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7336 | 808.1 이91ㅎ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90506s2008 ulk 001ap kor
020 ▼a9788996063841▼g03800▼c\20000
056 ▼a808.1▼24
090 ▼a808.1▼b이91ㅎ
1001 ▼a이하상
24510▼a한시와 낚시▼b낚시꾼이 새겨 본 낚시 漢詩▼d이하상 지음
260 ▼a서울▼b소와당▼c2008.
300 ▼a318 p.▼c22 cm.
504 ▼a색인수록
546 ▼a본문은 한국어, 중국어가 혼합수록됨
653 ▼a한시▼a낚시
9500 ▼b\20000
책을내면서 = 6
시를 낚는 어부 = 9
一 우리 낚시 시
서새산의 비바람 / 이인로 = 24
동정호의 가을 달 / 이인로 = 25
저물녘 눈 내리는 강가 / 이규보 = 28
낚시터의 눈 / 홍간 = 29
한양 시골집 / 한종유 = 30
낚시터에서 늦게까지 낚시를 / 이제현 = 31
서강 달밤에 배를 타고 / 이제현 = 32
강가에서 / 이색 = 33
가을 강가에서 우연히 생각나서 / 이색 = 35
각산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조준 = 36
시냇가에서 쉬다 / 권근 = 37
배에서 가랑비를 만나다 / 권근 = 38
남계에서 밤배 띄우고 / 송익필 = 39
비가 내리는데 / 유방선 = 40
심판각의 농막 시에 답하여 / 신숙주 = 41
가을 강에서 낚시하는 그림 / 서거정 = 42
남의 시에 화답하여 / 서거정 = 44
친구와 셋이서 낚시를 / 서거정 = 45
어부 / 성간 = 46
입석에서 낚시질 / 강희맹 = 49
도롱이 사오다 물 넘치는 것 보다 / 김시습 = 51
입석에서 낚시하다 / 성현 = 52
어부가 / 성현 = 54
귀래정 / 이굉 = 55
어옹 / 정수강 = 56
배 위에서 읊다 / 조위 = 57
앞강에서 낚시하고 / 김극성 = 58
환탄의 고기잡이 불 / 신광한 = 59
앞개울에서 낚시 / 소세양 = 60
낚시하는 물건(이것을 견지라 한다) / 정사룡 = 61
북쪽 물가에서 낚시질 / 기준 = 65
어부 / 송순 = 67
덕암에 있는 친구에게 / 김의정 = 68
소나무 못에 낚시 드리우고 / 임억령 = 69
미천장담에서 / 이황 = 70
강가에서 낚시하다 / 이황 = 71
눈을 맞으며 / 김인후 = 72
고기잡이 / 김인후 = 73
몽뢰정의 춘첩 / 정유길 = 75
버드나무 시내에서 낚시하다 / 양사언 = 76
어옹 / 기대승 = 77
새벽에 일어나 낚시하다 / 권호문 = 79
우연히 읊다 / 권문해 = 81
봉명정 아래서 운에 따라 / 백광훈 = 82
시냇가에서 달을 낚다 / 김성일 = 83
장지문 강설도에 쓴 시 / 김성일 = 84
어옹 / 이산해 = 85
강촌의 저녁 풍경 / 홍가신 = 86
친구에게 / 이우 = 87
어촌 / 유희경 = 89
봄바람 불 때 대를 베어 낚싯대 만들고 / 차천로 = 90
조은정의 시에 답하여 / 유몽인 = 91
동강의 배에서 향산을 생각하며 / 이춘영 = 92
어부사 / 이수광 = 93
어촌의 낙조 / 이수광 = 94
병풍 그림을 보고 짓다 / 이수광 = 95
이상백의 오휴정 / 성여학 = 97
홰나무 여울에서 낚시를 / 이정구 = 98
시골의 흥 / 신흠 = 99
어옹 / 이경전 = 100
남호(南湖)에서 낚시를 / 양경우 = 101
낚싯대를 받고서 / 정온 = 102
이끼 낀 물가에서 낚시 드리우고 / 김류 = 103
버드나무 물가에서 물고기를 보다 / 조찬한 = 104
친구의 시에 차운하여 읊다 / 김집 = 105
병풍의 사계절을 읊은 시 / 목대흠 = 106
친구에게서 낚싯대를 선물 받고 / 김육 = 107
찬 강 눈 내리는데 홀로 낚시하다 / 정홍명 = 108
돌다리에서 낚시를 / 이식 = 110
앞개울에서 낚시를 / 이식 = 111
남쪽 시내에서 고기 잡는 것을 보고 / 장유 = 112
산속에 살며 하는 일 / 신익성 = 113
비온 후 / 김세겸 = 114
웅연에 배 띄우고 / 허목 = 115
한가하게 살며 / 정두경 = 116
낚시질 / 강백년 = 117
거북바위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/ 권시 = 118
괴탄에서 낚시질 / 김득신 = 119
찬 강 눈 내리는데 홀로 낚시하다 / 홍우원 = 120
낚시질 / 조석윤 = 121
영춘 / 윤선거 = 122
갈대여울에서 낚시하다 / 이면하 = 123
대나무를 심고 / 홍위 = 126
천렵의 즐거움 / 이단하 = 127
찬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이단상 = 132
찬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남용익 = 133
돌아가려 하나 눈이 막혀 / 박세당 = 134
강에서 낚시꾼을 봤는데 / 김만중 = 135
농사짓고 낚시하며 / 임상원 = 136
강촌에서 / 조지겸 = 137
푸르고 아득한 노래 / 최석정 = 138
낚시질을 보며 / 김창협 = 139
병풍 그림을 읊은 시 / 김창흡 = 140
삼정어사에서 / 홍세태 = 141
독조한강설의 운을 따라 / 이현조 = 142
돌여울에서 낚시질 / 이만부 = 143
용바위에서 낚시 / 채팽윤 = 145
물고기 작살질하는 모습을 보며 / 신정하 = 146
낚시터에서 낚시 드리우고 / 이익 = 148
순채 핀 못에서 낚시하다 / 윤봉구 = 149
어디서 온 젊은이가 낚시를 하는데 / 심육 = 150
낚시의 노래 / 강재항 = 151
어부가를 듣고 / 조관빈 = 152
생각나는 대로 읊다 / 안정복 = 153
고청거사 남희안의 시에 차운하다 / 안정복 = 155
동계에서 낚시를 드리우다 / 정범조 = 156
낚싯대를 들고 / 홍양호 = 157
시내에서 낚시하다 / 홍양호 = 158
어부사 / 정종로 = 159
어옹을 읊다 / 김홍운 = 160
어옹 / 이덕무 = 161
어부사시사 / 김재찬 = 162
서천에서 낚시질 / 정조대왕 = 164
온정의 낙조 / 작자 미상 = 165
죽천의 고기잡이 피리소리 / 정약용 = 166
두미강의 얼음낚시 / 정약용 = 167
어부에게 / 이남규 = 173
낚시를 다녀오며 / 이승만 = 175
예당에서 밤에 낚시하다 / 이하상 = 176
二 중국 낚시 시
낚싯대 / 『시경(詩經)』 = 180
어부가 / 굴원 = 182
낚싯대 / 심약 = 184
낚시하는 것을 보며 / 음갱 = 185
시냇가의 노인 / 경운 = 186
어부가 / 이기 = 187
장오제에게 답함 / 왕유 = 189
어부가 / 고적 = 190
맑은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이백 = 191
낚시하는 물굽이 / 저광희 = 193
어부사 / 저광희 = 195
강가 / 상건 = 197
장명부의 시골집 앞을 지나며 / 유장경 = 198
친구가 은거한 곳에 편지한 셋째 구 / 유장경 = 199
어부 / 잠삼 = 200
어부가 / 장지화 = 202
동생 장지화의 어부가에 화답하여 / 장송령 = 207
난계의 뱃노래 / 대숙륜 = 209
봄 강에 홀로 낚시하다 / 대숙륜 = 210
강촌의 모습 / 사공서 = 212
홀로 낚시하다 / 한유 = 213
친구 후희에게 / 한유 = 214
밤에 찾은 어부의 집 / 장적 = 217
어린아이의 낚시질 / 호영능 = 218
봄노래에 화답하여 / 백거이 = 219
눈 내리는 강 / 유종원 = 221
어옹 / 유종원 = 222
조어의 시 / 이하 = 224
산을 내려오면서 / 노동 = 228
어부 / 두목 = 229
강촌에 묵으며 / 항사 = 230
임이 낚시하러 온다는 소식 듣고 / 어현기 = 231
시냇가의 흥 / 두순학 = 232
강에서 새벽을 읊음 / 왕정백 = 233
월강의 어부 / 임번 = 234
낚시질 / 이군옥 = 235
선자화상의 게송 / 덕성 = 236
어가자 / 이순 = 238
어부 / 이순 = 240
임금이 낚시로 고기를 못 잡음에 드리는 시 / 이가명 = 242
낚시를 해도 잡지를 못해 / 이순현 = 243
낚시 정자 / 화예부인 = 244
어부 / 화응 = 245
어부사 / 이욱 = 246
항주를 그리며 / 반랑 = 247
송강(松江) 다리에서 고기잡이를 바라보며 / 소순흠 = 248
성 밖 강가 / 소식 = 249
봄강의 저녁 경치 / 소식 = 250
완계사 / 소식 = 251
속마음을 하소연 / 황정견 = 252
호사근 / 주돈유 = 253
현진자의 그림에 제하여 / 장원천 = 256
어부사 / 조구 = 258
한암 낚시터에서 놀며 / 육유 = 260
작교선 / 육유 = 261
조대 / 대복고 = 262
어부사 / 왕심 = 263
금정 계곡의 구름 / 왕단계 = 265
어옹도 / 정거부 = 266
부부가 주고받은 어부사 / 관중희 ; 조맹부 = 267
구름 낀 산록의 고기잡이 배 그림 / 왕면 = 271
찬 강에 홀로 낚시하는 그림 / 당숙 = 273
가을 그림 / 동기창 = 274
어부의 집 / 손승종 = 275
반계의 노래 / 허중림 = 276
낚시에 걸려 든 것은 / 명대 민요 = 277
가을 강에 홀로 낚시하는 그림 / 왕사정 = 279
고기잡이 / 마박신 = 280
안개 낀 강의 낚싯배 / 건륭 = 281
三 우리 조시(釣詩)에 나타난 옛 낚시의 모습
1. 옛 글의 어부(漁父)는 어떤 사람인가? = 284
2. 낚싯대의 한문식 표현 = 289
3. 낚시를 한다는 행위의 표현 = 292
4. 낚시를 한다는 행위, 리조(理釣)의 사례 검토 = 296
5. 옛 우리 한시 중의 견지낚시 모습 = 308
시인 이름으로 찾아보기 = 316
시를 낚는 어부 = 9
一 우리 낚시 시
서새산의 비바람 / 이인로 = 24
동정호의 가을 달 / 이인로 = 25
저물녘 눈 내리는 강가 / 이규보 = 28
낚시터의 눈 / 홍간 = 29
한양 시골집 / 한종유 = 30
낚시터에서 늦게까지 낚시를 / 이제현 = 31
서강 달밤에 배를 타고 / 이제현 = 32
강가에서 / 이색 = 33
가을 강가에서 우연히 생각나서 / 이색 = 35
각산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조준 = 36
시냇가에서 쉬다 / 권근 = 37
배에서 가랑비를 만나다 / 권근 = 38
남계에서 밤배 띄우고 / 송익필 = 39
비가 내리는데 / 유방선 = 40
심판각의 농막 시에 답하여 / 신숙주 = 41
가을 강에서 낚시하는 그림 / 서거정 = 42
남의 시에 화답하여 / 서거정 = 44
친구와 셋이서 낚시를 / 서거정 = 45
어부 / 성간 = 46
입석에서 낚시질 / 강희맹 = 49
도롱이 사오다 물 넘치는 것 보다 / 김시습 = 51
입석에서 낚시하다 / 성현 = 52
어부가 / 성현 = 54
귀래정 / 이굉 = 55
어옹 / 정수강 = 56
배 위에서 읊다 / 조위 = 57
앞강에서 낚시하고 / 김극성 = 58
환탄의 고기잡이 불 / 신광한 = 59
앞개울에서 낚시 / 소세양 = 60
낚시하는 물건(이것을 견지라 한다) / 정사룡 = 61
북쪽 물가에서 낚시질 / 기준 = 65
어부 / 송순 = 67
덕암에 있는 친구에게 / 김의정 = 68
소나무 못에 낚시 드리우고 / 임억령 = 69
미천장담에서 / 이황 = 70
강가에서 낚시하다 / 이황 = 71
눈을 맞으며 / 김인후 = 72
고기잡이 / 김인후 = 73
몽뢰정의 춘첩 / 정유길 = 75
버드나무 시내에서 낚시하다 / 양사언 = 76
어옹 / 기대승 = 77
새벽에 일어나 낚시하다 / 권호문 = 79
우연히 읊다 / 권문해 = 81
봉명정 아래서 운에 따라 / 백광훈 = 82
시냇가에서 달을 낚다 / 김성일 = 83
장지문 강설도에 쓴 시 / 김성일 = 84
어옹 / 이산해 = 85
강촌의 저녁 풍경 / 홍가신 = 86
친구에게 / 이우 = 87
어촌 / 유희경 = 89
봄바람 불 때 대를 베어 낚싯대 만들고 / 차천로 = 90
조은정의 시에 답하여 / 유몽인 = 91
동강의 배에서 향산을 생각하며 / 이춘영 = 92
어부사 / 이수광 = 93
어촌의 낙조 / 이수광 = 94
병풍 그림을 보고 짓다 / 이수광 = 95
이상백의 오휴정 / 성여학 = 97
홰나무 여울에서 낚시를 / 이정구 = 98
시골의 흥 / 신흠 = 99
어옹 / 이경전 = 100
남호(南湖)에서 낚시를 / 양경우 = 101
낚싯대를 받고서 / 정온 = 102
이끼 낀 물가에서 낚시 드리우고 / 김류 = 103
버드나무 물가에서 물고기를 보다 / 조찬한 = 104
친구의 시에 차운하여 읊다 / 김집 = 105
병풍의 사계절을 읊은 시 / 목대흠 = 106
친구에게서 낚싯대를 선물 받고 / 김육 = 107
찬 강 눈 내리는데 홀로 낚시하다 / 정홍명 = 108
돌다리에서 낚시를 / 이식 = 110
앞개울에서 낚시를 / 이식 = 111
남쪽 시내에서 고기 잡는 것을 보고 / 장유 = 112
산속에 살며 하는 일 / 신익성 = 113
비온 후 / 김세겸 = 114
웅연에 배 띄우고 / 허목 = 115
한가하게 살며 / 정두경 = 116
낚시질 / 강백년 = 117
거북바위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/ 권시 = 118
괴탄에서 낚시질 / 김득신 = 119
찬 강 눈 내리는데 홀로 낚시하다 / 홍우원 = 120
낚시질 / 조석윤 = 121
영춘 / 윤선거 = 122
갈대여울에서 낚시하다 / 이면하 = 123
대나무를 심고 / 홍위 = 126
천렵의 즐거움 / 이단하 = 127
찬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이단상 = 132
찬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남용익 = 133
돌아가려 하나 눈이 막혀 / 박세당 = 134
강에서 낚시꾼을 봤는데 / 김만중 = 135
농사짓고 낚시하며 / 임상원 = 136
강촌에서 / 조지겸 = 137
푸르고 아득한 노래 / 최석정 = 138
낚시질을 보며 / 김창협 = 139
병풍 그림을 읊은 시 / 김창흡 = 140
삼정어사에서 / 홍세태 = 141
독조한강설의 운을 따라 / 이현조 = 142
돌여울에서 낚시질 / 이만부 = 143
용바위에서 낚시 / 채팽윤 = 145
물고기 작살질하는 모습을 보며 / 신정하 = 146
낚시터에서 낚시 드리우고 / 이익 = 148
순채 핀 못에서 낚시하다 / 윤봉구 = 149
어디서 온 젊은이가 낚시를 하는데 / 심육 = 150
낚시의 노래 / 강재항 = 151
어부가를 듣고 / 조관빈 = 152
생각나는 대로 읊다 / 안정복 = 153
고청거사 남희안의 시에 차운하다 / 안정복 = 155
동계에서 낚시를 드리우다 / 정범조 = 156
낚싯대를 들고 / 홍양호 = 157
시내에서 낚시하다 / 홍양호 = 158
어부사 / 정종로 = 159
어옹을 읊다 / 김홍운 = 160
어옹 / 이덕무 = 161
어부사시사 / 김재찬 = 162
서천에서 낚시질 / 정조대왕 = 164
온정의 낙조 / 작자 미상 = 165
죽천의 고기잡이 피리소리 / 정약용 = 166
두미강의 얼음낚시 / 정약용 = 167
어부에게 / 이남규 = 173
낚시를 다녀오며 / 이승만 = 175
예당에서 밤에 낚시하다 / 이하상 = 176
二 중국 낚시 시
낚싯대 / 『시경(詩經)』 = 180
어부가 / 굴원 = 182
낚싯대 / 심약 = 184
낚시하는 것을 보며 / 음갱 = 185
시냇가의 노인 / 경운 = 186
어부가 / 이기 = 187
장오제에게 답함 / 왕유 = 189
어부가 / 고적 = 190
맑은 강에서 홀로 낚시하다 / 이백 = 191
낚시하는 물굽이 / 저광희 = 193
어부사 / 저광희 = 195
강가 / 상건 = 197
장명부의 시골집 앞을 지나며 / 유장경 = 198
친구가 은거한 곳에 편지한 셋째 구 / 유장경 = 199
어부 / 잠삼 = 200
어부가 / 장지화 = 202
동생 장지화의 어부가에 화답하여 / 장송령 = 207
난계의 뱃노래 / 대숙륜 = 209
봄 강에 홀로 낚시하다 / 대숙륜 = 210
강촌의 모습 / 사공서 = 212
홀로 낚시하다 / 한유 = 213
친구 후희에게 / 한유 = 214
밤에 찾은 어부의 집 / 장적 = 217
어린아이의 낚시질 / 호영능 = 218
봄노래에 화답하여 / 백거이 = 219
눈 내리는 강 / 유종원 = 221
어옹 / 유종원 = 222
조어의 시 / 이하 = 224
산을 내려오면서 / 노동 = 228
어부 / 두목 = 229
강촌에 묵으며 / 항사 = 230
임이 낚시하러 온다는 소식 듣고 / 어현기 = 231
시냇가의 흥 / 두순학 = 232
강에서 새벽을 읊음 / 왕정백 = 233
월강의 어부 / 임번 = 234
낚시질 / 이군옥 = 235
선자화상의 게송 / 덕성 = 236
어가자 / 이순 = 238
어부 / 이순 = 240
임금이 낚시로 고기를 못 잡음에 드리는 시 / 이가명 = 242
낚시를 해도 잡지를 못해 / 이순현 = 243
낚시 정자 / 화예부인 = 244
어부 / 화응 = 245
어부사 / 이욱 = 246
항주를 그리며 / 반랑 = 247
송강(松江) 다리에서 고기잡이를 바라보며 / 소순흠 = 248
성 밖 강가 / 소식 = 249
봄강의 저녁 경치 / 소식 = 250
완계사 / 소식 = 251
속마음을 하소연 / 황정견 = 252
호사근 / 주돈유 = 253
현진자의 그림에 제하여 / 장원천 = 256
어부사 / 조구 = 258
한암 낚시터에서 놀며 / 육유 = 260
작교선 / 육유 = 261
조대 / 대복고 = 262
어부사 / 왕심 = 263
금정 계곡의 구름 / 왕단계 = 265
어옹도 / 정거부 = 266
부부가 주고받은 어부사 / 관중희 ; 조맹부 = 267
구름 낀 산록의 고기잡이 배 그림 / 왕면 = 271
찬 강에 홀로 낚시하는 그림 / 당숙 = 273
가을 그림 / 동기창 = 274
어부의 집 / 손승종 = 275
반계의 노래 / 허중림 = 276
낚시에 걸려 든 것은 / 명대 민요 = 277
가을 강에 홀로 낚시하는 그림 / 왕사정 = 279
고기잡이 / 마박신 = 280
안개 낀 강의 낚싯배 / 건륭 = 281
三 우리 조시(釣詩)에 나타난 옛 낚시의 모습
1. 옛 글의 어부(漁父)는 어떤 사람인가? = 284
2. 낚싯대의 한문식 표현 = 289
3. 낚시를 한다는 행위의 표현 = 292
4. 낚시를 한다는 행위, 리조(理釣)의 사례 검토 = 296
5. 옛 우리 한시 중의 견지낚시 모습 = 308
시인 이름으로 찾아보기 = 3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