 따른 생존율 = 1165
다) 부착 기질별 부착률 및 성장 = 1165
3) 산호류의 종묘이식 및 산호장 조성 = 1167
가) 부착 생존율 = 1167
나) 성장도 = 1168
라. 고찰 = 1170
마. 참고문헌 = 1172
9. 수중로봇을 이용한 방류종묘의 환경적응력 모니터링 = 1173
가. 서론 = 1173
나. 재료 및 방법 = 1173
1) 주요 사용 장비 = 1173
2) 실험 방법 및 항목 = 1177
다. 결과 = 1178
1) 방류 후 까막전복 서식조사 = 1178
2) 돌돔 방류현장 조사 = 1180
3) 자바리 방류현장 조사 = 1182
4) 오분자기 방류현장 조사 = 1184
5) 쏨뱅이 방류현장 조사 = 1187
6) 영상처리 기술개발 결과 = 1189
라. 고찰 = 1193
마. 참고문헌 = 1195
10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1196
가. 서론 = 1196
나. 연구항목 = 1196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1196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1196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1196
다. 결과 = 1196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1196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1203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1210
라. 참고문헌 = 1210
11. 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1211
가. 서론 = 1211
나. 재료 및 방법 = 1212
1) 제주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분석 대상 = 1212
2) 제주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접근 방법 = 1212
다. 결과 = 1212
1) 제주바다목장해역의 수산물 유통실태 = 1212
2) 제주바다목장 수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상품화계획 = 1213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1216
1. 서론 = 1216
2. 생태기반 공간조성 사업 = 1218
가. 기본 계획 = 1218
나. 세부 계획 = 1218
다. 사업 결과 = 1219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221
가. 기본 계획 = 1221
나. 세부 계획 = 1221
다. 사업 결과 = 1221
4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사업 = 1224
가. 관리수면 표시 부이 설치 = 1224
1) 사업 목적 = 1224
2) 사업 범위 = 1224
3) 사업 결과 = 1224
나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1226
1) 사업 목적 = 1226
2) 사업 범위 = 1227
3) 사업 결과 = 1227
다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1228
1) 사업 목적 = 1228
2) 사업 범위 = 1228
3) 사업 결과 = 1229
라. 바다목장 중간육성장 시설 및 재생산 어종 사육관리 = 1230
1) 사업 목적 = 1230
2) 사업 범위 = 1230
3) 사업 결과 = 1231
5. 결과 및 고찰 = 1234
제4절. 종합고찰 = 1236
부록 = 1243
제1절. 서론 = 3
제2절. 사업별 추진계획 = 5
1. 추진목표 = 5
2. 추진계획 = 5
가. 연구개발사업 = 8
1) 동해(울진)바다목장 = 8
2) 서해(태안)바다목장 = 10
3) 제주바다목장 = 11
나. 녹색성장사업 = 13
1)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3
2)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4
3)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5
제3절. 사업별 추진 체계 = 16
1. 연구개발사업 = 16
2. 녹색성장사업 = 16
가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6
나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20
다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23
제4절. 바다목장사업 운영 및 관리 = 24
1. 연구개발사업 = 24
가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4
나. 착수보고회 및 중간보고회 = 24
다. 최종평가회 = 25
2. 녹색성장사업 = 27
가. 사업 추진 = 27
나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7
다. 최종평가회 = 28
제6절. 결론 및 고찰 = 29
제2장. 동해(울진)바다목장사업 = 33
제1절. 서론 = 35
제2절. 연구개발사업 = 37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37
가. 서론 = 37
나. 재료 및 방법 = 37
1) 해양환경 = 37
2) 현존량 조사 = 37
3) 연령과 성장 = 39
4)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및 자원평가 = 40
5) 위내용물조사 = 42
6) 어획실태조사 = 42
다. 결과 및 고찰 = 42
1) 소형트롤조사 = 42
2) 자망조사 = 51
3) 패류자원조사 = 53
4) 대상어종의 생태학적 특징 = 58
5) 대상어종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= 63
6) 대상종의 자원평가 = 67
7) 동해(울진)바다목장 내 주요생물의 양적변동 = 71
8) 위내용물 조사 = 73
9) 동해(울진)바다목장 해역의 어업실태 = 76
10) 혼획 및 부수어획 조사 = 80
라. 참고문헌 = 82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83
가. 서론 = 83
나. 재료 및 방법 = 83
1) 이론적 접근방법 = 83
2) 실험적 접근방법 = 83
다. 결과 및 고찰 = 84
1) 분류 및 동정 = 84
가) 어란 종조성 = 84
나) 자치어 종조성 = 98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123
2) 생태지수 = 124
가) 종수 = 124
나) 개체수 = 124
다) 풍부도 = 125
라) 균등도 = 125
마) 다양도 = 126
바) 다차원척도분석 = 126
라. 참고문헌 = 127
3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131
가. 서론 = 131
나. 재료 및 방법 = 13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31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31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32
다. 결과 및 고찰 = 132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32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38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64
라. 참고문헌 = 170
4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71
가. 서론 = 171
나. 재료 및 방법 = 171
1) 조사 시기 = 171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71
다. 결과 = 178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78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80
3) 군집생태지수 = 183
4) 우점종 = 184
5) 다변량 분석 = 186
6) 생태계 건강도(ISEP)지수 = 188
7) 이차생산력 = 189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92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93
라. 참고문헌 = 197
5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200
가. 서론 = 200
나. 재료 및 방법 = 200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200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200
3) 생태계 기초조사 = 200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201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202
다. 결과 = 203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203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205
3) 생태계 기초조사 = 207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210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220
라. 참고문헌 = 221
6. 강도다리 번식주기 조사 = 222
가. 서론 = 222
나. 재료 및 방법 = 223
1) 조사정점 및 조사방법 = 223
2) 생식주기에 따른 생체지수(GSI, HSI, CF)의 변화 = 223
3) 생식주기에 따른 생식소의 조직 형태학적 관찰 = 224
4) 생식주기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농도 변화 = 224
5) 번식능력 평가(포란수 및 난경변화 조사) = 226
6) 통계 분석 = 226
다. 결과 = 226
1) 생식주기에 따른 생체지수(GSI, HSI, CF)의 변화 = 226
2) 생식주기에 따른 생식소의 구조 및 조직 형태학적 관찰 = 229
3) 생식주기 동안의 성비 = 232
4) 생식주기에 따른 혈중 성 호르몬 농도 변화 = 233
5) 번식능력 평가(포란수 및 난경변화) = 235
라. 고찰 = 236
마. 참고문헌 = 244
7. 인공어초 사전 적지조사, 시설된 어초에 부착된 생물조사 및 안정성조사 = 246
가. 서론 = 246
나. 재료 및 방법 = 246
1) 2009년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사전 적지조사 = 246
2) 2008년 투하한 숙영정, 어선어초, 원통2단강제어초, 팔각반구형대형강제어초 및 석산 시설지 생물 천이과정과 안정성 모니터링 = 247
다. 결과 = 249
1) 2009년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사전 적지조사 = 249
2) 2008년 투하한 숙영정, 어선어초, 원통2단강제어초, 팔각반구형대형강제어초 및 석산 시설지 생물 천이과정과 안정성 모니터링 = 253
라. 고찰 = 260
마. 참고문헌 = 260
8. 종묘방류효과 향상을 위한 중간육성 기술개발 = 261
가. 서론 = 261
나. 재료 및 방법 = 262
1) 잠입생태학적 연구 = 262
가) 방류종묘 잠입생태 연구 = 262
(1) 밀도별 중간육성실험 = 262
(2) 크기별 중간육성실험 = 263
나) 도피능력 향상 및 잠입훈련 = 264
다) 건강단계별 잠입능력조사 = 264
라) 중간육성 후 방류효과조사 = 264
2) 중간육성기술개발 = 264
가) 영양강화에 따른 환경적응력 향상조사 = 264
(1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64
(2) β-glucan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68
나) 동해 울진바다목장해역의 강도다리·넙치의 연간 건강도 변화 = 268
다) 표지표 개발 = 269
다. 결과 = 269
1) 잠입생태학적 연구 = 269
가) 방류종묘 잠입생태 연구 = 269
(1) 방류종묘 밀도별 잠입실험 = 269
(가) 강도다리 밀도별 잠입실험 = 269
(나) 넙치 밀도별 잠입실험 = 270
나) 도피능력 향상 및 잠입훈련 = 272
(1) 강도다리 크기별 잠입실험(1차 실내실험) = 272
(2) 강도다리 크기별 잠입실험(2차 실내실험) = 274
(3) 넙치 밀도별 잠입실험(실내실험) = 274
(4) 강도다리 재잠입실험(실내실험) = 277
다) 건강단계별 잠입능력 조사 = 278
라) 중간육성 후 행동특성 조사 = 280
마) 중간육성 후 방류효과 조사 = 281
2) 중간육성기술개발 = 283
가) 영양강화에 따른 환경적응력 향상조사 = 283
(1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83
(가) 생태학적 조사 = 283
(나) 혈액학적 조사 = 284
(2) DHA, EPA 첨가사료 공급실험(2차실험) = 286
(3) β-glucan 첨가사료 공급실험 = 287
나) 연간 자연산 강도다리·넙치 건강도 변화 = 289
(1) 생화학적 변화 = 289
(2) 혈액학적 변화 = 290
(3) 방류 강도다리 이동 및 분포 = 292
(4) 울진바다목장 해역 포획어 및 양식어의 흑화현상 = 293
(5) 울진바다목장 해역 포획어 및 양식어의 형태학적 차이 = 294
다) 표지표 개발 = 295
라. 고찰 = 297
1) 강도다리 자연 환경적응력 향상 연구 = 297
2) 영양강화를 통한 면역증강실험 = 298
3) 울진바다목장 해역의 포획어 및 양식 강도다리의 형태학적 특성 = 298
4) 연간 울진바다목장 해역의 강도다리·넙치 건강도 변화 = 299
5) 표지표 개발 = 299
마. 참고문헌 = 300
9. 해중림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= 301
가. 서론 = 301
나. 재료 및 방법 = 301
1) 조사 장소 = 301
2) 조사 방법 = 302
가) 해중림 해역의 해조생태 조사 = 302
나) 해중림 조성의 효과조사 = 303
(1) 이식해조류의 생장 조사 = 303
(2) 해중림 조성지의 유지·관리 = 304
다. 결과 = 305
1) 해중림 해역의 해조생태 조사 = 305
가) 출현종 목록 = 305
나) 분류군별 종조성 = 308
다) 현존량 = 308
라) 종다양성 = 311
2) 해중림 조성의 효과 조사 = 314
가) 이식해조류의 생장 조사 = 314
나) 해중림 조성지의 유지·관리 = 318
라. 고찰 = 326
마. 참고문헌 = 329
10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330
가. 서론 = 330
나. 연구항목 = 330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330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330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330
다. 결과 = 330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330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338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341
라. 참고문헌 = 344
11. 동해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345
가. 서론 = 345
나. 재료 및 방법 = 346
1) 바다목장 관광계획 수정·보완 = 346
2) 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= 346
다. 결과 = 346
1) 바다목장 관광계획 수정·보완 = 346
2) 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= 354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358
1. 서론 = 358
2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360
가. 기본 계획 = 360
나. 세부 계획 = 360
다. 추가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365
라. 사업 결과 = 365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367
가. 기본 계획 = 367
나. 세부 계획 = 367
다. 사업 결과 = 368
4. 해양레저공간조성 및 지원시설사업 = 370
가. 홍보 전시 조형물 제작 설치 = 370
1) 사업 목적 = 370
2) 사업 범위 = 370
3) 사업 결과 = 370
나. 해조류 Seed Bank 보강을 위한 다시마 이식 = 371
1) 사업 목적 = 371
2) 사업 범위 = 371
3) 사업 결과 = 371
다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372
1) 사업 목적 = 372
2) 사업 범위 = 372
3) 사업 결과 = 373
라. 관리수면 표시부이 시설 = 374
1) 사업 목적 = 374
2) 사업 범위 = 374
3) 사업 결과 = 375
마. 홍보 다큐멘터리 제작 = 377
1) 사업 목적 = 377
2) 사업 범위 = 377
3) 사업 결과 = 378
바. 바다목장 수중촬영대회 개최 = 378
1) 사업 목적 = 378
2) 사업 범위 = 378
3) 사업 결과 = 378
사. 실시간 해양생물 관측 장치 제작 설치 = 379
1) 사업 목적 = 379
2) 사업 범위 = 379
3) 사업 결과 = 383
아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383
1) 사업 목적 = 383
2) 사업 범위 = 383
3) 사업 결과 = 384
5. 결과 및 고찰 = 386
제4절. 종합 고찰 = 388
제3장. 서해(태안)바다목장사업
제1절. 서론 = 395
제2절. 연구개발사업 = 397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397
가. 서론 = 397
나. 재료 및 방법 = 397
1) 어획실태조사 = 397
2) 자원분포 및 변동조사 = 397
3) 생물학적 특성조사 = 398
4) 먹이생물조사 = 398
5) 자원량 추정 = 398
다. 결과 및 고찰 = 399
1) 어획실태조사 = 399
가) 어획비율 변동 = 399
나) 어획량 변동 = 401
2) 자원의 분포 및 변동조사 = 403
가) 조사개요 = 403
나) 출현 종 및 어획비율 = 403
다) 자원밀도 = 406
라) 주요종 자원밀도의 시공간 분포 = 411
(1) 홍어 = 412
(2) 참서대 = 413
(3) 문치가자미 = 414
(4) 조피볼락 = 415
(5) 쥐노래미 = 416
(6) 꽃게 = 417
3) 생물학적 특성조사 = 418
가) 홍어 = 418
나) 문치가자미 = 420
다) 쥐노래미 = 423
라) 조피볼락 = 425
4) 먹이생물 조사 = 426
5) 자원량 추정 = 427
라. 참고문헌 = 429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430
가. 서론 = 430
나. 재료 및 방법 = 430
1) 이론적 접근방법 = 430
2) 실험적 접근방법 = 430
다. 결과 및 고찰 = 431
1) 분류 및 동정 = 431
가) 어란 종조성 = 431
나) 자치어 종조성 = 454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483
2) 생태지수 = 484
가) 종수 = 484
나) 개체수 = 484
다) 풍부도 = 485
라) 균등도 = 485
마) 다양도 = 486
바) 다차원척도분석 = 486
라. 참고문헌 = 487
3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491
가. 서론 = 491
나. 재료 및 방법 = 49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491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491
가) 동물플랑크톤 = 491
나) 식물플랑크톤 = 492
다. 결과 및 고찰 = 492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492
가) 종 조성 및 우점종 = 492
(1) 대형전주 = 492
(2) 2단상자형 = 493
(3) 원통2단형 = 493
(4) 정삼각뿔형 = 493
(5) 야간촬영 = 493
나) 출현량 = 493
(1) 대형전주 = 493
(2) 2단상자형 = 494
(3) 원통2단형 = 494
(4) 정삼각뿔형 = 494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496
가) 동물플랑크톤 = 496
(1) 출현양상 = 496
(가) 종조성 = 496
(나) 현존량 = 501
(다) 우점종 = 506
(2) 어초별 군집분석 = 506
나) 식물플랑크톤 = 510
(1) 출현양상 = 510
(가) 종조성 = 510
(나) 현존량 = 516
(다) 우점종 = 519
(2) 어초별 군집분석 = 520
라. 참고문헌 = 524
4. 바다목장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525
가. 서론 = 525
나. 재료 및 방법 = 525
1) 조사 시기 = 525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525
가) 군집생태지수 = 526
(1) 다양성지수 = 526
(2) 균등성지수 = 526
나) 다변량분석 = 526
(1) 집괴분석(cluster analysis) = 526
(2) 다차원척도법(non-metric MDS) = 526
다) ISEP(Inverse function of SEP) index = 526
라) 저서동물 군집 이차생산력 = 527
마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528
다. 결과 = 531
1) 동물군별 종조성 = 531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532
3) 군집생태지수 = 535
4) 우점종 = 536
5) 다변량 분석 = 539
6) 생태계 건강도(ISEP)지수 = 541
7) 이차생산력 = 542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545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546
라. 참고문헌 = 550
5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553
가. 서론 = 553
나. 재료 및 방법 = 553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553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553
3) 생태계 기초조사 = 553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555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556
다. 결과 = 556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556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558
3) 생태계 기초조사 = 559
가) 체장 및 체중 = 559
나) 생식소 발달과정 = 561
다) 생식소 중량지수 = 561
라) 연령사정 = 561
마) 먹이조성 = 561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561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569
라. 참고문헌 = 570
6. 생태기반공간조성(인공어초) 시설 안정성 및 효과 = 571
가. 서론 = 571
나. 재료 및 방법 = 571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71
가) 2009년까지 인공어초 시설 현황 = 571
나) 어획효과조사 = 571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인공어초 조사 자료 = 572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인공어초 조사 자료 = 573
가) 패·조류용 어초 시설지 부착생물 조사 = 573
(1) 태안바다목장 해조류 조사 = 574
(2) 대형저서동물 조사 = 574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 특성 조사 = 574
(1) 해류 관측 = 575
(2) 조위 자료 = 576
(3) 자료 처리 = 576
다) 시설 어초 안정성 조사 = 576
다. 결과 및 고찰 = 577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77
가) 삼중자망을 이용한 위집조사 및 어획효과 = 577
(1) 사각어초 = 577
(2) 잠보형어초 = 578
(3) 자연초(대조구) = 580
나) 기존 인공어초 시설 상태조사 = 582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582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결과 = 585
가) 부착생물 조사 = 585
(1) 인공어초의 부착생물 조사 = 585
(2) 적정 인공어초 시설량 산정을 위한 부착생물 조사 = 586
(가) 바다목장 내의 해조류 = 586
(나) 바다목장 내의 대형저서동물 조사 = 591
(다) 바다목장 내의 전복 자원조성용 인공어초어장 면적 산정 = 598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특성 조사 = 599
(1) 태안바다목장의 유향 및 유속 = 599
(2) 관측 자료의 검증 = 600
다) 시설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604
라. 결론 = 605
1) 2007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605
가) 삼중자망을 이용한 위집조사 및 어획효과 = 605
(1) 사각어초 = 605
(2) 잠보형어초 = 606
(3) 자연초(대조구) = 606
나) 기존 인공어초 시설 상태조사 = 606
2) 2008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자료 = 606
3) 2009년도 태안바다목장 조사 결과 = 607
가) 부착생물 조사 = 607
(1) 인공어초의 부착생물 조사 = 607
(2) 적정 인공어초 시설량 산정을 위한 부착생물 조사 = 607
나) 인공어초 시설 예정지 주변의 조류특성 조사 = 607
다) 시설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607
마. 참고문헌 = 608
7. 바다목장 자원관리를 위한 어구어법 개발 = 609
가. 서론 = 609
나. 재료 및 방법 = 609
다. 결과 = 609
1) 어업 실태 = 609
2) 시험조업 결과 = 610
3) 어종별 체장조성 = 611
가) 쥐노래미 = 611
나) 조피볼락 = 612
다) 황해볼락 = 614
라) 민꽃게 = 616
라. 고찰 = 618
마. 참고문헌 = 618
8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619
가. 서론 = 619
나. 연구항목 = 619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619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619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619
다. 결과 = 619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619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627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630
라. 참고문헌 = 633
9. 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634
가. 서론 = 634
나. 재료 및 방법 = 635
1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분석 대장 = 635
2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접근 방법 = 635
다. 결과 = 635
1) 서해바다목장 해역의 수산물 유통실태 = 635
2) 서해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바다목장해역 수산물의 상품화계획 = 637
10. 생태기반공간조성을 위한 개념설계 및 배치기법 개발 = 639
가. 서해태안 바다목장해역 일반현황 = 639
1) 서해태안 바다목장해역 = 639
가) 서해태안 바다목장사업 = 639
나) 서해태안 바다목장 당초 조성계획 = 640
2) 자연환경 = 646
가) 기상특성 = 646
나) 수질특성 = 655
3) 해양지형/저질 현황 = 660
4) 해양물리환경 = 667
가) 해수유동 = 667
나) 해양파랑 = 671
5) 해양생물환경 = 676
가) 어구어획량 조사를 통한 생물자원 조사 = 676
나) 잠수조사를 통한 생물자원 조사 = 707
6) 수중공간 이용현황 = 715
가) 인공어초 시설사업 = 715
나) 기타 시설사업 = 720
7) 종묘방류사업 = 723
나. 생태기반공간 조성의 설계요소 = 724
1) 해저지형/저질 = 724
가) 해저지형 = 724
나) 해저저질 = 724
2) 해수유동 = 727
가) 부표추적조사 = 727
나) 사용모형 = 728
다) 수치모형의 적용 = 734
라) 해수유동 수치실험결과 = 738
마) 패조류 Seed Bank 포자 확산실험 = 745
3) 해양파랑 = 747
가) SW AN 파랑변형 수치모형 = 747
나) 실험입력조건 및 경계조건 = 747
다) 해양파랑 수치실험결과 = 755
4) 해양생물 = 794
가) 연구체계 = 794
나) 대상생물종 선정 = 794
다) 연구방법 = 796
라) 현지 청취조사 결과 = 796
마) 대상생물의 분포특성 = 799
바) 기시설된 인공어초 위집 생물상 특성 = 805
사) 대상생물종 생태특성의 설계요소화 = 808
아) 생물학적 설계요소를 고려한 구조물의 설계 제안 = 815
5) 지역 어업인 및 전문가 의견 = 840
가) 제1차 현장답사 및 지역어업인(어선어업) 의견 수렴회 = 840
나) 제2차 현장답사 및 지역어업인(어촌계) 의견 수렴회 = 841
다) 제3차 현장어업인 의견 수렴회 및 전문 연구원 협의 = 842
라) 제4차 지역어업인 설명회 = 844
다. 생태기반공간 조성의 개념설계 및 배치 = 845
1) 생태기반공간 설계·배치의 방향 = 845
가) 생태기반 공간조성 구조물의 설계·배치 원칙 = 845
나) 설계대상 어장 = 846
2) 생태기반공간 설계·배치의 설계요소 = 848
가) 어류어장 조성해역 = 848
나) 갑각류 보호육성장 조성해역 = 848
다) 주꾸미 조성해역 = 850
3) 생태기반공간 조성시설의 설계·배치 = 855
가) 어류어장 조성단지 = 855
나) 갑각류어장 조성단지 = 866
다) 주꾸미 산란육성장 = 870
4) 생태기반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= 873
가) 실험시설 = 873
나) 모형의 축척과 제작 = 874
다) 실험조건 및 항목 = 876
라) 실험결과 = 876
5) 생태기반공간 조성시설별 공사비 = 878
라. 종합 및 결론 = 879
1) 개요 = 879
2) 설계요소별 종합적 제안 = 879
가) 해저지형 및 저질 = 879
나) 해수유동 = 880
다) 해양파랑 = 880
라) 해양생물 = 882
마) 수질특성 = 883
3) 결론 = 884
마. 참고문헌 = 887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889
1. 서론 = 889
2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891
가. 기본 계획 = 891
나. 세부 계획 = 891
다. 추가 시설사업 = 893
라. 사업 결과 = 893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895
가. 기본 계획 = 895
나. 세부 계획 = 895
다. 사업 결과 = 895
4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896
가. 바다목장 해양환경 관측자료 표출 프로그램 구축 = 896
1) 사업 목적 = 896
2) 사업 범위 = 896
3) 사업 결과 = 896
나. 바다목장 패조류 Seed Bank 조성 = 897
1) 사업 목적 = 897
2) 사업 범위 = 897
3) 사업 결과 = 897
다. 갯벌 생산성 향상 시설사업 = 899
1) 사업 목적 = 899
2) 사업 범위 = 899
3) 사업 결과 = 899
라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904
1) 사업 목적 = 904
2) 사업 범위 = 904
3) 사업 결과 = 905
마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906
1) 사업 목적 = 906
2) 사업 범위 = 906
3) 사업 결과 = 907
5. 결과 및 고찰 = 908
제4절. 종합고찰 = 910
제4장. 제주바다목장사업
제1절. 서론 = 917
제2절. 연구개발 사업 = 919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919
가. 서론 = 919
나. 재료 및 방법 = 919
1) 어업실태조사 = 919
2) 어업별·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919
3) 주요 어종의 위내용물 조사 = 920
4) 주요대상종의 생물학적 특성조사 = 921
5) 쏨뱅이 적정어획수준 및 적정어획량 산정을 위한 예비조사 = 922
다. 결과 및 고찰 = 922
1) 어업실태조사 = 922
2) 어업별·어종별 자원량 변동현황 = 924
3) 주요 어종의 식성 = 943
4) 주요 대상종의 생물학적 특성 = 959
5) 쏨뱅이 적정어획수준 및 적정어획량 산정을 위한 예비조사 결과 = 964
라. 참고문헌 = 966
2. 음향자원조사에 의한 어류 자원량 추정 = 967
가. 서론 = 967
나. 재료 및 방법 = 967
1) 에코적분법에 의한 현존량 추정 이론 = 967
2) 조사 해역과 정선(survey line) = 969
3) 음향 시스템과 자료 처리 = 970
4) 주요 우점 어류의 음향반사강도 측정 = 971
5) 어획조사를 통한 종조성 조사 = 975
다. 결과 및 고찰 = 975
1) 저층 어군의 공간분포 특성 = 975
2) 저층 어군의 총생체량 추정 = 976
3) 주요 저층 우점 어류의 생체량 추정 = 978
4) 주요 저층 우점 어류의 음향반사강도 측정 = 982
라. 참고문헌 = 993
3. 난자치어 종저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994
가. 서론 = 994
나. 재료 및 방법 = 994
1) 난자치어 채집 = 994
2) DNA분석에 의한 종동정 = 994
다. 결과 및 고찰 = 994
1) 어란의 종조성 = 994
2) 자치어의 종조성 = 1009
3) DNA분석에 의한 종동정 = 1025
4) 생태지수 = 1026
라. 참고문헌 = 1029
4.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3
가. 서론 = 1033
나. 재료 및 방법 = 1033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3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033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034
다. 결과 및 고찰 = 1034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034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041
3) 표지방류법에 의한 방류어의 행동특성 파악 = 1069
라. 참고문헌 = 1075
5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076
가. 서론 = 1076
나. 재료 및 방법 = 1076
1) 조사 시기 = 1076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076
다. 결과 및 고찰 = 1082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082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082
3) 군집생태지수 = 1086
4) 우점종 = 1087
5) 다변량 분석 = 1090
6) 생태계 건강도(ISEP 지수) = 1092
7) 이차생산력 = 1093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096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097
라. 참고문헌 = 1101
6. 생태계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1104
가. 서론 = 1104
나. 재료 및 방법 = 1104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1104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1104
3) 생태계 기초조사 = 1105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1106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1107
다. 결과 및 고찰 = 1107
1) 해양환경 및 생태계 정보·자료 분석 = 1107
2) 대상 생태계 정의 = 1109
3) 생태계 기초조사 = 1112
4) 생태계 구성요소 분석 = 1114
5) 생태계 구조와 기능 분석 기반연구 = 1124
라. 참고문헌 = 1125
7. 인공어초 사전적지 조사 및 시설안정성 조사 = 1126
가. 서론 = 1126
나. 재료 및 방법 = 1126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 조사 = 1126
2) 생태기반 공간조성 효과조사 = 1126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1127
다. 결과 및 고찰 = 1127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 조사 = 1127
2) 생태기반 공간조성 효과조사 = 1129
가) 바다목장해역에 시설된 인공어초 = 1129
나) 저서생물 부착효과 = 1130
(1) 출현현황 = 1130
(2) 해역별 저서무척추생물의 출현양상 = 1131
다) 해조류 출현양상 = 1136
(1) 출현 현황 = 1136
(2) 해조류 피도 = 1137
(3) 감태의 부착밀도 = 1139
라) 인공어초 주변의 어류상 = 1139
(1) 출현어류 = 1139
(2) 출현어류별 개체수 = 1140
(3) 출현어류의 크기 = 1143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1146
가) 바다목장해역 인공어초 종류별 시설수심, 저질상태, 배치형태 = 1146
나) 바다목장해역 인공어초 종류별 매몰량, 파손율, 전도율 = 1146
라. 참고문헌 = 1149
8. 산호류 종묘이식 및 자원조성 모니터링 = 1150
가. 서론 = 1150
나. 재료 및 방법 = 1150
1) 산호류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= 1150
2) 연산호의 인공번식 기술개발 = 1150
3) 산호류의 종묘이식 및 산호장 조성 = 1152
다. 결과 = 1153
1)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조사 = 1153
가) 출현종수 = 1153
나) 해역별 지형구조에 따른 산호류 분포특성 = 1154
다) 우점종 = 1154
라) 해역별 출현종 = 1156
(1) 신창 북부해역 = 1157
(2) 신창 중부해역 = 1160
(3) 신창 남부해역 = 1162
2) 연산호의 인공번식 기술개발 = 1163
가) 산호류 실내사육 관리 = 1163
나) 사육수온에 따른 생존율 = 1165
다) 부착 기질별 부착률 및 성장 = 1165
3) 산호류의 종묘이식 및 산호장 조성 = 1167
가) 부착 생존율 = 1167
나) 성장도 = 1168
라. 고찰 = 1170
마. 참고문헌 = 1172
9. 수중로봇을 이용한 방류종묘의 환경적응력 모니터링 = 1173
가. 서론 = 1173
나. 재료 및 방법 = 1173
1) 주요 사용 장비 = 1173
2) 실험 방법 및 항목 = 1177
다. 결과 = 1178
1) 방류 후 까막전복 서식조사 = 1178
2) 돌돔 방류현장 조사 = 1180
3) 자바리 방류현장 조사 = 1182
4) 오분자기 방류현장 조사 = 1184
5) 쏨뱅이 방류현장 조사 = 1187
6) 영상처리 기술개발 결과 = 1189
라. 고찰 = 1193
마. 참고문헌 = 1195
10.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한 기획 연구 = 1196
가. 서론 = 1196
나. 연구항목 = 1196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1196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1196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1196
다. 결과 = 1196
1) 지역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문화, 향토음식 및 전통 수산발효식품에 대한 식문화 실태조사 = 1196
2) 고부가가치 가공제품개발 및 품질향상 방안 = 1203
3) 수산물 향토음식, 전통수산식품의 상품화 연구 = 1210
라. 참고문헌 = 1210
11. 바다목장 이용관리방안 구축 = 1211
가. 서론 = 1211
나. 재료 및 방법 = 1212
1) 제주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분석 대상 = 1212
2) 제주바다목장산 수산물 부가가치 향상 연구의 접근 방법 = 1212
다. 결과 = 1212
1) 제주바다목장해역의 수산물 유통실태 = 1212
2) 제주바다목장 수산물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상품화계획 = 1213
제3절. 녹색성장사업 = 1216
1. 서론 = 1216
2. 생태기반 공간조성 사업 = 1218
가. 기본 계획 = 1218
나. 세부 계획 = 1218
다. 사업 결과 = 1219
3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221
가. 기본 계획 = 1221
나. 세부 계획 = 1221
다. 사업 결과 = 1221
4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사업 = 1224
가. 관리수면 표시 부이 설치 = 1224
1) 사업 목적 = 1224
2) 사업 범위 = 1224
3) 사업 결과 = 1224
나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1226
1) 사업 목적 = 1226
2) 사업 범위 = 1227
3) 사업 결과 = 1227
다. 「바다목장 해양환경관측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표출 시스템」유지·보수 = 1228
1) 사업 목적 = 1228
2) 사업 범위 = 1228
3) 사업 결과 = 1229
라. 바다목장 중간육성장 시설 및 재생산 어종 사육관리 = 1230
1) 사업 목적 = 1230
2) 사업 범위 = 1230
3) 사업 결과 = 1231
5. 결과 및 고찰 = 1234
제4절. 종합고찰 = 1236
부록 = 124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