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9353 | 522.1 박64ㅎ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100813s2009 ulk 000c kor
020 ▼a9788932213217▼g94320▼c\10000
056 ▼a522.1▼24
090 ▼a522.1▼b박64ㅎ
1001 ▼a박영호
24510▼a한국의 대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 방향▼d박영호▼e정지선▼d허윤선 [공]저
260 ▼a서울▼bKIEP▼c2009
300 ▼a256 p.▼c24cm.
49000▼a연구보고서▼v09-22
504 ▼a참고문헌 : p.241-247
653 ▼a한국▼a대아프리카▼a농촌개발협력
7001 ▼a정지선
7001 ▼a허윤선
830 0▼a연구보고서(대외경제정책연구원)▼v09-22
9500 ▼b\10000
서언 = 5
국문요약 = 7
제1장 머리말 = 23
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= 24
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범위 = 28
3 연구의 의의와 한계 = 33
제2장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사회의 특징 = 37
1 아프리카 농업, 농촌 개발의 의미 = 38
2 아프리카 농업 현황 및 특징 = 42
가. 농업 개황 = 42
나. 영농체계(Farming System) = 49
다. 농업개발 정책 = 55
3 아프리카 농촌사회의 특징 = 61
가. 부족 중심의 소규모 마을 형성 = 61
나. 공동체 토지소유제 = 64
다. 비체계적인 농업지원 조직 = 67
라. 마을공동체 단위의 사회적 자본(Social Capital) 축척 = 70
4 아프리카 농업 저개발의 원인 = 72
가. 자연환경적 요인 = 74
나. 경제·산업적 요인 = 77
다. 금융자본(financial capital) 요인 = 80
라. 인적 자본(Human Capital) 부재 = 83
마. 사회적 자본(Social Capital) 부재 = 85
바. 대외적 요인 = 88
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협력 = 91
1 시대별 아프리카 농촌개발 접근방식 = 94
가. 1950년대: 지역개발 = 94
나. 1960~70년대: 농촌종합개발 = 95
다. 1980~90년대: 주민참여형 개발 = 96
라. 2000년대: PRSP와 MDGs = 99
2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정책 및 현황 = 102
가. 영국 = 102
나. 일본 = 110
다. 미국 = 118
라. 비교 평가 및 시사점 = 125
3.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프로젝트: MVP 사례 = 129
가. MVP 개요 = 129
나. MVP 추진 체계 및 사업 내용 = 132
제4장 한국의 농업, 농촌개발 경험 및 아프리카 지원 현황 = 143
1 한국의 농업, 농촌개발 경험 = 144
가. 농지개혁을 통한 농업기반 정비 = 145
나. 식량문제 해결 = 147
다. 농촌지역 개발 = 149
라. 농외소득과 농촌공업화 = 151
2 농업협력사업의 유망 분야 = 153
가. 품종 육종 기술 = 156
나. 농업생산 기술 = 156
다. 농업정책 = 158
3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지원 현황 = 161
가. 한국의 아프리카 원조 = 161
나.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원조 = 164
다. 평가 = 169
제5장 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= 173
1. 분석내용 요약 및 향후 정책방향 = 174
2 농촌개발:새마을 운동 경험 전수 = 178
가. 농촌개발협력 수단으로서의 새마을운동: 전수 의의 = 179
나.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및 전제조건 = 185
다. 새마을 운동 전수 접근방식 = 194
3 농업개발:농업생산기술 및 농업 인프라 지원 = 206
가.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향 = 206
나. 농업생산기술 전수 = 221
다.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= 227
제6장 맺음말 = 233
참고문헌 = 241
Executive Summary = 249
국문요약 = 7
제1장 머리말 = 23
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= 24
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범위 = 28
3 연구의 의의와 한계 = 33
제2장 아프리카 농업 및 농촌사회의 특징 = 37
1 아프리카 농업, 농촌 개발의 의미 = 38
2 아프리카 농업 현황 및 특징 = 42
가. 농업 개황 = 42
나. 영농체계(Farming System) = 49
다. 농업개발 정책 = 55
3 아프리카 농촌사회의 특징 = 61
가. 부족 중심의 소규모 마을 형성 = 61
나. 공동체 토지소유제 = 64
다. 비체계적인 농업지원 조직 = 67
라. 마을공동체 단위의 사회적 자본(Social Capital) 축척 = 70
4 아프리카 농업 저개발의 원인 = 72
가. 자연환경적 요인 = 74
나. 경제·산업적 요인 = 77
다. 금융자본(financial capital) 요인 = 80
라. 인적 자본(Human Capital) 부재 = 83
마. 사회적 자본(Social Capital) 부재 = 85
바. 대외적 요인 = 88
제3장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협력 = 91
1 시대별 아프리카 농촌개발 접근방식 = 94
가. 1950년대: 지역개발 = 94
나. 1960~70년대: 농촌종합개발 = 95
다. 1980~90년대: 주민참여형 개발 = 96
라. 2000년대: PRSP와 MDGs = 99
2 주요 공여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정책 및 현황 = 102
가. 영국 = 102
나. 일본 = 110
다. 미국 = 118
라. 비교 평가 및 시사점 = 125
3. 국제사회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프로젝트: MVP 사례 = 129
가. MVP 개요 = 129
나. MVP 추진 체계 및 사업 내용 = 132
제4장 한국의 농업, 농촌개발 경험 및 아프리카 지원 현황 = 143
1 한국의 농업, 농촌개발 경험 = 144
가. 농지개혁을 통한 농업기반 정비 = 145
나. 식량문제 해결 = 147
다. 농촌지역 개발 = 149
라. 농외소득과 농촌공업화 = 151
2 농업협력사업의 유망 분야 = 153
가. 품종 육종 기술 = 156
나. 농업생산 기술 = 156
다. 농업정책 = 158
3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지원 현황 = 161
가. 한국의 아프리카 원조 = 161
나. 한국의 아프리카 농촌개발 원조 = 164
다. 평가 = 169
제5장 아프리카 농촌개발협력의 중점추진 분야 = 173
1. 분석내용 요약 및 향후 정책방향 = 174
2 농촌개발:새마을 운동 경험 전수 = 178
가. 농촌개발협력 수단으로서의 새마을운동: 전수 의의 = 179
나. 새마을운동의 아프리카 적용 가능성 및 전제조건 = 185
다. 새마을 운동 전수 접근방식 = 194
3 농업개발:농업생산기술 및 농업 인프라 지원 = 206
가.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향 = 206
나. 농업생산기술 전수 = 221
다. 농업 인프라 구축 지원 = 227
제6장 맺음말 = 233
참고문헌 = 241
Executive Summary = 24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