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
- 서명/저자
- 전남바다목장사업보고서 /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 ; 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- 발행사항
- [부산] : 국립수산과학원, 2010
- 형태사항
- lⅳ, 491 p. : 삽도 ; 전자파일
- 총서명
- 3단계 1차년도 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 : 방종득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수록
- 키워드
- 바다숲
- 기타저자
- 양용수
- 기타저자
- 국립수산과학원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7354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441 | EB : 520.7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1227s2010 bnk d 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자원환경과
24500▼a전남바다목장사업보고서▼d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▼e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260 ▼a[부산]▼b국립수산과학원▼c2010
300 ▼alⅳ, 491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44000▼a3단계 1차년도 보고서
50000▼a연구책임자 : 방종득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4 ▼a참고문헌 수록
653 ▼a바다숲
7001 ▼a양용수
710 ▼a국립수산과학원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441
9501 ▼a비매품
제1장 총괄관리 = 1
제1절 서론 = 3
제2절 사업별 추진계획 = 5
1. 추진목표 = 5
2. 추진계획 = 5
가. 연구개발사업 = 7
1) 자원조사 및 평가 분야 = 8
2) 어장 및 자원조성 효과 향상 연구 분야 = 8
3)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분야 = 9
나. 녹색성장사업 = 10
1)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0
2)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0
3)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0
제3절 사업별 추진 체계 = 11
1. 연구개발사업 = 11
2. 녹색성장사업 = 11
가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1
나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5
다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8
제4절 바다목장사업 운영 및 관리 = 19
1. 연구개발사업 = 19
가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19
나. 착수보고회 및 중간보고회 = 19
다. 최종평가회 = 20
2. 녹색성장사업 = 21
가. 사업 추진 = 21
나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1
다. 최종평가회 = 22
제6절 결론 및 고찰 = 23
제2장 연구개발사업 = 25
제1절 서론 = 27
제2절 자원조사 및 평가 = 29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29
가. 서론 = 29
나. 재료 및 방법 = 29
1) 어업실태조사 = 29
2) 어업별 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29
3) 주요 어종의 생태학적 조사 = 31
가) 기본적인 생태학적 조사 = 31
나) 주요 어종의 성숙과 산란 = 31
다) 주요 어종의 연령과 성장 = 31
라) 주요 어종의 생잔율 = 32
마) 사망계수의 추정 = 33
4) 개체군 차원 자원평가 = 33
가) 표지방류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3
나) 잠수조사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5
다)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7
라) 생체량을 고려한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8
마) 체장조성을 고려한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8
다. 결과 및 고찰 = 39
1) 어업실태조사 = 39
가) 어촌계 계원 수 및 어업 허가건수 현황 = 39
2) 어업별 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40
가) 삼중자망 = 40
나) 통발 = 46
다) 각망 = 49
라) 주요 대상종의 출현현황 = 57
3) 주요 조성 대상종의 생태학적 조사 = 59
가) 주요 어종의 체장조성 특성 = 59
나) 주요 어종의 성숙과 산란 = 62
다) 주요 어종의 연령과 성장 = 65
라) 주요 어종의 생잔율 = 67
마) 사망계수의 추정 = 68
4) 개체군 차원 자원평가 = 69
가) 표지방류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69
나) 잠수조사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69
다)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70
라. 결론 및 고찰 = 75
1) 어업실태 및 자원량 변동 = 75
2) 주요 어종의 생태학적 특성 = 76
3) 자원량 추정 = 77
마. 참고문헌 = 78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80
가. 서론 = 80
나. 재료 및 방법 = 80
1) 난·자치어 채집 = 80
2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80
다. 결과 및 고찰 = 80
1) 분류 및 동정 = 80
가) 어란 종 조성 = 80
나) 자치어 종 조성 = 100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116
라) 행태적 미분류 어란에 대한 DNA 분석 = 118
2) 생태지수 = 118
가) 종수 = 118
나) 개체수 = 118
다) 풍부도 = 119
라) 균등도 = 119
마) 다양도 = 120
바) 다차원척도 분석 = 120
라. 참고문헌 = 121
3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25
가. 서론 = 125
나. 재료 및 방법 = 125
1) 조사 시기 = 125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25
가) 군집생태지수 = 126
나) 다변량 분석 = 126
다) ISEP (Inverse function of SEP) index = 126
라) 저서동물 군집 이차생산력 = 127
마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27
다. 결과 = 131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31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33
3) 군집생태지수 = 136
4) 우점종 = 137
5) 다변량 분석 = 140
6) 생태계 건강도(ISEP 지수) = 142
7) 이차생산력 = 143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46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47
라. 참고문헌 = 151
4. 직접 자원조사 및 난자치어 채집 = 154
가. 서론 = 154
나. 재료 및 방법 = 154
1) 새우조망을 이용한 어획량 및 종조성 조사 = 154
2) 난·자치어 채집 = 155
3) 수질환경 = 155
다. 결과 = 156
1) 어류 종조성 = 156
2) 자원량 추정 = 167
3) 군집구조 = 169
4) 우점종의 생태 및 체장조성 = 171
5) 난·자치어 채집 = 175
6) 수질환경 = 175
가) 수온 = 175
나) 염분 = 175
다) pH = 176
라) DO(용존산소량) = 176
라. 종합결론 및 고찰 = 177
마. 참고문헌 = 178
5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180
가. 서론 = 180
나. 재료 및 방법 = 180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80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80
가) 동물플랑크톤 = 180
나) 식물플랑크톤 = 181
다. 결과 및 고찰 = 18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81
가) 종조성 및 우점종 = 181
나) 출현량 = 183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86
가) 동물플랑크톤 = 186
나) 식물플랑크톤 = 200
라. 참고문헌 = 215
6. 먹이망 구조 분석 = 216
가. 서론 = 216
나. 재료 및 방법 = 217
1) 연구지역 = 217
2) 시료의 채집과 분석준비 = 218
3) 안정동위원소 분석 = 219
4) 저서먹이원 기여율과 소비자 영양단계 계산 = 219
다. 결과 및 고찰 = 220
1) 잠재먹이원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20
2) 대형무척추동물과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21
가) 개도 = 221
나) 안도 = 224
다) 소리도 = 227
라. 결론 = 230
마. 참고문헌 = 231
7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232
가. 서론 = 232
나. 재료 및 방법 = 232
1)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 목표(Objectives) 설정 = 232
2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목표별 지표(indicators) 개발 = 233
3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기준점(reference points, 목표 및 한계기준점) 개발 = 233
다. 결과 및 고찰 = 233
1)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 목표(Objectives) 설정 = 233
2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목표별 지표(indicators) 개발 = 234
가) 지속성 유지 = 234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35
다) 서식처 보존 = 236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36
3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기준점(reference points, 목표 및 한계기준점) 개발 = 237
가) 지속성 유지 = 237
(1) Tier 1 = 237
(가) 자원량 지표와 CPUE = 237
(나) 어획사망계수 지표 및 어획량 지표 = 237
(다) 어획개시 연령(체장) = 238
(라) 서식처 규모 지표 = 238
(마) 어획물 평균영양단계 지표 = 240
(바) 성숙비율 지표 = 240
(사) 체장 스펙트럼의 기울기 지표 = 240
(아) 어획물 내 자연산어에 대한 방류어의 비 지표 = 240
(2) Tier 2 = 241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43
(1) Tier 1 = 243
(가) 혼획률 지표 = 243
(나) 폐기율 지표 = 243
(다) 군집 영양단계 지표 = 243
(라) 종다양성 지수 지표 = 243
(마) 저서성 어종에 대한 표층성어종의 비 지표어 = 244
(2) Tier 2 = 244
다) 서식처 보존 = 245
(1) Tier 1 = 245
(가) 서식처 훼손 지표 = 245
(나) 산람장과 성숙장의 오염도 지표 = 245
(다) 어구유실 지표 = 245
(라) 어업폐기물 지표 = 245
(2) Tier 2 = 246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46
(1) Tier 1 = 246
(가) 어획량 지표 = 247
(나) 소득 지표 = 247
(다) 수익률 지표 = 247
(라) 시장 지표 = 247
(마) 고용증가율 지표 = 248
(2) Tier 2 = 248
4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 입력 자료 검토 및 보정 = 248
가) 지속성 유지 = 249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49
다) 서식처 보존 = 249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49
라. 참고문헌 = 251
제3절 어장 및 자원조성 효과 향상 연구 = 252
1. 생태기반 공간조성(인공어초)시설 안정성 및 효과 = 252
가. 서론 = 252
나. 재료 및 방법 = 252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조사 = 252
가) 조사시기 및 장소 = 252
나) 조사항목 = 253
다) 조사방법 = 253
2) 생태계 특성 분석 = 257
가) 어류 = 257
나) 저서동물 = 257
다) 해조류 = 258
라) 생태지수 = 258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259
다. 결과 = 260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조사 결과 = 260
가) 해저면 = 260
2) 생태계 특성 분석 결과 = 265
가)어류 = 265
나) 저서동물 = 275
다) 해조류 = 284
라. 결론 = 293
마. 참고문헌 = 294
2. 해삼의 자원조성기법개발 및 모니터링 연구 = 295
가. 서론 = 295
나. 재료 및 방법 = 295
1) 2008년 해삼 방류 실태조사 = 295
2) 방류초기 해삼의 이동 및 분산 특성 조사 = 296
3) 해삼의 생산효과 분석 연구 = 297
다. 결과 = 298
1) 2008년 해삼방류 실태조사 = 298
2) 방류초기 해삼의 이동 및 분산 특성 조사 = 298
3) 해삼의 생산효과 분석 연구 = 306
다. 고찰 = 309
라. 참고문헌 = 311
3. 감성돔 어미집단의 유전 조성을 이용한 방류종묘 확인 = 312
가. 서론 = 312
나. 재료 및 방법 = 132
1) 시료 채취 및 DNA 마커 분석 = 312
가) 시료 채취 시기 및 장소 = 312
나)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분리
다)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유전자형 분석 및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 염기서열 분석 = 314
2)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통계분석 = 314
다. 결과 = 314
1) 감성돔의 새로운 microsatellite DNA 마커 개발 = 314
2) 감성돔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유전적 다양성 = 314
3) 감성돔 각 집단의 유전자 빈도 = 317
4) 감성돔 친어와 인공종묘 사이의 친자확인 = 321
5) 감성돔의 각 집단간 유전적 분화 = 322
6) 감성돔 각 집단간 유전적 유연관계 = 323
라. 고찰 = 325
마. 참고문헌 = 328
4. 해중림 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= 329
가. 서론 = 329
나. 재료 및 방법 = 330
1) 잘피(거머리말) = 330
2) 자연석 이식 해조류 = 331
3) 해중림(초) 시설 = 332
다. 결과 및 토의 = 333
1) 잘피(거머리말) = 333
가) 이식지의 생육환경 = 333
나) 잘피(거머리말) 생육밀도 변화 = 334
다) 잘피(거머리말) 형태 변화 = 334
2) 자연석 이식 해조류 = 338
가) 이식지의 생육환경 = 338
(1) 수온 = 338
(2) 광량 = 339
나) 이야포의 감태 이식 = 341
(1) 생육밀도 = 341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1
다) 화태도의 곰피 이식 = 345
(1) 생육밀도 = 345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5
라) 유송리의 모자반 이식 = 348
(1) 생육밀도 = 348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8
3) 인공 해중림 조성 = 350
가) 생육환경 = 350
나) 인공 해중림의 해조류 보완 이식 = 351
(1) 보완이식 = 351
(2) 인공 해중림의 생육밀도 = 351
(3) 인공 해중림 해조류의 형태 = 351
(4) 인공 해중림 해조류의 피도 = 352
4) 이식생존율 = 352
가) 잘피 = 352
나) 이식 해조류 = 353
다) 인공 해중림의 해조류 생존율 = 354
(1) 감태 = 354
(2) 곰피 = 355
(3) 모자반 = 355
라. 결론 = 356
마. 참고문헌 = 357
제4절.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= 358
1. 수산물 브랜드 제품 개발 및 시제품 제작 = 358
가. 서론 = 358
나. 연구항목 = 358
1) 수산물 브랜드 제품개발 = 358
2) 수산물의 시제품 제작 및 품평회 = 358
3) 수산물을 이용한 레시피 제작 = 358
다. 결과 = 359
1) 수산물 브랜드 제품개발 = 359
가) 단순가공제품의 포장개선시험 = 359
나) 수산발표제품을 응용한 소스류 제품개발시험 = 366
다) 수산물(어패조류)의 스낵류 및 편리·즉석식품 개발시험 = 374
2) 수산물의 시제품 제작 및 품평회 = 383
가) 자반제품 = 383
나) 굴비형태 제품 = 383
다) 액젓 및 육젓 = 384
라) 수산물 스낵 = 384
마) 해조 첨가 된장 및 고추장 제품 = 385
3) 수산물을 이용한 레시피 제작 = 387
라. 참고문헌 = 402
2. 효율적 이용 관리 방안 연구 = 403
가. 서론 = 403
나. 재료 및 방법 = 404
1) 부가가치 제고 방안 = 404
2) 사후관리계획 수립 = 404
다. 결과 = 407
1) 부가가치 제고 방안 = 407
2) 사후관리계획 수립 결과 = 413
제5절. 결론 및 고찰 = 429
제3장. 녹색성장사업 = 433
제1절. 서론 = 435
제2절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437
1. 사업개요 = 437
2. 세부계획 = 437
3. 사업결과 = 438
제3절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439
1. 사업개요 = 439
가. 개요 = 439
나. 추진 절차 = 439
2. 세부계획 = 439
3. 사업결과 = 440
제4절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443
1. 전남바다목장 홍보전시관 컨텐츠 개발 = 443
가. 사업 목적 = 443
나. 사업 범위 = 443
다. 사업 결과 = 443
2. 해조류 Seed Bank 보강 = 448
가. 사업 목적 = 448
나. 사업 범위 = 448
다. 사업 결과 = 448
3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449
가. 사업 목적 = 449
나. 사업 범위 = 449
다. 사업 결과 = 450
4. 관리수면 표시 부이 시설 = 451
가. 사업 목적 = 451
나. 사업 범위 = 451
다. 사업 결과 = 451
5. 해양환경 관측부이 시스템 리모델링 = 454
가. 사업 목적 = 454
나. 사업 범위 = 454
다. 사업 결과 = 454
6. 바다목장 시설지역의 인공어초 해저영상 조사 = 456
가. 사업 계획 = 456
나. 사업 범위 = 456
다. 사업 결과 = 457
제5절. 결론 및 고찰 = 458
제4장. 종합고찰 = 461
부록 = 467
제1절 서론 = 3
제2절 사업별 추진계획 = 5
1. 추진목표 = 5
2. 추진계획 = 5
가. 연구개발사업 = 7
1) 자원조사 및 평가 분야 = 8
2) 어장 및 자원조성 효과 향상 연구 분야 = 8
3)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분야 = 9
나. 녹색성장사업 = 10
1)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0
2)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0
3)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0
제3절 사업별 추진 체계 = 11
1. 연구개발사업 = 11
2. 녹색성장사업 = 11
가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11
나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15
다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18
제4절 바다목장사업 운영 및 관리 = 19
1. 연구개발사업 = 19
가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19
나. 착수보고회 및 중간보고회 = 19
다. 최종평가회 = 20
2. 녹색성장사업 = 21
가. 사업 추진 = 21
나. 바다목장사업 운영위원회 심의·조정 결과 = 21
다. 최종평가회 = 22
제6절 결론 및 고찰 = 23
제2장 연구개발사업 = 25
제1절 서론 = 27
제2절 자원조사 및 평가 = 29
1. 자원조사 및 평가 = 29
가. 서론 = 29
나. 재료 및 방법 = 29
1) 어업실태조사 = 29
2) 어업별 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29
3) 주요 어종의 생태학적 조사 = 31
가) 기본적인 생태학적 조사 = 31
나) 주요 어종의 성숙과 산란 = 31
다) 주요 어종의 연령과 성장 = 31
라) 주요 어종의 생잔율 = 32
마) 사망계수의 추정 = 33
4) 개체군 차원 자원평가 = 33
가) 표지방류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3
나) 잠수조사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5
다)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7
라) 생체량을 고려한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8
마) 체장조성을 고려한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38
다. 결과 및 고찰 = 39
1) 어업실태조사 = 39
가) 어촌계 계원 수 및 어업 허가건수 현황 = 39
2) 어업별 어종별 자원량 변동조사 = 40
가) 삼중자망 = 40
나) 통발 = 46
다) 각망 = 49
라) 주요 대상종의 출현현황 = 57
3) 주요 조성 대상종의 생태학적 조사 = 59
가) 주요 어종의 체장조성 특성 = 59
나) 주요 어종의 성숙과 산란 = 62
다) 주요 어종의 연령과 성장 = 65
라) 주요 어종의 생잔율 = 67
마) 사망계수의 추정 = 68
4) 개체군 차원 자원평가 = 69
가) 표지방류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69
나) 잠수조사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69
다) 코호트분석에 의한 자원량 추정 = 70
라. 결론 및 고찰 = 75
1) 어업실태 및 자원량 변동 = 75
2) 주요 어종의 생태학적 특성 = 76
3) 자원량 추정 = 77
마. 참고문헌 = 78
2. 난자치어 종조성 및 계절변동 분석 = 80
가. 서론 = 80
나. 재료 및 방법 = 80
1) 난·자치어 채집 = 80
2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80
다. 결과 및 고찰 = 80
1) 분류 및 동정 = 80
가) 어란 종 조성 = 80
나) 자치어 종 조성 = 100
다) DNA 분석에 의한 종 동정 = 116
라) 행태적 미분류 어란에 대한 DNA 분석 = 118
2) 생태지수 = 118
가) 종수 = 118
나) 개체수 = 118
다) 풍부도 = 119
라) 균등도 = 119
마) 다양도 = 120
바) 다차원척도 분석 = 120
라. 참고문헌 = 121
3. 저서동물의 군집특성과 현존량 조사 = 125
가. 서론 = 125
나. 재료 및 방법 = 125
1) 조사 시기 = 125
2) 채집 및 자료 분석 = 125
가) 군집생태지수 = 126
나) 다변량 분석 = 126
다) ISEP (Inverse function of SEP) index = 126
라) 저서동물 군집 이차생산력 = 127
마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27
다. 결과 = 131
1) 동물군별 종조성 = 131
2) 저서동물의 시·공간적 분포양상 = 133
3) 군집생태지수 = 136
4) 우점종 = 137
5) 다변량 분석 = 140
6) 생태계 건강도(ISEP 지수) = 142
7) 이차생산력 = 143
8) 생태계 기반 관리에 필요한 저서동물 매개변수 = 146
9) 해역별 저서동물의 현존량, ISEP 지수 및 이차생산력 비교 = 147
라. 참고문헌 = 151
4. 직접 자원조사 및 난자치어 채집 = 154
가. 서론 = 154
나. 재료 및 방법 = 154
1) 새우조망을 이용한 어획량 및 종조성 조사 = 154
2) 난·자치어 채집 = 155
3) 수질환경 = 155
다. 결과 = 156
1) 어류 종조성 = 156
2) 자원량 추정 = 167
3) 군집구조 = 169
4) 우점종의 생태 및 체장조성 = 171
5) 난·자치어 채집 = 175
6) 수질환경 = 175
가) 수온 = 175
나) 염분 = 175
다) pH = 176
라) DO(용존산소량) = 176
라. 종합결론 및 고찰 = 177
마. 참고문헌 = 178
5. 단위 어초군별 어류현존량 및 생태특성 조사 = 180
가. 서론 = 180
나. 재료 및 방법 = 180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80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80
가) 동물플랑크톤 = 180
나) 식물플랑크톤 = 181
다. 결과 및 고찰 = 181
1) 바다목장 해역 어류 현존량 조사 = 181
가) 종조성 및 우점종 = 181
나) 출현량 = 183
2) 인공어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동·식물플랑크톤 조사 = 186
가) 동물플랑크톤 = 186
나) 식물플랑크톤 = 200
라. 참고문헌 = 215
6. 먹이망 구조 분석 = 216
가. 서론 = 216
나. 재료 및 방법 = 217
1) 연구지역 = 217
2) 시료의 채집과 분석준비 = 218
3) 안정동위원소 분석 = 219
4) 저서먹이원 기여율과 소비자 영양단계 계산 = 219
다. 결과 및 고찰 = 220
1) 잠재먹이원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20
2) 대형무척추동물과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21
가) 개도 = 221
나) 안도 = 224
다) 소리도 = 227
라. 결론 = 230
마. 참고문헌 = 231
7.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·관리 시스템 개발 = 232
가. 서론 = 232
나. 재료 및 방법 = 232
1)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 목표(Objectives) 설정 = 232
2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목표별 지표(indicators) 개발 = 233
3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기준점(reference points, 목표 및 한계기준점) 개발 = 233
다. 결과 및 고찰 = 233
1) 바다목장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 목표(Objectives) 설정 = 233
2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목표별 지표(indicators) 개발 = 234
가) 지속성 유지 = 234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35
다) 서식처 보존 = 236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36
3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를 위한 기준점(reference points, 목표 및 한계기준점) 개발 = 237
가) 지속성 유지 = 237
(1) Tier 1 = 237
(가) 자원량 지표와 CPUE = 237
(나) 어획사망계수 지표 및 어획량 지표 = 237
(다) 어획개시 연령(체장) = 238
(라) 서식처 규모 지표 = 238
(마) 어획물 평균영양단계 지표 = 240
(바) 성숙비율 지표 = 240
(사) 체장 스펙트럼의 기울기 지표 = 240
(아) 어획물 내 자연산어에 대한 방류어의 비 지표 = 240
(2) Tier 2 = 241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43
(1) Tier 1 = 243
(가) 혼획률 지표 = 243
(나) 폐기율 지표 = 243
(다) 군집 영양단계 지표 = 243
(라) 종다양성 지수 지표 = 243
(마) 저서성 어종에 대한 표층성어종의 비 지표어 = 244
(2) Tier 2 = 244
다) 서식처 보존 = 245
(1) Tier 1 = 245
(가) 서식처 훼손 지표 = 245
(나) 산람장과 성숙장의 오염도 지표 = 245
(다) 어구유실 지표 = 245
(라) 어업폐기물 지표 = 245
(2) Tier 2 = 246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46
(1) Tier 1 = 246
(가) 어획량 지표 = 247
(나) 소득 지표 = 247
(다) 수익률 지표 = 247
(라) 시장 지표 = 247
(마) 고용증가율 지표 = 248
(2) Tier 2 = 248
4) 생태계 기반 자원평가 입력 자료 검토 및 보정 = 248
가) 지속성 유지 = 249
나) 생물다양성 유지 = 249
다) 서식처 보존 = 249
라) 사회경제적 혜택 = 249
라. 참고문헌 = 251
제3절 어장 및 자원조성 효과 향상 연구 = 252
1. 생태기반 공간조성(인공어초)시설 안정성 및 효과 = 252
가. 서론 = 252
나. 재료 및 방법 = 252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조사 = 252
가) 조사시기 및 장소 = 252
나) 조사항목 = 253
다) 조사방법 = 253
2) 생태계 특성 분석 = 257
가) 어류 = 257
나) 저서동물 = 257
다) 해조류 = 258
라) 생태지수 = 258
3) 인공어초 안정성 조사 = 259
다. 결과 = 260
1) 인공어초 시설예정지 적지조사 결과 = 260
가) 해저면 = 260
2) 생태계 특성 분석 결과 = 265
가)어류 = 265
나) 저서동물 = 275
다) 해조류 = 284
라. 결론 = 293
마. 참고문헌 = 294
2. 해삼의 자원조성기법개발 및 모니터링 연구 = 295
가. 서론 = 295
나. 재료 및 방법 = 295
1) 2008년 해삼 방류 실태조사 = 295
2) 방류초기 해삼의 이동 및 분산 특성 조사 = 296
3) 해삼의 생산효과 분석 연구 = 297
다. 결과 = 298
1) 2008년 해삼방류 실태조사 = 298
2) 방류초기 해삼의 이동 및 분산 특성 조사 = 298
3) 해삼의 생산효과 분석 연구 = 306
다. 고찰 = 309
라. 참고문헌 = 311
3. 감성돔 어미집단의 유전 조성을 이용한 방류종묘 확인 = 312
가. 서론 = 312
나. 재료 및 방법 = 132
1) 시료 채취 및 DNA 마커 분석 = 312
가) 시료 채취 시기 및 장소 = 312
나)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분리
다)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유전자형 분석 및 mitochondrial DNA 조절영역 염기서열 분석 = 314
2) 유전적 다양성 분석 및 통계분석 = 314
다. 결과 = 314
1) 감성돔의 새로운 microsatellite DNA 마커 개발 = 314
2) 감성돔 microsatellite DNA 마커의 유전적 다양성 = 314
3) 감성돔 각 집단의 유전자 빈도 = 317
4) 감성돔 친어와 인공종묘 사이의 친자확인 = 321
5) 감성돔의 각 집단간 유전적 분화 = 322
6) 감성돔 각 집단간 유전적 유연관계 = 323
라. 고찰 = 325
마. 참고문헌 = 328
4. 해중림 시설 관리 및 모니터링 = 329
가. 서론 = 329
나. 재료 및 방법 = 330
1) 잘피(거머리말) = 330
2) 자연석 이식 해조류 = 331
3) 해중림(초) 시설 = 332
다. 결과 및 토의 = 333
1) 잘피(거머리말) = 333
가) 이식지의 생육환경 = 333
나) 잘피(거머리말) 생육밀도 변화 = 334
다) 잘피(거머리말) 형태 변화 = 334
2) 자연석 이식 해조류 = 338
가) 이식지의 생육환경 = 338
(1) 수온 = 338
(2) 광량 = 339
나) 이야포의 감태 이식 = 341
(1) 생육밀도 = 341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1
다) 화태도의 곰피 이식 = 345
(1) 생육밀도 = 345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5
라) 유송리의 모자반 이식 = 348
(1) 생육밀도 = 348
(2) 형태적 특징의 계절변화 = 348
3) 인공 해중림 조성 = 350
가) 생육환경 = 350
나) 인공 해중림의 해조류 보완 이식 = 351
(1) 보완이식 = 351
(2) 인공 해중림의 생육밀도 = 351
(3) 인공 해중림 해조류의 형태 = 351
(4) 인공 해중림 해조류의 피도 = 352
4) 이식생존율 = 352
가) 잘피 = 352
나) 이식 해조류 = 353
다) 인공 해중림의 해조류 생존율 = 354
(1) 감태 = 354
(2) 곰피 = 355
(3) 모자반 = 355
라. 결론 = 356
마. 참고문헌 = 357
제4절. 이용관리에 관한 연구 = 358
1. 수산물 브랜드 제품 개발 및 시제품 제작 = 358
가. 서론 = 358
나. 연구항목 = 358
1) 수산물 브랜드 제품개발 = 358
2) 수산물의 시제품 제작 및 품평회 = 358
3) 수산물을 이용한 레시피 제작 = 358
다. 결과 = 359
1) 수산물 브랜드 제품개발 = 359
가) 단순가공제품의 포장개선시험 = 359
나) 수산발표제품을 응용한 소스류 제품개발시험 = 366
다) 수산물(어패조류)의 스낵류 및 편리·즉석식품 개발시험 = 374
2) 수산물의 시제품 제작 및 품평회 = 383
가) 자반제품 = 383
나) 굴비형태 제품 = 383
다) 액젓 및 육젓 = 384
라) 수산물 스낵 = 384
마) 해조 첨가 된장 및 고추장 제품 = 385
3) 수산물을 이용한 레시피 제작 = 387
라. 참고문헌 = 402
2. 효율적 이용 관리 방안 연구 = 403
가. 서론 = 403
나. 재료 및 방법 = 404
1) 부가가치 제고 방안 = 404
2) 사후관리계획 수립 = 404
다. 결과 = 407
1) 부가가치 제고 방안 = 407
2) 사후관리계획 수립 결과 = 413
제5절. 결론 및 고찰 = 429
제3장. 녹색성장사업 = 433
제1절. 서론 = 435
제2절. 생태기반 공간조성사업 = 437
1. 사업개요 = 437
2. 세부계획 = 437
3. 사업결과 = 438
제3절. 생태기반 자원조성사업 = 439
1. 사업개요 = 439
가. 개요 = 439
나. 추진 절차 = 439
2. 세부계획 = 439
3. 사업결과 = 440
제4절. 해양레저 공간조성 및 지원시설 = 443
1. 전남바다목장 홍보전시관 컨텐츠 개발 = 443
가. 사업 목적 = 443
나. 사업 범위 = 443
다. 사업 결과 = 443
2. 해조류 Seed Bank 보강 = 448
가. 사업 목적 = 448
나. 사업 범위 = 448
다. 사업 결과 = 448
3. 바다목장 정보화시스템 구축 = 449
가. 사업 목적 = 449
나. 사업 범위 = 449
다. 사업 결과 = 450
4. 관리수면 표시 부이 시설 = 451
가. 사업 목적 = 451
나. 사업 범위 = 451
다. 사업 결과 = 451
5. 해양환경 관측부이 시스템 리모델링 = 454
가. 사업 목적 = 454
나. 사업 범위 = 454
다. 사업 결과 = 454
6. 바다목장 시설지역의 인공어초 해저영상 조사 = 456
가. 사업 계획 = 456
나. 사업 범위 = 456
다. 사업 결과 = 457
제5절. 결론 및 고찰 = 458
제4장. 종합고찰 = 461
부록 = 46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