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1.537-4
- 청구기호
- 521.537 농239ㄴ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부
- 서명/저자
- 농업 수자원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 / 농림수산부 ; 농어촌진흥공사 ;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과학연구소 [공편]
- 발행사항
- [과천] : 농림수산부, 1993.
- 형태사항
- 269 p. ; 전자파일
- 주기사항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으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 : 김태철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266-268
- 기타저자
- 김태철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충남대학교 농과대학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
- 기타저자
- 한국농공학회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기타저자
- 농어촌진흥공사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7119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0556 | EB : 521.537 농239ㄴ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1109s1993 ggk d a korIA
056 ▼a521.537▼24
090 ▼a521.537▼b농239ㄴ
110 ▼a농림수산부
24500▼a농업 수자원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▼d농림수산부▼e농어촌진흥공사▼e충남대학교 농과대학 농업과학연구소 [공편]
260 ▼a[과천]▼b농림수산부▼c1993.
300 ▼a269 p.▼c전자파일
5001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10▼a원문파일(pdf)으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연구책임자 : 김태철
504 ▼a참고문헌 : p.266-268
653 ▼a종합관리시스템▼a저수지▼a관개저수지
7001 ▼a김태철
7001 ▼a농수산부
710 ▼a충남대학교▼b농과대학▼b농업과학연구소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림수산식품부
710 ▼a한국농공학회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710 ▼a농어촌진흥공사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0556
9501 ▼a비매품
제I편 이수 관리 모형 = 26
제1장 서론 = 34
제2장 연구 동향 = 34
제3장 저수지 일별 물 수지 모형 = 37
3.1. 저수지의 분류 = 37
3.2. 갈수 해석 = 37
3.3. 유역 및 분석 자료 = 45
3.4. 물 수지 모형의 기본 구조 = 52
3.4.1. 기본 저류 방정식 = 52
3.4.2. 저수량의 설계 빈도 = 54
3.5. 저수량 일별 물 수지 분석 = 56
3.5.1. 유입량 = 56
3.5.2. 농어촌 용수의 필요 수량 = 58
1. 농업 용수 = 58
2. 생활 용수 = 62
3. 공업 용수 = 63
4. 하천 유지 용수 = 63
5. 농촌 관광 용수 = 66
6. 소수력 발전 용수 = 67
3.5.3. 침전량 = 67
1. 신설 저수지의 침전량 추정 = 67
2. 기설 저수지의 침전량과 분포 = 69
3.5.4. 수면 증발량 = 70
제4장 저수 용량 결정 = 71
4.1. 현행의 방법 = 71
4.2. 저수지 고갈 빈도에 의한 방법 = 72
제5장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= 73
5.1. 이수 관리의 정의(Release or Operation rule) = 74
5.2. 이수 관리 곡선(Rule Curve) = 74
5.2.1. 기준 저수량 곡선 = 75
5.2.2. 방류 제한 저수량 곡선 = 76
5.2.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77
제6장 관개 저수지의 저수량 확대 방안 = 77
6.1. 저수지 시설 보수 = 79
6.2. 효율적인 이수 관리 방안 = 80
6.2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지의 운영 실적 = 81
6.2.2. 다목적 댐인 대청 댐의 운영 실적 = 83
6.2.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84
6.3. 갈수년에 사수량 이용 방안 = 85
6.4. 저수지 군의 평형 저수량 관리 = 86
6.4.1. 필요성 = 86
6.4.2. 평형 저수량 관리 = 88
6.4.3. 분석 방법 = 89
6.4.4. 저수지 군의 평형 저수량 관리의 적용 대상 = 93
6.5. 유역 변경에 의한 이수 계통의 광역화 = 93
6.5.1. 필요성 = 93
6.5.2. 문제점 = 94
6.5.3. 환경에 미치는 영향 = 99
제7장 관개 저수지에서 농어촌 용수 공급 방안 = 101
7.1. 관개 용수의 농어촌 용수 공급 현황 = 102
7.2. 생·공 용수 공급에 따른 저수량 변화 = 102
7.3. 농촌 관광 용수 공급 = 105
7.3.1. 저수지 수위 = 106
7.3.2. 저수지 수질 = 107
7.4. 소하천 환경 용수 공급 = 107
7.5. 홍수 조절 기능 = 108
7.5.1. 계획 갈수 기준년의 저수량 변화 = 110
7.5.2. 장기간 자료에 의한 홍수 조절에 따른 저수량 변화 = 110
제8장 결과 및 고찰 = 112
8.1. 저수지 일별 물 수지 분석 = 112
8.1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 저수지 = 112
1. 침전량과 분포 = 112
2. 유입량 = 112
3. 관리 손실량 = 113
4. 저수량 일별 물 수지 분석 = 114
8.1.2. 다목적 관개 저수지인 방동 저수지 = 133
8.2. 저수량 고갈에 의한 저수 용량 결정 = 134
8.2.1. 관개 저수 용량 = 135
8.2.2. 다목적 관개 저수 용량 = 136
8.3.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곡선 = 138
8.3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 저수지 = 138
1. 기준 저수량 곡선 = 139
2. 방류 제한 저수량 곡선 = 139
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140
8.3.2. 다목적 저수지 인 방동 저수지의 이수 관리 곡선 = 141
8.4. 관개 저수지의 홍수 조절 능력 평가 = 144
8.4.1. 분석 방법 = 144
8.4.2. 분석 결과 및 고찰 = 145
1. 홍수 월류량 추정 = 145
2. 방류 제한 강도의 산정 = 147
3. 홍수 조절 운영의 효과 및 문제점 = 148
8.5. 농어촌 용수 공급 전망 및 전용 가능성 분석 = 151
8.5.1. 농어촌 용수 공급 전망 = 152
8.5.2. 농어촌 용수 공급 전용 가능성 분석 = 152
8.5.3. 소하천 유지 용수 공급 가능성의 예 = 153
제9장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모형 (IRRIMA) = 155
제10장 결론 = 157
제11장 문제점과 금후 과제 = 159
제12장 기대 효과 = 161
제13장 실용화 계획 = 163
참고 문헌 = 164
제II편 치수 관리 모형 = 166
제1장 서론 = 172
제2장 연구 동향 = 174
제3장 저수지의 치수 관리 기준 = 176
3.1. 홍수시 수문 관측 조건 = 176
3.2. 댐의 홍수 경계 단계 = 177
3.3. 댐의 홍수 관리 절차 = 178
3.4. 댐 조작 규정 수립 = 180
3.5. 물넘이 수문의 조작 = 182
3.6. 각 단계별 조치 사항 = 184
제4장 시간 별 유효 우량 추정 = 189
4.1. 홍수 직전의 유역 토양 수분 상태 파악 = 189
4.2. 시간별 유효 우량 = 189
제5장 홍수 도달 시간 = 192
5.1. 유속에 의한 방법 = 192
5.2.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방법 = 193
5.3. 지체 시간에 의한 방법 = 194
5.4. SCS TR-55 에 의한 방법 = 195
제6장 홍수 수문 곡선 = 197
6.1. 홍수 수문 곡선의 개요 = 197
6.2. SCS 무차원 단위도(Dimesionless hydrgraph) = 199
제7장 설계 홍수량 기본 모형(DESFLO) = 201
7.1. 서론 = 201
7.2. 수문 및 유역 자료 조사 = 201
7.3. 확률 일 강우량 분석 = 201
7.4. 확률 강우량의 시간 별 배분 = 201
7.5. 우리 나라 유역에 적합한 Curve number 추정 방법 = 203
7.6. Curve number와 합리식의 유출 계수 C 와의 관계 = 211
7.7. CN₃에 의한 시간 별 유효 우량 결정 = 222
7.8. 홍수 도달 시간의 계산 = 223
7.9. 설계 홍수량 모형의 구조 = 223
7.10. DESFLO 모형 적용 예 = 223
제8장 실시간 홍수 예측 기본 모형(RETFLO model) = 225
8.1. 서론 = 225
8.2. 유역 및 수문 자료 조사 = 226
8.3. 홍수 직전의 유역 토양 수분 상태 파악 = 234
8.4. 시간별 유효 우량 산정 = 235
8.5. 홍수 도달 시간의 계산 = 239
8.6. 홍수량 합성 = 240
8.7. 실시간 홍수 예측 기본 모형 = 241
8.8. RETFLO 모형 적용 예 = 243
제9장 저수지 수문 조작 기본 모형(GATOPE model) = 246
9.1. 서론 = 246
9.2. 유역 및 수문 자료 조사 = 246
9.3. 저수지 유입량 예측 = 250
9.4. 수문 개방도와 방류량 계산 = 254
9.5. 하류 하천의 무해 방류량 = 257
9.6. 수문 조작 모형의 구조 = 259
9.7. GATOPE 모형 운용 예 = 262
제10장 관개 저수지의 치수 관리 기본 모형의 구조 = 264
제11장 결론 = 265
제12장 문제점과 향후 과제 = 267
제13장 기대 효과 = 268
제14장 실용화 계획 = 268
참고문헌 = 269
분야별 공동 연구 참여 내역 = 272
제1장 서론 = 34
제2장 연구 동향 = 34
제3장 저수지 일별 물 수지 모형 = 37
3.1. 저수지의 분류 = 37
3.2. 갈수 해석 = 37
3.3. 유역 및 분석 자료 = 45
3.4. 물 수지 모형의 기본 구조 = 52
3.4.1. 기본 저류 방정식 = 52
3.4.2. 저수량의 설계 빈도 = 54
3.5. 저수량 일별 물 수지 분석 = 56
3.5.1. 유입량 = 56
3.5.2. 농어촌 용수의 필요 수량 = 58
1. 농업 용수 = 58
2. 생활 용수 = 62
3. 공업 용수 = 63
4. 하천 유지 용수 = 63
5. 농촌 관광 용수 = 66
6. 소수력 발전 용수 = 67
3.5.3. 침전량 = 67
1. 신설 저수지의 침전량 추정 = 67
2. 기설 저수지의 침전량과 분포 = 69
3.5.4. 수면 증발량 = 70
제4장 저수 용량 결정 = 71
4.1. 현행의 방법 = 71
4.2. 저수지 고갈 빈도에 의한 방법 = 72
제5장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= 73
5.1. 이수 관리의 정의(Release or Operation rule) = 74
5.2. 이수 관리 곡선(Rule Curve) = 74
5.2.1. 기준 저수량 곡선 = 75
5.2.2. 방류 제한 저수량 곡선 = 76
5.2.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77
제6장 관개 저수지의 저수량 확대 방안 = 77
6.1. 저수지 시설 보수 = 79
6.2. 효율적인 이수 관리 방안 = 80
6.2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지의 운영 실적 = 81
6.2.2. 다목적 댐인 대청 댐의 운영 실적 = 83
6.2.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84
6.3. 갈수년에 사수량 이용 방안 = 85
6.4. 저수지 군의 평형 저수량 관리 = 86
6.4.1. 필요성 = 86
6.4.2. 평형 저수량 관리 = 88
6.4.3. 분석 방법 = 89
6.4.4. 저수지 군의 평형 저수량 관리의 적용 대상 = 93
6.5. 유역 변경에 의한 이수 계통의 광역화 = 93
6.5.1. 필요성 = 93
6.5.2. 문제점 = 94
6.5.3. 환경에 미치는 영향 = 99
제7장 관개 저수지에서 농어촌 용수 공급 방안 = 101
7.1. 관개 용수의 농어촌 용수 공급 현황 = 102
7.2. 생·공 용수 공급에 따른 저수량 변화 = 102
7.3. 농촌 관광 용수 공급 = 105
7.3.1. 저수지 수위 = 106
7.3.2. 저수지 수질 = 107
7.4. 소하천 환경 용수 공급 = 107
7.5. 홍수 조절 기능 = 108
7.5.1. 계획 갈수 기준년의 저수량 변화 = 110
7.5.2. 장기간 자료에 의한 홍수 조절에 따른 저수량 변화 = 110
제8장 결과 및 고찰 = 112
8.1. 저수지 일별 물 수지 분석 = 112
8.1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 저수지 = 112
1. 침전량과 분포 = 112
2. 유입량 = 112
3. 관리 손실량 = 113
4. 저수량 일별 물 수지 분석 = 114
8.1.2. 다목적 관개 저수지인 방동 저수지 = 133
8.2. 저수량 고갈에 의한 저수 용량 결정 = 134
8.2.1. 관개 저수 용량 = 135
8.2.2. 다목적 관개 저수 용량 = 136
8.3.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곡선 = 138
8.3.1. 관개 저수지인 예당 저수지 = 138
1. 기준 저수량 곡선 = 139
2. 방류 제한 저수량 곡선 = 139
3. 이수 관리 곡선에 의한 저수량 관리 = 140
8.3.2. 다목적 저수지 인 방동 저수지의 이수 관리 곡선 = 141
8.4. 관개 저수지의 홍수 조절 능력 평가 = 144
8.4.1. 분석 방법 = 144
8.4.2. 분석 결과 및 고찰 = 145
1. 홍수 월류량 추정 = 145
2. 방류 제한 강도의 산정 = 147
3. 홍수 조절 운영의 효과 및 문제점 = 148
8.5. 농어촌 용수 공급 전망 및 전용 가능성 분석 = 151
8.5.1. 농어촌 용수 공급 전망 = 152
8.5.2. 농어촌 용수 공급 전용 가능성 분석 = 152
8.5.3. 소하천 유지 용수 공급 가능성의 예 = 153
제9장 관개 저수지의 이수 관리 모형 (IRRIMA) = 155
제10장 결론 = 157
제11장 문제점과 금후 과제 = 159
제12장 기대 효과 = 161
제13장 실용화 계획 = 163
참고 문헌 = 164
제II편 치수 관리 모형 = 166
제1장 서론 = 172
제2장 연구 동향 = 174
제3장 저수지의 치수 관리 기준 = 176
3.1. 홍수시 수문 관측 조건 = 176
3.2. 댐의 홍수 경계 단계 = 177
3.3. 댐의 홍수 관리 절차 = 178
3.4. 댐 조작 규정 수립 = 180
3.5. 물넘이 수문의 조작 = 182
3.6. 각 단계별 조치 사항 = 184
제4장 시간 별 유효 우량 추정 = 189
4.1. 홍수 직전의 유역 토양 수분 상태 파악 = 189
4.2. 시간별 유효 우량 = 189
제5장 홍수 도달 시간 = 192
5.1. 유속에 의한 방법 = 192
5.2.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방법 = 193
5.3. 지체 시간에 의한 방법 = 194
5.4. SCS TR-55 에 의한 방법 = 195
제6장 홍수 수문 곡선 = 197
6.1. 홍수 수문 곡선의 개요 = 197
6.2. SCS 무차원 단위도(Dimesionless hydrgraph) = 199
제7장 설계 홍수량 기본 모형(DESFLO) = 201
7.1. 서론 = 201
7.2. 수문 및 유역 자료 조사 = 201
7.3. 확률 일 강우량 분석 = 201
7.4. 확률 강우량의 시간 별 배분 = 201
7.5. 우리 나라 유역에 적합한 Curve number 추정 방법 = 203
7.6. Curve number와 합리식의 유출 계수 C 와의 관계 = 211
7.7. CN₃에 의한 시간 별 유효 우량 결정 = 222
7.8. 홍수 도달 시간의 계산 = 223
7.9. 설계 홍수량 모형의 구조 = 223
7.10. DESFLO 모형 적용 예 = 223
제8장 실시간 홍수 예측 기본 모형(RETFLO model) = 225
8.1. 서론 = 225
8.2. 유역 및 수문 자료 조사 = 226
8.3. 홍수 직전의 유역 토양 수분 상태 파악 = 234
8.4. 시간별 유효 우량 산정 = 235
8.5. 홍수 도달 시간의 계산 = 239
8.6. 홍수량 합성 = 240
8.7. 실시간 홍수 예측 기본 모형 = 241
8.8. RETFLO 모형 적용 예 = 243
제9장 저수지 수문 조작 기본 모형(GATOPE model) = 246
9.1. 서론 = 246
9.2. 유역 및 수문 자료 조사 = 246
9.3. 저수지 유입량 예측 = 250
9.4. 수문 개방도와 방류량 계산 = 254
9.5. 하류 하천의 무해 방류량 = 257
9.6. 수문 조작 모형의 구조 = 259
9.7. GATOPE 모형 운용 예 = 262
제10장 관개 저수지의 치수 관리 기본 모형의 구조 = 264
제11장 결론 = 265
제12장 문제점과 향후 과제 = 267
제13장 기대 효과 = 268
제14장 실용화 계획 = 268
참고문헌 = 269
분야별 공동 연구 참여 내역 = 27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