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9.452-4
- 청구기호
- 529.452 농239ㅇ
- 단체저자
- 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과
- 서명/저자
- 원양어업 50년 발전사 / 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과 [편]
- 발행사항
- 과천 : 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과, 2008
- 형태사항
- 576 p. : 삽도 ; 전자파일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573-576
- 기타저자
- 농림부
- 기타저자
- 농림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수산부
- 기타저자
- 농림축산식품부
- 가격
- 가격불명
- Control Number
- maf:22761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137 | EB : 529.452 농239ㅇ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90203s2008 ggk d a korIA
056 ▼a529.452▼24
090 ▼a529.452▼b농239ㅇ
110 ▼a농림수산식품부▼b원양산업과
24500▼a원양어업 50년 발전사▼d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과 [편]
260 ▼a과천▼b농림수산식품부 원양산업과▼c2008
300 ▼a576 p.▼b삽도▼c전자파일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4 ▼a참고문헌 : p.573-576
710 ▼a농림부
710 ▼a농림수산부
710 ▼a농수산부
710 ▼a농림축산식품부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137
9501 ▼a가격불명
제1장 총설 = 31
1.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태동과 신장 = 33
[1] 원양어업의 의의와 종류 = 33
[2] 원양어업의 경영요소 = 34
[3] 원양어업의 역할 = 35
2. 수산행정기구와 원양어업정책의 변화 = 36
[1] 수산행정조직의 변천 = 36
[2] 원양어업정책의 변천 = 40
[3] 공해어업질서의 변화 = 41
3. 한국원양어업협회 = 42
[1] 한국원양참치어업협회의 발족 = 42
[2] 한국원양어업협회의 설립과 운영 = 42
[3] 주요연혁 = 44
[4] 협회의 기능과 조직 = 45
[5] 회원사 = 45
[6] 원양어업 발전을 위한 지원 = 46
[7] 해외기지의 선원 복지시설 = 47
4. 한국수산개발공사 = 49
[1] 한국수산개발공사의 설립과 운영 = 49
[2] 한국수산개발공사의 교훈 = 51
5. 업종별 원양어업의 개척 = 52
[1] 북태평양 트롤어업 = 52
[2] 해외기지식 트롤어업 = 55
[3] 원양참치어업 = 57
[4] 오징어채낚기어업 = 59
[5] 꽁치봉수망어업 = 60
6.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현황 = 61
[1] 개관 = 65
[2] 주요 업종 해외어장 진출현황과 과제 = 65
7. 주요 해외기지 현황 = 67
[1] 미국령 사모아 = 67
[2] 스페인령 라스팔마스 = 68
제2장 업종별 원양어업의 발전 = 71
제1절 개관 = 73
1. 어업별 발전 개황 = 73
[1] 지남호의 시험조업 성공 = 73
[2] 원양참치어업 = 73
[3] 원양트롤어업 = 74
[4] 원양오징어어업 = 77
[5] 기타 어업 = 77
2. 원양어업의 발전 = 78
제2절 원양참치어업 = 85
1. 개관 = 85
2. 해외기지식 참치어업 = 87
[1] 원양어업의 출발점 = 87
[2] 민간차원의 어업교섭 = 90
[3] 시험조업의 성공 = 92
[4] 지남호의 첫 출어에 얽힌 일화 = 95
[5] 미국령 사모아 진출에 대한 일본의 방해와 극복 = 97
[6] 지남호의 미국령 사모아 진출 = 100
[7] 미국령 사모아 2차 진출 = 104
[8] 정부당국의 원양어업관 = 105
[9] 후발업체 등장과 일본의 반응 = 106
[10] 대서양 참치연승어업 = 108
[11] 어업생산과 수출 = 108
[12] 해외기지식 참치어선의 현황 = 112
[13] 해외기지식 참치어선의 선원 현황 = 113
[14] 최초의 대일 참치 수출 = 115
[15] 박정희 대통령의 미국령 사모아 기지 방문 = 116
3. 국내기지식 참치어업 = 118
[1] 국내기지식 참치어업의 개황 = 118
[2] 수출 실적 = 130
[3] 국내기지식 참치어업의 어장 = 137
[4] 한국과 일본의 참치에 관한 회의 = 139
4. 참치선망어업 = 143
[1] 참치선망어업의 발전 과정 = 143
[2] 참치선망어업의 당면과제와 전망 = 156
5. 가다랑어채낚기어업 = 157
[1] 시험ㆍ조사의 목적 = 157
[2] 조사단 및 조사 일정 = 157
[3] 시험결과 및 고찰 = 158
[4] 선내 활멸치 축양 = 159
제3절 원양트롤어업 = 161
1. 개관 = 161
2. 북태평양 트롤어업 = 163
[1] 개척기 (1966년-1970년) = 164
[2] 성장기 (1971년-1992년) = 177
[3] 쇠퇴기 (1993년부터) = 184
3. 북해도 트롤어업 = 186
[1] 북해도 근해어장의 개척 = 186
[2] 민간어업협의기구의 설치와 민간어업합의서의 체결 = 188
[3] 일본어민의 조업방해와 어구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= 189
[4] 정부간 조업자율규제조치의 합의 = 192
4. 대서양 트롤어업 = 202
[1] 북서아프리카 연안 트롤어업 = 202
[2] 대서양 남서부 트롤어업(포클랜드 어장) = 225
[3] 북서대서양 트롤어업 = 226
5. 인도양 트롤어업 = 227
[1] 개황 = 227
[2] 이란 근해 트롤어업 = 228
[3] 파키스탄 및 오만 근해 트롤어업 = 232
[4] 소말리아 근해 트롤어업 = 233
6. 남서태평양 트롤어업 = 235
[1] 인도네시아 트롤어업 = 235
[2] 뉴질랜드 근해 트롤어업 = 241
[3] 호주 근해 트롤어업 = 245
7. 대서양 새우트롤어업 = 246
[1] 개황 = 246
[2] 태동기 = 247
[3] 성장기 = 250
8. 남빙양 트롤어업 = 253
[1] 각국의 크릴자원 개발 현황 = 253
[2] 우리나라의 남빙양 크릴새우 첫 시험조사 = 256
[3] 크릴새우 조업은 남극 진출의 교두보 = 257
[4] 남극해양생물보존협약 가입 = 259
[5] 남극조약 가입 = 261
[6] 킹 조지섬에 세종기지 건설 = 262
[7] 세계의 각축장 남극대륙 = 263
[8] 크릴새우의 산업화 과정 = 264
제4절 오징어채낚기어업 = 265
1. 개관 = 265
2. 뉴질랜드 오징어채낚기어업 = 268
3. 포클랜드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0
[1] 개황 = 270
[2] 어장환경과 조업 현황 = 271
4. 페루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5
5. 호주 근해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6
6. 북서태평양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6
제5절 꽁치봉수망어업 = 278
1. 개관 = 278
2. 봉수망어업의 도입 = 278
[1] 어업의 특징 = 278
[2] 북태평양 진출의 배경 = 279
[3] 연근해 꽁치어업 = 280
3. 우리나라 꽁치봉수망어업의 북태평양 진출 = 280
[1] 제1차 시험조업 = 280
[2] 제2차 시험조업 = 281
[3] 시험조업의 결과 분석 = 281
[4] 허가어업으로 정착 = 282
[5] 북서태평양 한국의 꽁치봉수망어업 현황 = 283
[6] 북서태평양 한국의 봉수망 어업의 문제점 = 284
제6절 기타 어업 = 286
1. 북태평양 오징어유자망어업 = 286
[1] 세계 오징어자원 = 286
[2] 유자망어구 및 조업방법 = 286
[3] 출어척수 및 어획량 = 287
2. 상어유자망 어업 = 289
3. 은대구 저연승어업 = 290
4. 공해유자망어업 금지에 관한 유엔총회결의 = 292
[1] 문제의 제기 = 292
[2] 유자망어업에 대한 논쟁의 전개 = 294
[3] 국제법적 논의 = 297
[4] 유엔총회결의에 대한 평가 = 298
제3장 원양수산자원의 개발 및 어업기술의 발달 = 301
제1절 원양어업 대상 주요 수산자원의 변천 = 303
1. 명태 자원 = 303
[1] 북태평양의 어장환경 = 303
[2] 자원 상태 = 304
[3] 어업의 현황 = 305
[4] 자원의 개발 및 관리 = 306
2. 참치 자원 = 308
[1] 주요 참치의 종류 = 308
[2] 참치어법 = 309
[3] 한국 참치연승어업의 어장 분포 = 310
3. 꽁치 자원 = 312
4. 빨강오징어 자원 = 313
[1] 개황 = 313
[2] 자원관리 및 조업 규제 = 314
[3] 대체 어구 개발을 위한 노력 = 316
[4] 당면 과제와 대응방안 = 317
5. 포클랜드 오징어 자원 = 319
제2절 어업기술의 발달 = 321
1. 참치 어업기술의 발달 = 321
[1] 도전정신이 이룬 업적 = 321
[2] 어구의 구성 = 321
[3] 미끼, 꽁치에서 고등어로 = 324
[4] 참치연승어구의 국산화 = 325
[5] 수동에서 자동으로 = 327
[6] 참치연승어업 부수어획물 감소방안 = 330
[7] 참치어업의 신기원 선망어법의 등장 = 330
2. 트롤어업기술의 발달 = 335
[1] 백경호의 탄생과 그 최초의 트롤그물 = 335
[2] 각광받은 북태평양 어업조사의 부산물 = 337
[3] 제601강화호 첫 출어와 성공의 배경 = 339
[4] 트롤어구의 국산화 = 341
[5] 선미식 트롤어업 시대와 한국 트롤어업의 여명 = 344
[6] 2폭에서 12폭으로 = 347
[7] 평판에서 만곡형으로 = 349
[8] 저층에서 중층으로 = 352
[9] 컴퓨터를 이용한 어구설계 및 해석 시스템 = 354
제4장 국제어업협력 = 357
제1절 원양어업에 대한 국제법적 환경 = 359
1. 어업에 관한 국제법의 발전 = 359
[1] 국제해양법협약의 성립 = 359
[2] 유엔해양법협약의 채택과 발효 = 361
[3] 국제법의 발전과 한국의 원양어업 = 364
2. 주요 연안국의 EEZ 외국인어업 규제동향 = 365
[1] EEZ 체제의 성립과 정착 = 365
[2] EEZ에서의 외국인어업에 대한 연안국의 주권적 권리 행사 = 366
[3] 주요 연안국의 해양관할 현황 = 367
[4] 주요 연안국의 외국인어업 규제제도 = 370
[5] 세계 각 연안국의 200해리 수역 선포현황 = 379
3. 공해어업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 = 381
[1] 공해어업의 당면과제 = 381
[2] 유엔해양법협약 체제와 공해어업 자유원칙의 퇴조 = 383
[3] 공해생물자원에 대한 새로운 국제관리제도 = 388
[4] 국제수산기구의 발전과 원양어업에 대한 규제조치 = 402
[5] 자원의 지속적 개발을 지향하는 21세기 신 국제어업질서 = 407
[6] 편의국적 원양어선의 국적취득조치 = 409
제2절 주요 연안국과의 어업협력 = 410
1. 어업협력체제의 구축 = 410
[1] 한-미 어업협력체제 = 412
[2] 한국-뉴질랜드 어업협정 = 420
[3] 한국-호주 어업협정 = 422
[4] 한국-모리타니아 어업협력협정 = 424
[5] 한국-프랑스 어업협정 = 427
[6] 한국-투발루 어업협정 = 428
[7] 한국-키리바시 어업협정 = 429
[8] 한국-쿡아일랜드 어업협정 = 431
[9] 한국-솔로몬아일랜드 어업협정 = 432
[10] 한국-파푸아뉴기니 어업협정 = 434
[11] 한국-러시아 어업협정 = 436
[12] 한국-에콰도르 어업협정 = 437
[13] 한국-이란 어업협정 = 438
2. 기타 수산협력약정 = 439
[1] 한국-노르웨이 어업협력약정 = 439
[2] 한국-베트남 어업협력약정 = 440
[3] 한국-인도네시아 어업협력약정 = 440
[4] 한국-아르헨티나 어업협력약정 = 441
[5] 한국-소말리아 민간어업약정 = 442
제3절 국제수산기구와의 협력 = 444
1. 국제수산기구의 개요 = 444
2. FAO 수산위원회와 산하 지역수산기구 = 448
[1] 인도ㆍ태평양수산위원회(IPFC) = 449
[2] 인도양수산위원회(IOFC) = 449
[3] 중동대서양수산위원회(CECAF) = 450
[4] 중서대서양수산위원회(WECAFC) = 450
3. 참치자원 관련 지역수산기구 = 451
[1]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(ICCAT) = 452
[2]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(CCSBT) = 452
[3] 인도양참치위원회(IOTC) = 453
[4] 전미열대참치위원회(IATTC) = 453
[5]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(WCPFC) = 454
[6] 참치 관련 지역수산기구의 자원통합관리 추진동향 = 456
4. 기타의 국제수산기구 = 457
[1] 국제포경위원회(IWC) = 457
[2]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(CCAMLR) = 457
[3] 북서대서양 수산기구(NAFO) = 458
[4]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(NPAFC) = 458
[5] 중부베링해명태위원회(CCBSP) = 459
[6] 북태평양과학조사위원회(PICES) = 459
제4절 어업이민사업 = 460
1. 아르헨티나 국제어업입찰 참여 = 460
2. 현지 어업조사단 파견 = 460
3. 사업자 선정 = 461
4. 어업합작사업 = 462
5. 어업이민사업 = 463
[1] 사업계획 승인 = 463
[2] 사업집행 = 465
제5장 원양어선 및 선원 = 467
제1절 원양어선 세력의 신장 = 469
1. 원양어선 세력의 변화추이 = 469
2. 원양어선의 현대화 = 470
[1] 참치연승어선 = 470
[2] 참치선망어선 = 474
[3] 원양트롤선 = 476
[4] 원양새우트롤선 = 479
[5] 원양오징어어선 = 480
3. 원양어선의 국내 건조 = 480
[1]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원양어선 건조 = 480
[2] 계획조선사업 = 482
[3] 연료비 절감을 위한 주기관 모델 시스템 개발 = 485
4. 원양어선의 도입 = 485
[1] 이태리-프랑스 어업차관 = 486
[2] 일반상업차관 = 487
[3] AID 재정차관 = 487
[4] 노르웨이 및 네덜란드 차관 = 487
[5] 대일 어업협력자금 = 488
[6] 국적취득 조건부 나용선 = 489
제2절 원양어선원과 노동조합 활동 = 490
1. 원양어선원의 변화 추이 = 490
[1] 1990년 이전의 선원구조 = 490
[2] 외국인선원 고용의 증대 = 490
2. 원양어선원의 양성 = 492
[1] 수산계학교 = 492
[2] 원양어업기술훈련소 = 494
[3] 한국어업기술훈련소 = 496
제3절 원양어선 및 어선원의 재해 = 500
1. 원양어선 재해 = 500
2. 원양어선원 재해 = 502
[1] 개관 = 502
[2] 제2지남호 조난사고 = 502
[3] 페스카마호 선상난동사건 = 504
3. 희생자 위령시설 = 505
4. 전국원양수산노동조합의 설립과 활동 = 508
제6장 원양어획물의 수급과 유통 = 511
1. 원양어획물 수급의 변화 = 513
[1] 우리나라 원양어획물의 수출 = 513
[2] 주요 수산물의 공급량 변화 = 514
[3] 식료품 소비 추이 = 515
[4] 명태와 오징어의 소비형태 변화 = 516
2. 주요 원양어획물의 시장 변화 = 518
[1] 명태의 가격 및 이용 배분의 변화 = 518
[2] 오징어 시장구조의 변화 = 523
제7장 원양어업의 발전 전망 = 531
제1절 원양어업의 해외진출 유형과 정책변화 = 533
1. 원양어업의 해외진출 유형 = 533
[1] 어장개발 진출방식 = 533
[2] 해외 직접투자방식 = 535
[3] 기업이민방식 = 537
[4] 공동사업방식 = 539
2. 원양어업정책의 변화 = 541
[1] 원양어업 어장개발 정책 = 541
[2] 원양어업의 성장발전 정책 = 542
[3] 원양어업의 구조조정 정책 = 544
3. 업종별 원양어업정책 = 545
[1] 트롤어업 = 545
[2] 참치어업 = 546
[3] 오징어채낚기어업 = 547
제2절 원양어업의 원양산업화 여건과 발전전망 = 549
1. 원양어업의 대내외 여건 변화 = 549
[1] 원양어업의 현주소 = 553
[2] 원양어업을 둘러싼 국내외 여건의 변화 = 554
[3] 원양어업의 신장 = 554
2. 원양어업의 원양산업화 필요성 = 556
3. 원양어업의 경영구조적 문제점 = 558
[1] 원양어업의 생산구조적 침체 상황 = 558
[2] 민간주도적 성장의 한계 = 559
4. 경영구조의 실태 = 560
[1] 원양어선의 노후화 = 560
[2] 어선원 감소문제 = 562
[3] 기존 어장의 유지와 신어장 개발 = 563
5. 원양어업의 글로벌 국가전략적 산업화 모델 = 564
[1] 원양어업의 글로벌 국가전략적 산업화 모델 = 564
[2] 원양어업의 전략적 산업화와 해외진출 = 567
6. 원양어업 경쟁력 강화정책과 산업화 전략 = 568
[1] 원양어업의 유형별 경쟁력 강화정책 = 568
[2] 원양어업의 경쟁력 강화정책 = 569
[3] 21세기 글로벌 신성장 해양핵심산업으로 발전= 569
7. 원양어업의 발전전망 = 570
1.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태동과 신장 = 33
[1] 원양어업의 의의와 종류 = 33
[2] 원양어업의 경영요소 = 34
[3] 원양어업의 역할 = 35
2. 수산행정기구와 원양어업정책의 변화 = 36
[1] 수산행정조직의 변천 = 36
[2] 원양어업정책의 변천 = 40
[3] 공해어업질서의 변화 = 41
3. 한국원양어업협회 = 42
[1] 한국원양참치어업협회의 발족 = 42
[2] 한국원양어업협회의 설립과 운영 = 42
[3] 주요연혁 = 44
[4] 협회의 기능과 조직 = 45
[5] 회원사 = 45
[6] 원양어업 발전을 위한 지원 = 46
[7] 해외기지의 선원 복지시설 = 47
4. 한국수산개발공사 = 49
[1] 한국수산개발공사의 설립과 운영 = 49
[2] 한국수산개발공사의 교훈 = 51
5. 업종별 원양어업의 개척 = 52
[1] 북태평양 트롤어업 = 52
[2] 해외기지식 트롤어업 = 55
[3] 원양참치어업 = 57
[4] 오징어채낚기어업 = 59
[5] 꽁치봉수망어업 = 60
6. 우리나라 원양어업의 현황 = 61
[1] 개관 = 65
[2] 주요 업종 해외어장 진출현황과 과제 = 65
7. 주요 해외기지 현황 = 67
[1] 미국령 사모아 = 67
[2] 스페인령 라스팔마스 = 68
제2장 업종별 원양어업의 발전 = 71
제1절 개관 = 73
1. 어업별 발전 개황 = 73
[1] 지남호의 시험조업 성공 = 73
[2] 원양참치어업 = 73
[3] 원양트롤어업 = 74
[4] 원양오징어어업 = 77
[5] 기타 어업 = 77
2. 원양어업의 발전 = 78
제2절 원양참치어업 = 85
1. 개관 = 85
2. 해외기지식 참치어업 = 87
[1] 원양어업의 출발점 = 87
[2] 민간차원의 어업교섭 = 90
[3] 시험조업의 성공 = 92
[4] 지남호의 첫 출어에 얽힌 일화 = 95
[5] 미국령 사모아 진출에 대한 일본의 방해와 극복 = 97
[6] 지남호의 미국령 사모아 진출 = 100
[7] 미국령 사모아 2차 진출 = 104
[8] 정부당국의 원양어업관 = 105
[9] 후발업체 등장과 일본의 반응 = 106
[10] 대서양 참치연승어업 = 108
[11] 어업생산과 수출 = 108
[12] 해외기지식 참치어선의 현황 = 112
[13] 해외기지식 참치어선의 선원 현황 = 113
[14] 최초의 대일 참치 수출 = 115
[15] 박정희 대통령의 미국령 사모아 기지 방문 = 116
3. 국내기지식 참치어업 = 118
[1] 국내기지식 참치어업의 개황 = 118
[2] 수출 실적 = 130
[3] 국내기지식 참치어업의 어장 = 137
[4] 한국과 일본의 참치에 관한 회의 = 139
4. 참치선망어업 = 143
[1] 참치선망어업의 발전 과정 = 143
[2] 참치선망어업의 당면과제와 전망 = 156
5. 가다랑어채낚기어업 = 157
[1] 시험ㆍ조사의 목적 = 157
[2] 조사단 및 조사 일정 = 157
[3] 시험결과 및 고찰 = 158
[4] 선내 활멸치 축양 = 159
제3절 원양트롤어업 = 161
1. 개관 = 161
2. 북태평양 트롤어업 = 163
[1] 개척기 (1966년-1970년) = 164
[2] 성장기 (1971년-1992년) = 177
[3] 쇠퇴기 (1993년부터) = 184
3. 북해도 트롤어업 = 186
[1] 북해도 근해어장의 개척 = 186
[2] 민간어업협의기구의 설치와 민간어업합의서의 체결 = 188
[3] 일본어민의 조업방해와 어구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= 189
[4] 정부간 조업자율규제조치의 합의 = 192
4. 대서양 트롤어업 = 202
[1] 북서아프리카 연안 트롤어업 = 202
[2] 대서양 남서부 트롤어업(포클랜드 어장) = 225
[3] 북서대서양 트롤어업 = 226
5. 인도양 트롤어업 = 227
[1] 개황 = 227
[2] 이란 근해 트롤어업 = 228
[3] 파키스탄 및 오만 근해 트롤어업 = 232
[4] 소말리아 근해 트롤어업 = 233
6. 남서태평양 트롤어업 = 235
[1] 인도네시아 트롤어업 = 235
[2] 뉴질랜드 근해 트롤어업 = 241
[3] 호주 근해 트롤어업 = 245
7. 대서양 새우트롤어업 = 246
[1] 개황 = 246
[2] 태동기 = 247
[3] 성장기 = 250
8. 남빙양 트롤어업 = 253
[1] 각국의 크릴자원 개발 현황 = 253
[2] 우리나라의 남빙양 크릴새우 첫 시험조사 = 256
[3] 크릴새우 조업은 남극 진출의 교두보 = 257
[4] 남극해양생물보존협약 가입 = 259
[5] 남극조약 가입 = 261
[6] 킹 조지섬에 세종기지 건설 = 262
[7] 세계의 각축장 남극대륙 = 263
[8] 크릴새우의 산업화 과정 = 264
제4절 오징어채낚기어업 = 265
1. 개관 = 265
2. 뉴질랜드 오징어채낚기어업 = 268
3. 포클랜드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0
[1] 개황 = 270
[2] 어장환경과 조업 현황 = 271
4. 페루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5
5. 호주 근해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6
6. 북서태평양 오징어채낚기어업 = 276
제5절 꽁치봉수망어업 = 278
1. 개관 = 278
2. 봉수망어업의 도입 = 278
[1] 어업의 특징 = 278
[2] 북태평양 진출의 배경 = 279
[3] 연근해 꽁치어업 = 280
3. 우리나라 꽁치봉수망어업의 북태평양 진출 = 280
[1] 제1차 시험조업 = 280
[2] 제2차 시험조업 = 281
[3] 시험조업의 결과 분석 = 281
[4] 허가어업으로 정착 = 282
[5] 북서태평양 한국의 꽁치봉수망어업 현황 = 283
[6] 북서태평양 한국의 봉수망 어업의 문제점 = 284
제6절 기타 어업 = 286
1. 북태평양 오징어유자망어업 = 286
[1] 세계 오징어자원 = 286
[2] 유자망어구 및 조업방법 = 286
[3] 출어척수 및 어획량 = 287
2. 상어유자망 어업 = 289
3. 은대구 저연승어업 = 290
4. 공해유자망어업 금지에 관한 유엔총회결의 = 292
[1] 문제의 제기 = 292
[2] 유자망어업에 대한 논쟁의 전개 = 294
[3] 국제법적 논의 = 297
[4] 유엔총회결의에 대한 평가 = 298
제3장 원양수산자원의 개발 및 어업기술의 발달 = 301
제1절 원양어업 대상 주요 수산자원의 변천 = 303
1. 명태 자원 = 303
[1] 북태평양의 어장환경 = 303
[2] 자원 상태 = 304
[3] 어업의 현황 = 305
[4] 자원의 개발 및 관리 = 306
2. 참치 자원 = 308
[1] 주요 참치의 종류 = 308
[2] 참치어법 = 309
[3] 한국 참치연승어업의 어장 분포 = 310
3. 꽁치 자원 = 312
4. 빨강오징어 자원 = 313
[1] 개황 = 313
[2] 자원관리 및 조업 규제 = 314
[3] 대체 어구 개발을 위한 노력 = 316
[4] 당면 과제와 대응방안 = 317
5. 포클랜드 오징어 자원 = 319
제2절 어업기술의 발달 = 321
1. 참치 어업기술의 발달 = 321
[1] 도전정신이 이룬 업적 = 321
[2] 어구의 구성 = 321
[3] 미끼, 꽁치에서 고등어로 = 324
[4] 참치연승어구의 국산화 = 325
[5] 수동에서 자동으로 = 327
[6] 참치연승어업 부수어획물 감소방안 = 330
[7] 참치어업의 신기원 선망어법의 등장 = 330
2. 트롤어업기술의 발달 = 335
[1] 백경호의 탄생과 그 최초의 트롤그물 = 335
[2] 각광받은 북태평양 어업조사의 부산물 = 337
[3] 제601강화호 첫 출어와 성공의 배경 = 339
[4] 트롤어구의 국산화 = 341
[5] 선미식 트롤어업 시대와 한국 트롤어업의 여명 = 344
[6] 2폭에서 12폭으로 = 347
[7] 평판에서 만곡형으로 = 349
[8] 저층에서 중층으로 = 352
[9] 컴퓨터를 이용한 어구설계 및 해석 시스템 = 354
제4장 국제어업협력 = 357
제1절 원양어업에 대한 국제법적 환경 = 359
1. 어업에 관한 국제법의 발전 = 359
[1] 국제해양법협약의 성립 = 359
[2] 유엔해양법협약의 채택과 발효 = 361
[3] 국제법의 발전과 한국의 원양어업 = 364
2. 주요 연안국의 EEZ 외국인어업 규제동향 = 365
[1] EEZ 체제의 성립과 정착 = 365
[2] EEZ에서의 외국인어업에 대한 연안국의 주권적 권리 행사 = 366
[3] 주요 연안국의 해양관할 현황 = 367
[4] 주요 연안국의 외국인어업 규제제도 = 370
[5] 세계 각 연안국의 200해리 수역 선포현황 = 379
3. 공해어업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 = 381
[1] 공해어업의 당면과제 = 381
[2] 유엔해양법협약 체제와 공해어업 자유원칙의 퇴조 = 383
[3] 공해생물자원에 대한 새로운 국제관리제도 = 388
[4] 국제수산기구의 발전과 원양어업에 대한 규제조치 = 402
[5] 자원의 지속적 개발을 지향하는 21세기 신 국제어업질서 = 407
[6] 편의국적 원양어선의 국적취득조치 = 409
제2절 주요 연안국과의 어업협력 = 410
1. 어업협력체제의 구축 = 410
[1] 한-미 어업협력체제 = 412
[2] 한국-뉴질랜드 어업협정 = 420
[3] 한국-호주 어업협정 = 422
[4] 한국-모리타니아 어업협력협정 = 424
[5] 한국-프랑스 어업협정 = 427
[6] 한국-투발루 어업협정 = 428
[7] 한국-키리바시 어업협정 = 429
[8] 한국-쿡아일랜드 어업협정 = 431
[9] 한국-솔로몬아일랜드 어업협정 = 432
[10] 한국-파푸아뉴기니 어업협정 = 434
[11] 한국-러시아 어업협정 = 436
[12] 한국-에콰도르 어업협정 = 437
[13] 한국-이란 어업협정 = 438
2. 기타 수산협력약정 = 439
[1] 한국-노르웨이 어업협력약정 = 439
[2] 한국-베트남 어업협력약정 = 440
[3] 한국-인도네시아 어업협력약정 = 440
[4] 한국-아르헨티나 어업협력약정 = 441
[5] 한국-소말리아 민간어업약정 = 442
제3절 국제수산기구와의 협력 = 444
1. 국제수산기구의 개요 = 444
2. FAO 수산위원회와 산하 지역수산기구 = 448
[1] 인도ㆍ태평양수산위원회(IPFC) = 449
[2] 인도양수산위원회(IOFC) = 449
[3] 중동대서양수산위원회(CECAF) = 450
[4] 중서대서양수산위원회(WECAFC) = 450
3. 참치자원 관련 지역수산기구 = 451
[1] 대서양참치보존위원회(ICCAT) = 452
[2]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(CCSBT) = 452
[3] 인도양참치위원회(IOTC) = 453
[4] 전미열대참치위원회(IATTC) = 453
[5]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(WCPFC) = 454
[6] 참치 관련 지역수산기구의 자원통합관리 추진동향 = 456
4. 기타의 국제수산기구 = 457
[1] 국제포경위원회(IWC) = 457
[2]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(CCAMLR) = 457
[3] 북서대서양 수산기구(NAFO) = 458
[4] 북태평양소하성어류위원회(NPAFC) = 458
[5] 중부베링해명태위원회(CCBSP) = 459
[6] 북태평양과학조사위원회(PICES) = 459
제4절 어업이민사업 = 460
1. 아르헨티나 국제어업입찰 참여 = 460
2. 현지 어업조사단 파견 = 460
3. 사업자 선정 = 461
4. 어업합작사업 = 462
5. 어업이민사업 = 463
[1] 사업계획 승인 = 463
[2] 사업집행 = 465
제5장 원양어선 및 선원 = 467
제1절 원양어선 세력의 신장 = 469
1. 원양어선 세력의 변화추이 = 469
2. 원양어선의 현대화 = 470
[1] 참치연승어선 = 470
[2] 참치선망어선 = 474
[3] 원양트롤선 = 476
[4] 원양새우트롤선 = 479
[5] 원양오징어어선 = 480
3. 원양어선의 국내 건조 = 480
[1] 경제개발 5개년계획과 원양어선 건조 = 480
[2] 계획조선사업 = 482
[3] 연료비 절감을 위한 주기관 모델 시스템 개발 = 485
4. 원양어선의 도입 = 485
[1] 이태리-프랑스 어업차관 = 486
[2] 일반상업차관 = 487
[3] AID 재정차관 = 487
[4] 노르웨이 및 네덜란드 차관 = 487
[5] 대일 어업협력자금 = 488
[6] 국적취득 조건부 나용선 = 489
제2절 원양어선원과 노동조합 활동 = 490
1. 원양어선원의 변화 추이 = 490
[1] 1990년 이전의 선원구조 = 490
[2] 외국인선원 고용의 증대 = 490
2. 원양어선원의 양성 = 492
[1] 수산계학교 = 492
[2] 원양어업기술훈련소 = 494
[3] 한국어업기술훈련소 = 496
제3절 원양어선 및 어선원의 재해 = 500
1. 원양어선 재해 = 500
2. 원양어선원 재해 = 502
[1] 개관 = 502
[2] 제2지남호 조난사고 = 502
[3] 페스카마호 선상난동사건 = 504
3. 희생자 위령시설 = 505
4. 전국원양수산노동조합의 설립과 활동 = 508
제6장 원양어획물의 수급과 유통 = 511
1. 원양어획물 수급의 변화 = 513
[1] 우리나라 원양어획물의 수출 = 513
[2] 주요 수산물의 공급량 변화 = 514
[3] 식료품 소비 추이 = 515
[4] 명태와 오징어의 소비형태 변화 = 516
2. 주요 원양어획물의 시장 변화 = 518
[1] 명태의 가격 및 이용 배분의 변화 = 518
[2] 오징어 시장구조의 변화 = 523
제7장 원양어업의 발전 전망 = 531
제1절 원양어업의 해외진출 유형과 정책변화 = 533
1. 원양어업의 해외진출 유형 = 533
[1] 어장개발 진출방식 = 533
[2] 해외 직접투자방식 = 535
[3] 기업이민방식 = 537
[4] 공동사업방식 = 539
2. 원양어업정책의 변화 = 541
[1] 원양어업 어장개발 정책 = 541
[2] 원양어업의 성장발전 정책 = 542
[3] 원양어업의 구조조정 정책 = 544
3. 업종별 원양어업정책 = 545
[1] 트롤어업 = 545
[2] 참치어업 = 546
[3] 오징어채낚기어업 = 547
제2절 원양어업의 원양산업화 여건과 발전전망 = 549
1. 원양어업의 대내외 여건 변화 = 549
[1] 원양어업의 현주소 = 553
[2] 원양어업을 둘러싼 국내외 여건의 변화 = 554
[3] 원양어업의 신장 = 554
2. 원양어업의 원양산업화 필요성 = 556
3. 원양어업의 경영구조적 문제점 = 558
[1] 원양어업의 생산구조적 침체 상황 = 558
[2] 민간주도적 성장의 한계 = 559
4. 경영구조의 실태 = 560
[1] 원양어선의 노후화 = 560
[2] 어선원 감소문제 = 562
[3] 기존 어장의 유지와 신어장 개발 = 563
5. 원양어업의 글로벌 국가전략적 산업화 모델 = 564
[1] 원양어업의 글로벌 국가전략적 산업화 모델 = 564
[2] 원양어업의 전략적 산업화와 해외진출 = 567
6. 원양어업 경쟁력 강화정책과 산업화 전략 = 568
[1] 원양어업의 유형별 경쟁력 강화정책 = 568
[2] 원양어업의 경쟁력 강화정책 = 569
[3] 21세기 글로벌 신성장 해양핵심산업으로 발전= 569
7. 원양어업의 발전전망 = 57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