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0.7-4
- 청구기호
- 520.7 농239ㅇ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
- 서명/저자
- 어장환경 실태조사 : 2차(2009) 보고서 /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 ; 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- 발행사항
- [과천] : 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, 2010
- 형태사항
- xxxⅱ, 443 p. : 삽도 ; 전자파일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연구책임자: 이원찬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주기사항
- 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0538-01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435-443
- 기타저자
- 이원찬
- 기타저자
- 국립수산과학원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6928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438 | EB : 520.7 농239ㅇ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0915s2010 ggk d a korIA
056 ▼a520.7▼24
090 ▼a520.7▼b농239ㅇ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자원환경과
24510▼a어장환경 실태조사▼b2차(2009) 보고서▼d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▼e국립수산과학원 [공편]
260 ▼a[과천]▼b농림수산식품부 자원환경과▼c2010
300 ▼axxxⅱ, 443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00▼a연구책임자: 이원찬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010▼a발간등록번호 : 11-1541000-000538-01
504 ▼a참고문헌 : p.435-443
7001 ▼a이원찬
710 ▼a국립수산과학원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438
9501 ▼a비매품
제1장 서론 = 1
1.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= 3
1.2 과업의 목적 = 3
1.3 과업의 범위 = 4
1.3.1 시간적 범위 = 4
1.3.2 공간적 범위 = 4
1.3.3 내용적 범위 = 4
1.4 과업의 수행체계 = 5
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= 7
2.1 조사항목 및 대상해역 = 9
2.1.1 조사항목 = 9
2.1.2 대상해역 및 조사지점 = 10
2.2 하천부하량 = 12
2.2.1 하천조사 지점 = 12
2.2.2 하천조사 내용 = 15
2.3 수질환경 = 15
2.3.1 채수 및 현장관측 = 15
2.3.2 부유물질(SS) 및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= 15
2.3.3 영양염류(Nutrients) = 16
2.3.4 총 유기탄소(TOC) = 16
2.3.5 식물플랑크톤 색소 = 16
2.4 퇴적물환경 = 16
2.4.1 임도 = 16
2.4.2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및 강열감량(IL) = 17
2.4.3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17
2.4.4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(TOC & TN) = 17
2.4.5 산소소비속도(SOD) 및 영양염 용출량 = 17
2.4.6 입자물질 침강량 = 17
2.5 저서동물 = 18
2.6 조간대 유기물 분해능력 = 20
2.6.1 조사지역 및 현장조사 = 20
2.6.2 퇴적물과 공극수의 지화학적 성분 = 21
2.6.3 퇴적물 산소요구량 및 탈질소화율 = 22
2.6.4 CO₂증가율 및 황산염 환원력 = 24
2.7 미량금속 = 24
2.7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석 = 24
2.7.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5
2.7.3 해양생물 내 미량금속 분석 = 26
2.8 먹이물질 = 27
2.8.1 기초생산력 = 27
2.8.2 입자(유기)물질, 입자유기원소 및 생화학조성 = 28
2.8.3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= 29
2.8.4 안정동위원소 = 30
2.9 양식생물 생태 = 31
2.9.1 생물별 생태조사 = 31
2.9.2 어장별 생태조사 = 33
2.10 양식생물 생리 = 39
2.10.1 굴, 새꼬막 생리조사 = 39
2.10.2 담치 생리조사 = 40
제3장 고성·자란만 어장환경 실태 = 43
3.1 하천부하량 = 45
3.1.1 하천유량 = 45
3.1.2 유입물질 농도 = 45
3.1.3 COD 부하량 = 46
3.1.4 TN 부하량 = 46
3.1.5 TP 부하량 = 47
3.2 수질환경 = 48
3.2.1 수온 및 염분 = 48
3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53
3.2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61
3.2.4 영양염 = 66
3.3 퇴적물환경 = 71
3.3.1 입도 = 71
3.3.2 유기물항목 = 73
3.3.3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77
3.3.4 침강·용출량 = 79
3.4 저서동물 = 81
3.4.1 출현 종 수 = 81
3.4.2 다모류군집의 밀도 = 82
3.4.3 생태학적 지수 = 83
3.4.4 우점종 = 85
3.4.5 유사도 분석 = 89
3.5 미량금속 = 90
3.5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90
3.5.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92
3.5.3 해양생물 = 93
3.6 먹이물질 = 94
3.6.1 기초생산력 = 94
3.6.2 이화학적 특성 = 94
3.6.3 생화학적 조성 = 96
3.6.4 광합성색소 = 97
3.6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99
3.7 양식생물 생태 = 100
3.7.1 참굴의 성장 = 100
3.7.2 참굴의 비만도 = 102
3.7.3 참굴의 생화학조성 = 103
3.7.4 참굴의 생존율 = 106
3.7.5 참굴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08
제4장 가막만 어장환경 실태 = 107
4.1 하천부하량 = 109
4.1.1 하천유량 = 109
4.1.2 부유물질(SS) = 110
4.1.3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= 111
4.1.4 용존무기질소(DIN) = 112
4.1.5 용존무기질소(DIP) = 113
4.1.6 총질소(TN) = 114
4.1.7 총인(TP) = 115
4.1.8 총유기탄소(TOC) = 116
4.2 수질환경 = 117
4.2.1 수온, PH 및 염분 = 117
4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117
4.2.3 유기물함량 = 126
4.2.4 영양염 = 126
4.3 퇴적물환경 = 138
4.3..1 입도 = 138
4.3.2 유기물항목 = 140
4.3.3 산 휘발성 황화물 = 146
4.3.4 침강·용출량 = 148
4.4 저서동물 = 151
4.4.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= 151
4.4.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= 154
4.4.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= 158
4.4.4 생태지수 분석 = 160
4.4.5 군집 분석 = 164
4.5 미량금속 = 166
4.5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166
4.5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167
4.6 먹이물질 = 168
4.6.1 기초생산력 = 168
4.6.2 이화학적 특성 = 169
4.6.3 생화학적 조성 = 170
4.6.4 광합성색소 = 171
4.6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172
4.7 양식생물 생태 = 173
4.7.1 담치의 성장 = 173
4.7.2 담치의 비만도 = 175
4.7.3 담치의 생화학조성 = 175
4.7.4 담치의 성비 = 177
4.7.5 담치의 생존율 = 177
4.7.6 담치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78
4.7.7 굴의 성장 = 179
4.7.8 굴의 비만도 = 181
4.7.9 굴의 생화학조성 = 182
4.7.10 굴의 성비 = 183
4.7.11 굴의 생존율 = 183
4.7.12 굴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84
4.8 양식생물 생리 = 185
4.8.1 담치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185
4.8.2 담치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186
4.8.3 담치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187
4.8.4 굴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190
4.8.5 굴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191
4.8.6 굴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191
제5장 여자만 어장환경 실태 = 193
5.1 하천부하량 = 195
5.1.1 하천유량 = 195
5.1.2 유입물질 농도 = 195
5.1.3 COD 부하량 = 196
5.1.4 TN 부하량 = 196
5.1.5 TP 부하량 = 197
5.2 수질환경 = 198
5.2.1 수온 및 염분 = 198
5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203
5.2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211
5.2.4 영양염 = 216
5.3 퇴적물환경 = 221
5.3.1 입도 = 221
5.3.2 유기물항목 = 223
5.3.3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227
5.3.4 침강·용출량 조사 = 229
5.4 저서동물 = 231
5.4.1 출현 종 수 = 231
5.4.2 다모류군집의 밀도 - 232
5.4.3 생태학적 지수 = 233
5.4.4 우점종 = 235
5.4.5 유사도 분석 = 241
5.5 조간대 유기물 분해능력 = 242
5.5.1 환경요인 및 공극수의 지화학적 성분 = 242
5.5.2 퇴적물 산소요구량 및 탈질소화율 = 248
5.5.3 CO₂증가율 및 황산염 환원력 측정 = 256
5.5.4 순천만갯벌 유기물 제거량 추정 = 259
5.6 미량금속 = 261
5.6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261
5.6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63
5.6.3 해양생물 = 263
5.7 먹이물질 = 264
5.7.1 기초생산력 = 264
5.7.2 이화학적 특성 = 264
5.7.3 생화학적 조성 = 266
5.7.4 광합성색소 = 266
5.7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67
5.8 양식생물 생태 = 268
5.8.1 새꼬막의 성장 = 268
5.8.2 새꼬막의 비만도 = 269
5.8.3 새꼬막의 생화학조성 = 270
5.8.4 새꼬막의 성비 = 271
5.8.5 새꼬막의 생존율 = 271
5.8.6 새꼬막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272
5.9 양식생물 생리 = 273
5.9.1 새꼬막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273
5.9.2 새꼬막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275
5.9.3 새꼬막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275
제6장 마산만 어장환경 실태 = 277
6.1 수질환경 = 279
6.1.1 수온 및 염분 = 279
6.1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279
6.1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281
6.1.4 영양염 = 282
6.2 퇴적물환경 = 282
6.2.1 유기물항목 = 282
6.2.2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283
6.3 저서동물 = 283
6.3.1 출현 종 수 = 283
6.3.2 다모류군집의 밀도 = 284
6.3.3 생태학적 지수 = 285
6.3.4 우점종 = 286
6.3.5 유사도 분석 = 286
6.4 미량금속 = 287
6.4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287
6.4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87
6.4.3 해양생물 = 288
6.5 먹이물질 = 289
6.5.1 기초생산력 = 289
6.5.2 이화학적 특성 = 289
6.5.3 생화학적 조성 = 290
6.5.4 광합성색소 = 291
6.5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92
6.6 양식생물 생태 = 292
6.6.1 담치의 성장 = 292
6.6.2 담치의 비만도 및 생존율 = 293
6.6.3 담치의 생화학조성 = 294
6.6.4 담치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296
6.7 양식생물 생리 = 296
6.7.1 담치의 여수율 = 296
6.7.2 담치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297
제7장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작성 및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= 299
7.1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수립방안 = 301
7.1.1 필요성 = 301
7.1.2 목적 및 기본방향 = 301
7.1.3 가이드라인 수립 방법 = 301
7.1.4 국외사례 = 304
7.1.5 국내사례 = 310
7.1.6 사례의 시사점 = 312
7.1.7 전문가 설문조사 = 314
7.1.8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= 323
7.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= 329
7.2.1 검토자료 = 329
7.2.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도출과정 = 330
7.2.3 마산시 = 331
7.2.4 고성군 = 336
7.2.5 통영시 = 337
7.2.6 거제시 = 342
7.3 어장관리해역 지정절차 및 관리방안 = 348
7.3.1 어장관리해역 지정절차 = 348
7.3.2 어장관리해역 관리방안 = 349
제8장 부록 = 353
8.1 고성·자란만 관측결과 = 355
8.2 가막만 관측결과 = 376
8.3 여자만 관측결과 = 397
8.4 마산만 관측결과 = 422
8.5 설문조사지 = 425
8.6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= 430
8.7 참고문헌 = 435
1.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= 3
1.2 과업의 목적 = 3
1.3 과업의 범위 = 4
1.3.1 시간적 범위 = 4
1.3.2 공간적 범위 = 4
1.3.3 내용적 범위 = 4
1.4 과업의 수행체계 = 5
제2장 연구내용 및 방법 = 7
2.1 조사항목 및 대상해역 = 9
2.1.1 조사항목 = 9
2.1.2 대상해역 및 조사지점 = 10
2.2 하천부하량 = 12
2.2.1 하천조사 지점 = 12
2.2.2 하천조사 내용 = 15
2.3 수질환경 = 15
2.3.1 채수 및 현장관측 = 15
2.3.2 부유물질(SS) 및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= 15
2.3.3 영양염류(Nutrients) = 16
2.3.4 총 유기탄소(TOC) = 16
2.3.5 식물플랑크톤 색소 = 16
2.4 퇴적물환경 = 16
2.4.1 임도 = 16
2.4.2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및 강열감량(IL) = 17
2.4.3 산 휘발성 황화물(AVS) = 17
2.4.4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(TOC & TN) = 17
2.4.5 산소소비속도(SOD) 및 영양염 용출량 = 17
2.4.6 입자물질 침강량 = 17
2.5 저서동물 = 18
2.6 조간대 유기물 분해능력 = 20
2.6.1 조사지역 및 현장조사 = 20
2.6.2 퇴적물과 공극수의 지화학적 성분 = 21
2.6.3 퇴적물 산소요구량 및 탈질소화율 = 22
2.6.4 CO₂증가율 및 황산염 환원력 = 24
2.7 미량금속 = 24
2.7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분석 = 24
2.7.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5
2.7.3 해양생물 내 미량금속 분석 = 26
2.8 먹이물질 = 27
2.8.1 기초생산력 = 27
2.8.2 입자(유기)물질, 입자유기원소 및 생화학조성 = 28
2.8.3 HPLC를 이용한 광합성색소 = 29
2.8.4 안정동위원소 = 30
2.9 양식생물 생태 = 31
2.9.1 생물별 생태조사 = 31
2.9.2 어장별 생태조사 = 33
2.10 양식생물 생리 = 39
2.10.1 굴, 새꼬막 생리조사 = 39
2.10.2 담치 생리조사 = 40
제3장 고성·자란만 어장환경 실태 = 43
3.1 하천부하량 = 45
3.1.1 하천유량 = 45
3.1.2 유입물질 농도 = 45
3.1.3 COD 부하량 = 46
3.1.4 TN 부하량 = 46
3.1.5 TP 부하량 = 47
3.2 수질환경 = 48
3.2.1 수온 및 염분 = 48
3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53
3.2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61
3.2.4 영양염 = 66
3.3 퇴적물환경 = 71
3.3.1 입도 = 71
3.3.2 유기물항목 = 73
3.3.3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77
3.3.4 침강·용출량 = 79
3.4 저서동물 = 81
3.4.1 출현 종 수 = 81
3.4.2 다모류군집의 밀도 = 82
3.4.3 생태학적 지수 = 83
3.4.4 우점종 = 85
3.4.5 유사도 분석 = 89
3.5 미량금속 = 90
3.5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90
3.5.2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92
3.5.3 해양생물 = 93
3.6 먹이물질 = 94
3.6.1 기초생산력 = 94
3.6.2 이화학적 특성 = 94
3.6.3 생화학적 조성 = 96
3.6.4 광합성색소 = 97
3.6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99
3.7 양식생물 생태 = 100
3.7.1 참굴의 성장 = 100
3.7.2 참굴의 비만도 = 102
3.7.3 참굴의 생화학조성 = 103
3.7.4 참굴의 생존율 = 106
3.7.5 참굴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08
제4장 가막만 어장환경 실태 = 107
4.1 하천부하량 = 109
4.1.1 하천유량 = 109
4.1.2 부유물질(SS) = 110
4.1.3 화학적산소요구량(COD) = 111
4.1.4 용존무기질소(DIN) = 112
4.1.5 용존무기질소(DIP) = 113
4.1.6 총질소(TN) = 114
4.1.7 총인(TP) = 115
4.1.8 총유기탄소(TOC) = 116
4.2 수질환경 = 117
4.2.1 수온, PH 및 염분 = 117
4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117
4.2.3 유기물함량 = 126
4.2.4 영양염 = 126
4.3 퇴적물환경 = 138
4.3..1 입도 = 138
4.3.2 유기물항목 = 140
4.3.3 산 휘발성 황화물 = 146
4.3.4 침강·용출량 = 148
4.4 저서동물 = 151
4.4.1 대형저서동물군집 현황 = 151
4.4.2 저서다모류군집 현황 = 154
4.4.3 우점 저서다모류 현황 및 분포 = 158
4.4.4 생태지수 분석 = 160
4.4.5 군집 분석 = 164
4.5 미량금속 = 166
4.5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166
4.5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167
4.6 먹이물질 = 168
4.6.1 기초생산력 = 168
4.6.2 이화학적 특성 = 169
4.6.3 생화학적 조성 = 170
4.6.4 광합성색소 = 171
4.6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172
4.7 양식생물 생태 = 173
4.7.1 담치의 성장 = 173
4.7.2 담치의 비만도 = 175
4.7.3 담치의 생화학조성 = 175
4.7.4 담치의 성비 = 177
4.7.5 담치의 생존율 = 177
4.7.6 담치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78
4.7.7 굴의 성장 = 179
4.7.8 굴의 비만도 = 181
4.7.9 굴의 생화학조성 = 182
4.7.10 굴의 성비 = 183
4.7.11 굴의 생존율 = 183
4.7.12 굴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184
4.8 양식생물 생리 = 185
4.8.1 담치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185
4.8.2 담치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186
4.8.3 담치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187
4.8.4 굴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190
4.8.5 굴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191
4.8.6 굴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191
제5장 여자만 어장환경 실태 = 193
5.1 하천부하량 = 195
5.1.1 하천유량 = 195
5.1.2 유입물질 농도 = 195
5.1.3 COD 부하량 = 196
5.1.4 TN 부하량 = 196
5.1.5 TP 부하량 = 197
5.2 수질환경 = 198
5.2.1 수온 및 염분 = 198
5.2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203
5.2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211
5.2.4 영양염 = 216
5.3 퇴적물환경 = 221
5.3.1 입도 = 221
5.3.2 유기물항목 = 223
5.3.3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227
5.3.4 침강·용출량 조사 = 229
5.4 저서동물 = 231
5.4.1 출현 종 수 = 231
5.4.2 다모류군집의 밀도 - 232
5.4.3 생태학적 지수 = 233
5.4.4 우점종 = 235
5.4.5 유사도 분석 = 241
5.5 조간대 유기물 분해능력 = 242
5.5.1 환경요인 및 공극수의 지화학적 성분 = 242
5.5.2 퇴적물 산소요구량 및 탈질소화율 = 248
5.5.3 CO₂증가율 및 황산염 환원력 측정 = 256
5.5.4 순천만갯벌 유기물 제거량 추정 = 259
5.6 미량금속 = 261
5.6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261
5.6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63
5.6.3 해양생물 = 263
5.7 먹이물질 = 264
5.7.1 기초생산력 = 264
5.7.2 이화학적 특성 = 264
5.7.3 생화학적 조성 = 266
5.7.4 광합성색소 = 266
5.7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67
5.8 양식생물 생태 = 268
5.8.1 새꼬막의 성장 = 268
5.8.2 새꼬막의 비만도 = 269
5.8.3 새꼬막의 생화학조성 = 270
5.8.4 새꼬막의 성비 = 271
5.8.5 새꼬막의 생존율 = 271
5.8.6 새꼬막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272
5.9 양식생물 생리 = 273
5.9.1 새꼬막의 호흡율, 배설율 및 여수율 = 273
5.9.2 새꼬막의 동화효율 및 O/N 원자비 = 275
5.9.3 새꼬막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275
제6장 마산만 어장환경 실태 = 277
6.1 수질환경 = 279
6.1.1 수온 및 염분 = 279
6.1.2 용존산소, 화학적산소요구량 및 식물플랑크톤 농도 = 279
6.1.3 부유입자물질 및 유기물함량 = 281
6.1.4 영양염 = 282
6.2 퇴적물환경 = 282
6.2.1 유기물항목 = 282
6.2.2 산 휘발성 황화물 및 식물 색소 = 283
6.3 저서동물 = 283
6.3.1 출현 종 수 = 283
6.3.2 다모류군집의 밀도 = 284
6.3.3 생태학적 지수 = 285
6.3.4 우점종 = 286
6.3.5 유사도 분석 = 286
6.4 미량금속 = 287
6.4.1 표층 퇴적물의 미량금속 = 287
6.4.2 표층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오염평가 = 287
6.4.3 해양생물 = 288
6.5 먹이물질 = 289
6.5.1 기초생산력 = 289
6.5.2 이화학적 특성 = 289
6.5.3 생화학적 조성 = 290
6.5.4 광합성색소 = 291
6.5.5 입자유기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= 292
6.6 양식생물 생태 = 292
6.6.1 담치의 성장 = 292
6.6.2 담치의 비만도 및 생존율 = 293
6.6.3 담치의 생화학조성 = 294
6.6.4 담치의 생식소 발달 지수 = 296
6.7 양식생물 생리 = 296
6.7.1 담치의 여수율 = 296
6.7.2 담치의 에너지 수지(SFG, Scope For Growth) = 297
제7장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작성 및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= 299
7.1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수립방안 = 301
7.1.1 필요성 = 301
7.1.2 목적 및 기본방향 = 301
7.1.3 가이드라인 수립 방법 = 301
7.1.4 국외사례 = 304
7.1.5 국내사례 = 310
7.1.6 사례의 시사점 = 312
7.1.7 전문가 설문조사 = 314
7.1.8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= 323
7.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선정 = 329
7.2.1 검토자료 = 329
7.2.2 어장관리해역 후보지 도출과정 = 330
7.2.3 마산시 = 331
7.2.4 고성군 = 336
7.2.5 통영시 = 337
7.2.6 거제시 = 342
7.3 어장관리해역 지정절차 및 관리방안 = 348
7.3.1 어장관리해역 지정절차 = 348
7.3.2 어장관리해역 관리방안 = 349
제8장 부록 = 353
8.1 고성·자란만 관측결과 = 355
8.2 가막만 관측결과 = 376
8.3 여자만 관측결과 = 397
8.4 마산만 관측결과 = 422
8.5 설문조사지 = 425
8.6 어장관리해역 지정 가이드라인 = 430
8.7 참고문헌 = 43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