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정보

HOME > 상세정보

수산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/ 농림수산식품부 수산개발과 ; 부경대학교 [공편]
  • 국적:한국
자료유형
전자자료
KDC
520.7-4
청구기호
520.7 농239ㅅ
단체저자
농림수산식품부 수산개발과
서명/저자
수산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/ 농림수산식품부 수산개발과 ; 부경대학교 [공편]
발행사항
[부산] : 부경대학교, 2009
형태사항
323 p. : 삽도 ; 전자자료
총서명
최종연구보고서
주기사항
연구책임자 : 김삼곤
주기사항
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주기사항
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서지주기
참고문헌 : p.321-323
기타저자
김삼곤
기타저자
부경대학교
기타저자
농림부
기타저자
농수산부
기타저자
농림수산부
기타저자
농림축산식품부
원문 보기
원문정보보기
가격
비매품
Control Number
maf:26846

소장정보

 
소장자료
서가번호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
EB01593 EB :  520.7 농239ㅅ  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대출불가    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신규검색 간략정보이동 상세정보출력 마크정보

 008100818s2009    bnk        GO    a  korIA
 056  ▼a520.7▼24
 090  ▼a520.7▼b농239ㅅ
 110  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수산개발과
 24500▼a수산전문인력 양성방안 연구▼d농림수산식품부 수산개발과▼e부경대학교 [공편]
 260  ▼a[부산]▼b부경대학교▼c2009
 300  ▼a323 p.▼b삽도▼c전자자료
 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 50000▼a연구책임자 : 김삼곤
 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 열람가능
 50010▼a책자는 해양수산부 자료실로 이관한 자료임
 504  ▼a참고문헌 : p.321-323
 7001 ▼a김삼곤
 710  ▼a부경대학교
 710  ▼a농림부
 710  ▼a농수산부
 710  ▼a농림수산부
 710  ▼a농림축산식품부
 856  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593
 9501 ▼a비매품
목차정보보기
제1장  서론 = 1
 1. 연구의 목적과 필요성 = 1
 2. 연구내용 및 방법, 추진체계 = 8

제2장  수산전문인력 양성추이 = 11
 제1절  수산·해운계 대학의 수산전문인력 양성 = 11
  1. 교육과정과 진로특성 = 11
  2. 수산계 대학별 입학생 현황 = 46
  3. 졸업생 추이 = 50
  4. 수산·해운대 대학교 재학생의 취업 선호도 = 54
  5. 대학별 졸업생 취업현황 = 60
 제2절  수산·해운계 고등학교 인력양성 추이 = 62
  1. 수산·해운계 고등학교 입학생 현황 = 62
  2. 고등학교별 졸업생 현황 = 62
  3. 고등학교별 진학현황 = 65
  4. 수산·해운계 고등학교 재학생의 취업 선호도 조사 = 66
  5. 고등학교별 취업현황 = 72
 제3절  사회교육기관에 의한 수산업 인력 양성추이 = 79
  1. 수산인력개발원의 수산인교육 = 79
  2. 수산사무소의 수산분야 직업재교육 = 81
  3. 대학의 수산최고경영자과정 = 94
  4. 한국수산벤처대학에 의한 직업교육 = 98
  5. 한국해양수산연수원 = 100
  6. 수협연수원 = 103
 제4절  수산전문인력의 공급 전망 = 104
  1. 개요 = 104
  2. 수산계 고등학교에 의한 수산전문인력의 공급 전망 = 105
  3. 수산계 대학에 의한 수산전문인력의 공급 전망 = 106
  4. 사회교육기관에 의한 수산전문인력의 공급 = 107
  5. 수산전문인력 수급전망 = 108

제3장  수산전문인력의 수요 추이 = 109
 제1절  분야별 인력수요 추정에 관한 선행연구 = 109
  1. 어선원의 수요요인을 고려한 수요전망 = 109
  2. 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 어업인력 수요전망 = 116
  3. 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 수산분야 산업인력 수요전망 = 122
  4. 농업 전문인력 수요 추정방법 = 125
 제2절  어업종사자 수의 변화 = 128
  1. 최근 40년간 어업종사자 수의 변화 = 128
  2. 연령별 어업종사자 수의 변화 = 130
  3. 최근 10년간 어업종사자 수의 변화 = 132
 제3절  분야별 어업종사자수의 변화 = 133
  1. 어선어업 종사자수(명) = 133
  2. 양식어업 종사자수의 변화 = 134
 제4절  수산업 종사자수의 추정 = 139
  1. 수산업 인력의 추정 = 139
  2. 수요인력 예측의 제한점 = 142

제4장  수산업 경영이양 실태 분석 = 145
 제1절  국내 경영이양 실태 조사·분석 = 145
  1. 수산전문인력 육성 및 경영이양을 위한 제도 = 145
  2. 국내 수산업 경영이양 실태 설문 분석 = 155
 제2절  해외의 경영이양 사례 조사 분석 = 187
  1. 해외 경영이양제도 사례 = 187
  2. 해외 전문인력 양성체제 및 교육내용 = 190

제5장  수산전문인력 양성을 위한 방안 = 204
 제1절  한국농업대학 수산학과 설치(안) = 204
  1. 설치 배경과 목적 및 근거 = 204
  2. 학과의 운영 = 204
  3. 전공의 구분 = 206
  4. 교육과정의 편성 기준 = 207
  5. 교육과정의 편성 = 208
  6. 교육과정의 해설 = 212
 제2절  수산계 고등학교 혁신 방안 = 231
  1. 수산계 고등학교 국립화 추진 = 231
  2. 맞춤형 수산계 고등학교 특성화 사업 추진 방안 = 235
  3. 수산계 고등학교의 중장기 발전방향 = 246
  4. 마이스터고 도입 방안 = 252
 제3절  수산계 대학교육 특화 방안 = 262
  1. 수산계 대학의 변화 필요성 = 262
  2. 수산계 대학의 환경요인 = 263
  3. 대학교육에 의한 전문인력 양성의 문제 = 265
  4. 수산계 대학의 수산업분야 전문인력 양성을 위한 방안 = 266
 제4절  수산분야 직업재교육에 관한 개선방안 = 268
  1. 수산분야 직업 재교육의 실태 = 268
  2. 농업분야의 직업재교육 = 269
  3. 수산직업재교육의 평가 및 개선방안 = 279
제5절  어업 경영이양 촉진 방안 = 282
  1. 수산업에 대한 인식 전환 = 282
  2. 경영이양 촉진을 위한 세부 정책 마련 = 287
 제6절  기존 인력육성시책 보완 방안 = 290
   1. 수산업인턴제 및 창업어가후견인제 = 290
   2. 한국농수산대학 출신자의 지원방안 = 297
   3. 신규인력의 진입을 위한 제도 개선 = 300

제6장  수산전문인력 양성을 위한 중장기 추진과제 = 302
 제1절  서설 = 302
 제2절  단기추진과제 = 303
  1. 수산업 인력의 신규 진입을 유도하기 위한 제도개선 = 303
  2. 수산업 인력의 양성 체제 정비 = 306
  3. 수요자 중심의 수산업 교육훈련 강화 = 309
  4. 수산계 고등학교 국립화 추진 = 310
 제3절  장기추진과제 = 311
  1. 수산직업교육원의 설립·운영 = 311
  2. 수산업관련 직업분류에 의한 인적자원개발 체제 구축 = 315

참고문헌 = 3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