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168 | EB : 529 해62ㅎ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1022s2010 bnk d a korIB
056 ▼a529▼24
090 ▼a529▼b해62ㅎ
24520▼a해양수산백서(2006∼2008)▼d한국해양수산개발원 [편]
260 ▼a[부산]▼b한국해양수산개발원▼c2010
300 ▼axxⅱ, 624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4 ▼a참고문헌 : p.617-624
710 ▼a한국해양수산개발원
710 ▼a해양수산개발원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168
9501 ▼a비매품
제1장. 총론 = 3
제1절. 해양수산정책의 여건 변화 및 추진방향 = 3
1. 해양수산정책의 주요 여건 변화 = 3
2. 해양수산정책의 추진 방향 = 8
3. 소결 = 13
제2절. 한국적 해양수산행정(ocean govermance) 체제의 모색 = 14
1. 통합 해양수산행정에 대한 논의 = 14
2. 주요국의 해양수산행정체제 = 17
3. 한국 해양수산행정체제의 변화 = 26
4. 소결 = 35
제3절. 해운사황의 격변과 한국 해운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 지원 = 37
1. 해운사황의 변화 = 37
2. 한국 선사들의 동향 = 39
3. 해운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책의 강구 = 45
4. 소결 = 51
제4절. 해양산업 녹색성장동력 확보방안의 모색 = 53
1. 경제사회 발전 패러다임의 변화 : 녹색성장 = 53
2. 해양산업 녹색성장 잠재력 = 54
3. 해양을 통한 녹색성장의 추진 = 58
4. 소결 = 69
제2장. 해양환경 = 73
제1절. 해양정책 여건 변화 = 73
1. 국내외 여건 변화 = 73
2.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추진 = 76
제2절. 생명력 넘치는 해양환경 조성 = 78
1. 해양환경관리의 국내외 여건 변화 = 78
2. 해양환경 실태 = 81
3. 해양환경관리 성과 = 84
제3절.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 = 88
1. 해양생태계 관리여건의 변화 = 88
2.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 분야 추진 현황 = 90
3. 해양생물다양성 분야 추진 현황 = 97
4. 한계와 전망 = 101
제4절. 연안의 지속 가능한 이용·개발과 보존 = 103
1. 연안관리의 여건 및 정책 방향 = 103
2. 연안관리 추진 현황 = 106
3. 성과와 과제 = 113
제5절. 해양환경 국제협력 = 115
1. 동아시아 해양환경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협력 강화 = 115
2. 기후변화 협약 대응 = 125
제6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127
1. 종합적, 체계적 해양환경관리 기반 강화 = 127
2. 신 연안관리제도의 조기 정착 및 조정·통합의 메커니즘 구축 = 128
3. 해양생태계 서비스 능력 보전 및 강화 = 129
4.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해양환경관리 역량강화 = 130
제3장. 해양영토관리와 해양산업 = 133
제1절. 여건 변화 = 133
1. 해양 관할권 경쟁 심화 = 133
2. 해양 공간의 다목적 이용 = 133
3. 해양 자원 탐사 및 개발 가속 = 134
4. 해양 녹색 산업의 등장 = 135
제2절. 해양영토관리 = 136
1.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강화 = 136
2. 한·중·일 해양관할권 확대 경젱 - 해양영토 관련 주요 법령·계획 시행 = 137
3. 한·중·일 EEZ 해양경계 획정 협상 진행 = 140
4. 대륙붕 한계 확장 문서 제출 = 142
5. 글로벌 해양 진출 본격화 = 144
제3절. 남북한 해양수산 협력 경과와 성과 = 148
1. 해운항만분야 남북협력사업 = 148
2. 수산분야 남북협력사업 = 153
제4절. 해양관광 및 문화 = 160
1. 해양관광의 활성화 = 160
2. 해양문화의 보급과 해양의식교육의 강화 = 166
제5절. 해양과학기술 = 171
1. 국내외 해양과학기술 정책 동향 = 171
2. 첨단 해양과학기술 개발사업 추진 현황 = 179
제6절. 세계박람회 유치 및 개최준비 = 197
1. 세계박람회 개요 = 197
2.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 목적 및 유치 경과 = 202
3. 2012 여수 세계박람회의 주제 = 205
4. 2012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준비 상황 및 향후 계획 = 207
제7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208
1. 통합 해양영토 관리기능 확립 = 208
2. 독도 문제에 체계적인 대응 = 209
3. 해양에 대한 인식개선과 해양관광의 보급·확산 = 209
제4장. 해운정책 = 213
제1절. 해운환경 변화 = 215
1. 국제 해운환경 변화 = 215
2. 국내 해운환경 변화 = 220
제2절. 해운산업 구조 변화 = 222
1. 국적선대 현황 = 222
2. 항만물동량 현황 = 226
3. 외항선사 수입 = 226
4. 부대사업 현황 = 227
제3절.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= 228
1.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= 228
2. 톤세제도(Tonnage Tax)의 연장 시행 = 229
3. 선박투자회사제도의 활성화 = 230
4. 선박등록제도 선진화 = 231
제4절.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 = 234
1. 연안해운의 주요 환경변화 = 234
2. 연안해운의 성장 제약요인 = 241
3.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 = 246
제5절. 선원인력 양성 및 복지증진 = 251
1. 우리나라 선원인력 현황 = 251
2. 선원인력의 양성 = 258
3. 선원의 수급안정화 및 복지증진 = 264
4. 향후 선원정책 방향 = 267
제6절. 국제해운협력 = 270
1. 국제해운협력의 기본방향 = 270
2. 다자 해운협력 = 271
3. 양자 해운협력 = 274
4. 국제해운협력의 역량강화 = 278
제7절. 향후전망과 정책과제 = 279
1. 새로운 성장을 위한 해운정책 방향 = 279
2. 국제경쟁력의 강화 = 282
3. 연안해운의 활성화 = 283
4. 선원인력의 해기전승과 매력도 증진 = 284
5. 국제해운협력 역량 강화 = 284
제5장. 항만정책 = 289
제1절. 항만개발의 여건 변화 = 289
1. 세계 경제의 불황과 물동량 감소 = 290
2. 동북아 항만 간 경쟁심화 = 293
3. BRICs의 경제 성장세 지속 = 297
4. 저탄소 녹색항만의 구현 = 300
5. 항만관리체제의 변화 = 304
제2절. 항만개발 정책방향 = 310
1.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의 수립 = 310
2. 동북아 물류중심항만 및 지역거점항의 지속개발 = 313
3. ODA(공적원조사업)를 통한 해외협력사업의 강화 = 314
4. 항만수요예측에 기반한 탄력적 항만개발 = 316
5. 항만민자유치제도의 개선 = 328
6. 항만재개발 및 Green Port 개발 = 343
7. 항만친수공간 및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 = 350
8. 고부가가치 항만의 창출 = 351
제3절. 항만관리운영의 효율화 = 359
1. 항만공사제 확산 = 359
2. 항만인력공급체제 개편 개요 = 363
제4절. 항만운영기술의 선진화 = 383
1. 세계 최괴의 항만생산성 확보 추진 = 383
2. 항만운영기술 R&D 추진 = 386
제5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389
1. CO₂저감을 위한 국제사회의 활동 증대와 그린포트 구현 = 389
2. 중심항만 구축경쟁의 치열화 및 중심항만 정책의 지속적 추진 = 391
3. 항만인력공급체제 개편의 확대 = 391
4. 항만배후단지에 제조업의 입주 유치 = 392
5. 새로운 항만수요에 대비 = 393
6. 항만관리의 상업화 및 지방화 추진 = 393
7. 항만운영 성과관리 체제의 도입 = 394
제6장. 수산정책 = 399
제1절. 수산업·어촌의 실태와 여건 변화 = 399
1. 어가호수와 어가인구 = 399
2. 수산업 생산 = 400
3. 수산물 수출입 = 402
4. 어가경제 = 404
제2절. 어업인 지원 = 406
1. 어업인 경영 지원 = 406
2. 어업인 복지 지원 = 407
3. 어업재해보험 = 409
제3절. 어업인력 육성 = 411
1. 수산전문 인력 육성 = 411
2. 어업인 정보화 지원 = 412
3. 어촌지역 개발 리더 양성 = 413
제4절. 수산물 유통·가공 = 414
1. 수산물 가격안정 = 414
2.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= 416
3. 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= 419
4.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추진 = 421
5. 수산물 위생안전관리체계 강화 = 423
제5절. 어촌 및 어항개발 = 428
1. 어촌개발 = 428
2. 어항개발 = 435
제6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440
제7장. 수산자원관리와 어업체제 구축 = 445
제1절. 연근해어업 구조개선 = 445
1. 연근해어업 구조조정 및 재편 = 445
2. 자원관리형 어업생산구조 정착 = 448
3. 어업질서 확립 = 449
제2절. 자원관리형 어업체제 구축 = 455
1. 수산자원회복계획 = 455
2. 총허용어획량제도 = 457
3. 자율관리어업 = 459
4. 인공어초 시설사업 및 수산종묘 방류사업 = 461
5. 바다목장사업 = 464
6. 내수면어업 개발 = 466
제3절. 양식어업의 경쟁력 강화 = 468
1. 양식어장의 면허제도 개선 = 468
2. 어장 정비 및 친환경 양식장 기반 확충 = 470
3. 양식기술의 개발 및 보급 = 472
제4절. 한·일 및 한·중 어업협정 이행 = 475
1. 동북아 수역 어업질서 재편 = 475
2. 한·일 어업협정 = 475
3. 한·중 어업협정 = 477
제5절. 해외어장 개발과 원양어업 육성 = 480
1. 해외어장개발 = 480
2. 우리나라의 원양어업 조업 현황 = 480
3. 지속 가능한 원양어업 기반조성 = 483
제6절. 수산분야 국제환경변화에 대응 = 485
1. 국제 수산기구와의 협력 = 485
2. 연안국과의 협력 = 487
3. 수산물 통상협상 대응 = 489
제7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492
제8장. 해사안전 = 497
제1절. 해사안전 여건변화 = 497
제2절. 선진화된 해사안전관리 체제 구축 = 499
1. 해양사고 예방 및 감소를 위한 다각적 종합대책 추진 = 499
2. 해사안전제도 개선을 통한 해사안전 기반 구축 = 505
3. 항만국통제 및 국적선 안전관리 내실화 추진 = 509
제3절. 선박안전기술 선진화 = 514
1. 국제협약 기준에 적합한 선박시설 안전기준 강화 = 514
2. 선박검사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기반 강화 = 520
3.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한 선박 기인 환경오염방지 추진 = 523
4. 수출입 위험화물 운송 안전관리 역량 강화 = 528
제4절. 첨단 해양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= 531
1. 해양안전종합정보센터 운영을 위한 IT 인프라 구축 = 531
2. 해양재난 및 대테러 대응능력 제고 = 539
3. 해상교통관제(VTS) 운영 선진화 체제 구축 = 542
제5절. 해양교통안전시설의 선진화 = 548
1. 해양교통안전시설 인프라 확충 = 548
2. 해양교통시설 분야의 국제협력 강화 = 553
3. 바다의 Blue Highway 구축 전략 마련 = 555
4. 해양문화 공간조성을 통한 신해양문화 조성 = 556
제6절. 국제해사정책 주도 및 국제협력 강화 = 561
1. 국제해사정책 분야 주도역량 강화 = 561
2. 개발도상국 지원 및 국제기술협력사업 활동 강화 = 567
3. 유류오염손해배상체계의 재정립 = 570
4. 해적퇴치 국제공조활동 강화 = 571
제7절. 해양안전기술개발사업 확대 = 573
1. 해양안전기술개발 = 573
2. 해상교통기반시설 기술개발 = 580
제8절. 향후전망 및 정책과제 = 584
제9장. 해양수산 정보화 = 589
제1절. 해양수산 정보화 여건 변화 = 589
제2절. 해양수산분야 정보화 추진 현황 = 592
1. 정보화 추진 목표 및 방향 = 592
2. 해운·항만 물류분야 정보화 추진 현황 = 595
제3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612
1. IT 제품 및 서비스 녹색화 = 614
2. 저탄소 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정보화 사업 추진 = 615
3. 그린 IT 산업육성 = 615
4. 그린 IT 활성화 기반조성 = 616
참고문헌 = 617
제1절. 해양수산정책의 여건 변화 및 추진방향 = 3
1. 해양수산정책의 주요 여건 변화 = 3
2. 해양수산정책의 추진 방향 = 8
3. 소결 = 13
제2절. 한국적 해양수산행정(ocean govermance) 체제의 모색 = 14
1. 통합 해양수산행정에 대한 논의 = 14
2. 주요국의 해양수산행정체제 = 17
3. 한국 해양수산행정체제의 변화 = 26
4. 소결 = 35
제3절. 해운사황의 격변과 한국 해운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 지원 = 37
1. 해운사황의 변화 = 37
2. 한국 선사들의 동향 = 39
3. 해운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책의 강구 = 45
4. 소결 = 51
제4절. 해양산업 녹색성장동력 확보방안의 모색 = 53
1. 경제사회 발전 패러다임의 변화 : 녹색성장 = 53
2. 해양산업 녹색성장 잠재력 = 54
3. 해양을 통한 녹색성장의 추진 = 58
4. 소결 = 69
제2장. 해양환경 = 73
제1절. 해양정책 여건 변화 = 73
1. 국내외 여건 변화 = 73
2. 제2차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추진 = 76
제2절. 생명력 넘치는 해양환경 조성 = 78
1. 해양환경관리의 국내외 여건 변화 = 78
2. 해양환경 실태 = 81
3. 해양환경관리 성과 = 84
제3절.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 = 88
1. 해양생태계 관리여건의 변화 = 88
2.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 분야 추진 현황 = 90
3. 해양생물다양성 분야 추진 현황 = 97
4. 한계와 전망 = 101
제4절. 연안의 지속 가능한 이용·개발과 보존 = 103
1. 연안관리의 여건 및 정책 방향 = 103
2. 연안관리 추진 현황 = 106
3. 성과와 과제 = 113
제5절. 해양환경 국제협력 = 115
1. 동아시아 해양환경 프로그램을 통한 국제협력 강화 = 115
2. 기후변화 협약 대응 = 125
제6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127
1. 종합적, 체계적 해양환경관리 기반 강화 = 127
2. 신 연안관리제도의 조기 정착 및 조정·통합의 메커니즘 구축 = 128
3. 해양생태계 서비스 능력 보전 및 강화 = 129
4.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해양환경관리 역량강화 = 130
제3장. 해양영토관리와 해양산업 = 133
제1절. 여건 변화 = 133
1. 해양 관할권 경쟁 심화 = 133
2. 해양 공간의 다목적 이용 = 133
3. 해양 자원 탐사 및 개발 가속 = 134
4. 해양 녹색 산업의 등장 = 135
제2절. 해양영토관리 = 136
1.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강화 = 136
2. 한·중·일 해양관할권 확대 경젱 - 해양영토 관련 주요 법령·계획 시행 = 137
3. 한·중·일 EEZ 해양경계 획정 협상 진행 = 140
4. 대륙붕 한계 확장 문서 제출 = 142
5. 글로벌 해양 진출 본격화 = 144
제3절. 남북한 해양수산 협력 경과와 성과 = 148
1. 해운항만분야 남북협력사업 = 148
2. 수산분야 남북협력사업 = 153
제4절. 해양관광 및 문화 = 160
1. 해양관광의 활성화 = 160
2. 해양문화의 보급과 해양의식교육의 강화 = 166
제5절. 해양과학기술 = 171
1. 국내외 해양과학기술 정책 동향 = 171
2. 첨단 해양과학기술 개발사업 추진 현황 = 179
제6절. 세계박람회 유치 및 개최준비 = 197
1. 세계박람회 개요 = 197
2.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 목적 및 유치 경과 = 202
3. 2012 여수 세계박람회의 주제 = 205
4. 2012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준비 상황 및 향후 계획 = 207
제7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208
1. 통합 해양영토 관리기능 확립 = 208
2. 독도 문제에 체계적인 대응 = 209
3. 해양에 대한 인식개선과 해양관광의 보급·확산 = 209
제4장. 해운정책 = 213
제1절. 해운환경 변화 = 215
1. 국제 해운환경 변화 = 215
2. 국내 해운환경 변화 = 220
제2절. 해운산업 구조 변화 = 222
1. 국적선대 현황 = 222
2. 항만물동량 현황 = 226
3. 외항선사 수입 = 226
4. 부대사업 현황 = 227
제3절.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= 228
1.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= 228
2. 톤세제도(Tonnage Tax)의 연장 시행 = 229
3. 선박투자회사제도의 활성화 = 230
4. 선박등록제도 선진화 = 231
제4절.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 = 234
1. 연안해운의 주요 환경변화 = 234
2. 연안해운의 성장 제약요인 = 241
3.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 = 246
제5절. 선원인력 양성 및 복지증진 = 251
1. 우리나라 선원인력 현황 = 251
2. 선원인력의 양성 = 258
3. 선원의 수급안정화 및 복지증진 = 264
4. 향후 선원정책 방향 = 267
제6절. 국제해운협력 = 270
1. 국제해운협력의 기본방향 = 270
2. 다자 해운협력 = 271
3. 양자 해운협력 = 274
4. 국제해운협력의 역량강화 = 278
제7절. 향후전망과 정책과제 = 279
1. 새로운 성장을 위한 해운정책 방향 = 279
2. 국제경쟁력의 강화 = 282
3. 연안해운의 활성화 = 283
4. 선원인력의 해기전승과 매력도 증진 = 284
5. 국제해운협력 역량 강화 = 284
제5장. 항만정책 = 289
제1절. 항만개발의 여건 변화 = 289
1. 세계 경제의 불황과 물동량 감소 = 290
2. 동북아 항만 간 경쟁심화 = 293
3. BRICs의 경제 성장세 지속 = 297
4. 저탄소 녹색항만의 구현 = 300
5. 항만관리체제의 변화 = 304
제2절. 항만개발 정책방향 = 310
1.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의 수립 = 310
2. 동북아 물류중심항만 및 지역거점항의 지속개발 = 313
3. ODA(공적원조사업)를 통한 해외협력사업의 강화 = 314
4. 항만수요예측에 기반한 탄력적 항만개발 = 316
5. 항만민자유치제도의 개선 = 328
6. 항만재개발 및 Green Port 개발 = 343
7. 항만친수공간 및 해양관광 인프라 확충 = 350
8. 고부가가치 항만의 창출 = 351
제3절. 항만관리운영의 효율화 = 359
1. 항만공사제 확산 = 359
2. 항만인력공급체제 개편 개요 = 363
제4절. 항만운영기술의 선진화 = 383
1. 세계 최괴의 항만생산성 확보 추진 = 383
2. 항만운영기술 R&D 추진 = 386
제5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389
1. CO₂저감을 위한 국제사회의 활동 증대와 그린포트 구현 = 389
2. 중심항만 구축경쟁의 치열화 및 중심항만 정책의 지속적 추진 = 391
3. 항만인력공급체제 개편의 확대 = 391
4. 항만배후단지에 제조업의 입주 유치 = 392
5. 새로운 항만수요에 대비 = 393
6. 항만관리의 상업화 및 지방화 추진 = 393
7. 항만운영 성과관리 체제의 도입 = 394
제6장. 수산정책 = 399
제1절. 수산업·어촌의 실태와 여건 변화 = 399
1. 어가호수와 어가인구 = 399
2. 수산업 생산 = 400
3. 수산물 수출입 = 402
4. 어가경제 = 404
제2절. 어업인 지원 = 406
1. 어업인 경영 지원 = 406
2. 어업인 복지 지원 = 407
3. 어업재해보험 = 409
제3절. 어업인력 육성 = 411
1. 수산전문 인력 육성 = 411
2. 어업인 정보화 지원 = 412
3. 어촌지역 개발 리더 양성 = 413
제4절. 수산물 유통·가공 = 414
1. 수산물 가격안정 = 414
2.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= 416
3. 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= 419
4. 수산물 품질인증제도 추진 = 421
5. 수산물 위생안전관리체계 강화 = 423
제5절. 어촌 및 어항개발 = 428
1. 어촌개발 = 428
2. 어항개발 = 435
제6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440
제7장. 수산자원관리와 어업체제 구축 = 445
제1절. 연근해어업 구조개선 = 445
1. 연근해어업 구조조정 및 재편 = 445
2. 자원관리형 어업생산구조 정착 = 448
3. 어업질서 확립 = 449
제2절. 자원관리형 어업체제 구축 = 455
1. 수산자원회복계획 = 455
2. 총허용어획량제도 = 457
3. 자율관리어업 = 459
4. 인공어초 시설사업 및 수산종묘 방류사업 = 461
5. 바다목장사업 = 464
6. 내수면어업 개발 = 466
제3절. 양식어업의 경쟁력 강화 = 468
1. 양식어장의 면허제도 개선 = 468
2. 어장 정비 및 친환경 양식장 기반 확충 = 470
3. 양식기술의 개발 및 보급 = 472
제4절. 한·일 및 한·중 어업협정 이행 = 475
1. 동북아 수역 어업질서 재편 = 475
2. 한·일 어업협정 = 475
3. 한·중 어업협정 = 477
제5절. 해외어장 개발과 원양어업 육성 = 480
1. 해외어장개발 = 480
2. 우리나라의 원양어업 조업 현황 = 480
3. 지속 가능한 원양어업 기반조성 = 483
제6절. 수산분야 국제환경변화에 대응 = 485
1. 국제 수산기구와의 협력 = 485
2. 연안국과의 협력 = 487
3. 수산물 통상협상 대응 = 489
제7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492
제8장. 해사안전 = 497
제1절. 해사안전 여건변화 = 497
제2절. 선진화된 해사안전관리 체제 구축 = 499
1. 해양사고 예방 및 감소를 위한 다각적 종합대책 추진 = 499
2. 해사안전제도 개선을 통한 해사안전 기반 구축 = 505
3. 항만국통제 및 국적선 안전관리 내실화 추진 = 509
제3절. 선박안전기술 선진화 = 514
1. 국제협약 기준에 적합한 선박시설 안전기준 강화 = 514
2. 선박검사 품질 향상을 위한 안전기반 강화 = 520
3. 해양생태계 보존을 위한 선박 기인 환경오염방지 추진 = 523
4. 수출입 위험화물 운송 안전관리 역량 강화 = 528
제4절. 첨단 해양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= 531
1. 해양안전종합정보센터 운영을 위한 IT 인프라 구축 = 531
2. 해양재난 및 대테러 대응능력 제고 = 539
3. 해상교통관제(VTS) 운영 선진화 체제 구축 = 542
제5절. 해양교통안전시설의 선진화 = 548
1. 해양교통안전시설 인프라 확충 = 548
2. 해양교통시설 분야의 국제협력 강화 = 553
3. 바다의 Blue Highway 구축 전략 마련 = 555
4. 해양문화 공간조성을 통한 신해양문화 조성 = 556
제6절. 국제해사정책 주도 및 국제협력 강화 = 561
1. 국제해사정책 분야 주도역량 강화 = 561
2. 개발도상국 지원 및 국제기술협력사업 활동 강화 = 567
3. 유류오염손해배상체계의 재정립 = 570
4. 해적퇴치 국제공조활동 강화 = 571
제7절. 해양안전기술개발사업 확대 = 573
1. 해양안전기술개발 = 573
2. 해상교통기반시설 기술개발 = 580
제8절. 향후전망 및 정책과제 = 584
제9장. 해양수산 정보화 = 589
제1절. 해양수산 정보화 여건 변화 = 589
제2절. 해양수산분야 정보화 추진 현황 = 592
1. 정보화 추진 목표 및 방향 = 592
2. 해운·항만 물류분야 정보화 추진 현황 = 595
제3절. 향후 전망 및 정책과제 = 612
1. IT 제품 및 서비스 녹색화 = 614
2. 저탄소 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정보화 사업 추진 = 615
3. 그린 IT 산업육성 = 615
4. 그린 IT 활성화 기반조성 = 616
참고문헌 = 61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