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9.650732-4
- 청구기호
- 529.650732 해62ㅅ
- 단체저자
- 해양수산부
- 서명/저자
- 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 / 해양수산부 ; 한국해양수산개발원 [공편]
- 발행사항
- [서울] : 한국해양수산개발원, 2003
- 형태사항
- xlⅵ, 448 p. : 삽도 ; 전자자료
- 주기사항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총괄연구책임자 : 주문배
- 주기사항
- 권말부록으로 "수산식품 안전성에 대한 공무원의 의식조사"등 수록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363-367
- 기타저자
- 주문배
- 기타저자
- 한국해양수산개발원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20041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0930 | EB : 529.650732 해62ㅅ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80402s2003 ulk d a korIB
056 ▼a529.650732▼24
090 ▼a529.650732▼b해62ㅅ
110 ▼a해양수산부
24500▼a수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▼d해양수산부▼e한국해양수산개발원 [공편]
260 ▼a[서울]▼b한국해양수산개발원▼c2003
300 ▼axlⅵ, 448 p.▼b삽도▼c전자자료
50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00▼a총괄연구책임자 : 주문배
50000▼a권말부록으로 "수산식품 안전성에 대한 공무원의 의식조사"등 수록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4 ▼a참고문헌 : p.363-367
7001 ▼a주문배
710 ▼a한국해양수산개발원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0930
9501 ▼a비매품
제1장 서론(Introduction) = 1
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(Necessity and Objective of Study) = 1
제2절 수산식품 안전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(Literature Review) = 2
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(Scope and Methods of Study) = 4
제1편 수산물 위생관련 국제기준과 식품위생 이론(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of marine products and theories on food safety) = 7
제2장 수산물 안전성 관련 국내외 여건변화(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marine products safety) = 9
제1절 WTO 체제 하의 수산물 안전성 논의동향(The trend of discussion about marine products safety under WTO) = 9
제2절 수산물 안전성 관련 국내여건의 변화(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marine products in Korea) = 17
제3장 WTO/SPS 협정과 수산물 위생관련 국제기준(The WTO/SPS agreement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sanitary) = 22
제1절 WTO/SPS 협정 분석(Analysis of the WTO/SPS agreement) = 22
1. SPS 위원회의 개요 = 22
2. WTO/SPS 협정의 구성 = 23
3. WTO/SPS 협정의 주요내용 분석 = 26
제2절 WTO/SPS 협정 관련 분쟁(Dispute of the fulfillment related to the WTO/SPS agreement) = 38
제3절 CODEX 식품안전성 기준 분석(Analysis of the standards related to food safety in CODEX) = 46
1. Codex의 개관 = 46
2. Codex와 식품안전성 = 48
3. Codex의 HACCP 제도 = 52
4. Codex의 위생관리규격 = 59
제4장 수산물 안전성 및 위생관리에 관한 이론적 접근(Theoretical approach on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f marine products) = 69
제1절 일반식품 위생이론(Theories on sanitary of general foods) = 69
제2절 수산물 위생이론(Theories on sanitary of marine products) = 76
제2편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와 운영실태(Status of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in Korea) = 83
제5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와 행정(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) = 85
제1절 수산물 위생 관련법 체계(Laws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on marine products) = 85
1. 식품위생 관계법령의 주요 내용 = 86
2. 수산물 위생 관련법령의 주요 내용 = 91
3. 수산물 유통단계별 주요 법령 = 95
제2절 수산물 위생관리행정(Administration relating to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) = 108
1. 조직과 기구 = 108
2. 정책과정 = 112
3. 수산물 위생행정의 의식수준 = 116
제6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 실태(Status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in Korea) = 119
제1절 수산물 유통단계별 위생관리실태(Actual condition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by marketing stages) = 120
1. 생산단계(산지)의 위생관리 실태 = 120
2. 유통단계의 위생관리 실태 = 147
3. 소비단계의 위생관리 실태 = 157
제2절 수산식품 HACCP 도입 및 이행실태(Introduction and actual condition on performance of HACCP on marine products) = 164
1. HACCP의 개요 = 165
2. 수산식품 HACCP 도입 및 이행실태 = 169
3. HACCP 국제동향 및 주요국의 HACCP 이행(수산물 중심) = 173
4. 수산식품 위생관리 행정의 문제점 및 단기개선방안 = 180
제3편 주요국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(Status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 in major countries) = 185
제7장 주요국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(The system of hygenic and sanitary on marine products in major countries) = 187
제1절 일본(Japan) = 187
1. 개요 = 187
2. 수산물 위생 관련규정 및 조직 = 188
3. 수산식품의 품질 = 194
4. 검사 및 관리시스템의 기술 = 196
제2절 미국(USA) = 202
1. 개요 = 202
2. 관련규정 및 조직 = 203
제3절 중국(China) = 214
1. 중국 수산물 관련 현황 및 관리체계 = 214
2. 중국 수산물위생 관련 주요 법령 = 216
3. 중국의 수산식품 위생관리제도의 특징과 평가 = 226
제4절 EU = 231
1. EU의 수산식품 위생관련법과 행정 = 231
2. EU의 수산식품 유통단계별 안전성 확보체계 = 240
3. EU의 수산식품 위생관리행정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= 257
제8장 주요국의 수산물 HACCP 도입실태(The introduction of HACCP in major countries) = 259
제1절 일본(Japan) = 259
1. 일본의 HACCP 제도 = 259
2. 일본의 HACCP 관리 현황 = 261
3. HACCP 시스템운용을 위한 절차 = 265
4. 일반적인 위생관리사항 = 272
5. 영업자의 자주 참여를 위한 관련단체의 역할 = 273
6. 행정(후생성 및 도도부현 등)의 역할 = 275
7. 시설·설비 등에 대한 금융·세제상의 지원 = 277
8. 승인 = 279
9. 일본 HACCP 시스템 도입 효과 = 289
제2절 미국(USA) = 290
1. 미국 내 산업의 HACCP 이행 상황 = 290
2. 패류 부문 = 297
3. 외국 부문(미국으로의 수출업체 위주) = 299
제3절 EU = 304
1. EU의 수산식품 HACCP 제도 = 304
2. EU의 수산식품 HACCP 도입 실태 = 305
제4편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(A plan for improvement of hygenic sanitary management system on marine products) = 307
제9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의 문제점과 과제(Problems and tasks of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 in Korea.) = 309
제1절 총괄 및 전망(Synopis and prospect) = 309
제2절 수산물 위생관리의 문제점과 과제(Problems and tasks of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) = 313
1. SPS 협정 이행을 위한 구체적 실행계획 수립 및 대응 미흡 = 314
2. 수산물의 종합적인 위생관리장치의 부재 = 316
3. 수산물 위생관리에 있어서 이원화 문제(법, 기구) = 317
4. 수산물 위생관리 조직 및 기능상 미비 = 318
5. 사전 예방적 수산물 검사·검역체계의 미비 = 320
6. 수입 수산물 검사·검역 체제상의 과제 = 321
7. 새로운 위생관리 장치의 도입·확산 미흡 = 323
제10장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(A plan for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ensuring seafood safety) = 325
제1절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(A plan for sanitary management to ensure seafood safety) = 325
1. 수산물 위생관리정책의 기본 개념도 = 325
2. 수산물 위생관리정책의 기본방향 = 327
3. 수산물의 종합적인 위생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검토 = 333
제2절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실천계획(Action plan ensuring marine product safety) = 343
1. 수산물 안전관리센터 활용 = 343
2. 새로운 위생관리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 방안 = 345
3.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 = 356
참고문헌(References) = 363
부록(Appendix) = 369
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(Necessity and Objective of Study) = 1
제2절 수산식품 안전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(Literature Review) = 2
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(Scope and Methods of Study) = 4
제1편 수산물 위생관련 국제기준과 식품위생 이론(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of marine products and theories on food safety) = 7
제2장 수산물 안전성 관련 국내외 여건변화(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marine products safety) = 9
제1절 WTO 체제 하의 수산물 안전성 논의동향(The trend of discussion about marine products safety under WTO) = 9
제2절 수산물 안전성 관련 국내여건의 변화(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marine products in Korea) = 17
제3장 WTO/SPS 협정과 수산물 위생관련 국제기준(The WTO/SPS agreement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sanitary) = 22
제1절 WTO/SPS 협정 분석(Analysis of the WTO/SPS agreement) = 22
1. SPS 위원회의 개요 = 22
2. WTO/SPS 협정의 구성 = 23
3. WTO/SPS 협정의 주요내용 분석 = 26
제2절 WTO/SPS 협정 관련 분쟁(Dispute of the fulfillment related to the WTO/SPS agreement) = 38
제3절 CODEX 식품안전성 기준 분석(Analysis of the standards related to food safety in CODEX) = 46
1. Codex의 개관 = 46
2. Codex와 식품안전성 = 48
3. Codex의 HACCP 제도 = 52
4. Codex의 위생관리규격 = 59
제4장 수산물 안전성 및 위생관리에 관한 이론적 접근(Theoretical approach on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f marine products) = 69
제1절 일반식품 위생이론(Theories on sanitary of general foods) = 69
제2절 수산물 위생이론(Theories on sanitary of marine products) = 76
제2편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와 운영실태(Status of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in Korea) = 83
제5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와 행정(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) = 85
제1절 수산물 위생 관련법 체계(Laws related to hygienic and sanitary on marine products) = 85
1. 식품위생 관계법령의 주요 내용 = 86
2. 수산물 위생 관련법령의 주요 내용 = 91
3. 수산물 유통단계별 주요 법령 = 95
제2절 수산물 위생관리행정(Administration relating to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) = 108
1. 조직과 기구 = 108
2. 정책과정 = 112
3. 수산물 위생행정의 의식수준 = 116
제6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 실태(Status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in Korea) = 119
제1절 수산물 유통단계별 위생관리실태(Actual condition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s by marketing stages) = 120
1. 생산단계(산지)의 위생관리 실태 = 120
2. 유통단계의 위생관리 실태 = 147
3. 소비단계의 위생관리 실태 = 157
제2절 수산식품 HACCP 도입 및 이행실태(Introduction and actual condition on performance of HACCP on marine products) = 164
1. HACCP의 개요 = 165
2. 수산식품 HACCP 도입 및 이행실태 = 169
3. HACCP 국제동향 및 주요국의 HACCP 이행(수산물 중심) = 173
4. 수산식품 위생관리 행정의 문제점 및 단기개선방안 = 180
제3편 주요국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(Status of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 in major countries) = 185
제7장 주요국의 수산물 위생관리제도(The system of hygenic and sanitary on marine products in major countries) = 187
제1절 일본(Japan) = 187
1. 개요 = 187
2. 수산물 위생 관련규정 및 조직 = 188
3. 수산식품의 품질 = 194
4. 검사 및 관리시스템의 기술 = 196
제2절 미국(USA) = 202
1. 개요 = 202
2. 관련규정 및 조직 = 203
제3절 중국(China) = 214
1. 중국 수산물 관련 현황 및 관리체계 = 214
2. 중국 수산물위생 관련 주요 법령 = 216
3. 중국의 수산식품 위생관리제도의 특징과 평가 = 226
제4절 EU = 231
1. EU의 수산식품 위생관련법과 행정 = 231
2. EU의 수산식품 유통단계별 안전성 확보체계 = 240
3. EU의 수산식품 위생관리행정의 특징과 정책적 시사점 = 257
제8장 주요국의 수산물 HACCP 도입실태(The introduction of HACCP in major countries) = 259
제1절 일본(Japan) = 259
1. 일본의 HACCP 제도 = 259
2. 일본의 HACCP 관리 현황 = 261
3. HACCP 시스템운용을 위한 절차 = 265
4. 일반적인 위생관리사항 = 272
5. 영업자의 자주 참여를 위한 관련단체의 역할 = 273
6. 행정(후생성 및 도도부현 등)의 역할 = 275
7. 시설·설비 등에 대한 금융·세제상의 지원 = 277
8. 승인 = 279
9. 일본 HACCP 시스템 도입 효과 = 289
제2절 미국(USA) = 290
1. 미국 내 산업의 HACCP 이행 상황 = 290
2. 패류 부문 = 297
3. 외국 부문(미국으로의 수출업체 위주) = 299
제3절 EU = 304
1. EU의 수산식품 HACCP 제도 = 304
2. EU의 수산식품 HACCP 도입 실태 = 305
제4편 수산물 위생관리제도의 합리적 개선방안(A plan for improvement of hygenic sanitary management system on marine products) = 307
제9장 우리나라의 수산물 위생관리의 문제점과 과제(Problems and tasks of hygienic and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 in Korea.) = 309
제1절 총괄 및 전망(Synopis and prospect) = 309
제2절 수산물 위생관리의 문제점과 과제(Problems and tasks of sanitary management on marine product) = 313
1. SPS 협정 이행을 위한 구체적 실행계획 수립 및 대응 미흡 = 314
2. 수산물의 종합적인 위생관리장치의 부재 = 316
3. 수산물 위생관리에 있어서 이원화 문제(법, 기구) = 317
4. 수산물 위생관리 조직 및 기능상 미비 = 318
5. 사전 예방적 수산물 검사·검역체계의 미비 = 320
6. 수입 수산물 검사·검역 체제상의 과제 = 321
7. 새로운 위생관리 장치의 도입·확산 미흡 = 323
제10장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(A plan for hygenic and sanitary management ensuring seafood safety) = 325
제1절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장단기 위생관리방안(A plan for sanitary management to ensure seafood safety) = 325
1. 수산물 위생관리정책의 기본 개념도 = 325
2. 수산물 위생관리정책의 기본방향 = 327
3. 수산물의 종합적인 위생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검토 = 333
제2절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실천계획(Action plan ensuring marine product safety) = 343
1. 수산물 안전관리센터 활용 = 343
2. 새로운 위생관리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 방안 = 345
3. 수산물 안전성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 = 356
참고문헌(References) = 363
부록(Appendix) = 36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