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전자자료
- KDC
- 529.420732-3
- 청구기호
- 529.420732 해62ㅇ
- 단체저자
- 해양수산부
- 서명/저자
- 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동해 어장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 / 해양수산부 ;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 [공편]
- 발행사항
- [부산] :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, 2004
- 형태사항
- 186 p. : 삽도,지도 ; 전자파일
- 총서명
- 최종연구보고서
- 주기사항
- 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- 주기사항
- 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수록
- 기타저자
-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
- 가격
- 비매품
- Control Number
- maf:19851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EB01099 | EB : 529.420732 해62ㅇ |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 | 대출불가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80402s2004 bnk dGO a korIB
056 ▼a529.420732▼23
090 ▼a529.420732▼b해62ㅇ
110 ▼a해양수산부
24510▼a원격탐사기술을 활용한 동해 어장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▼d해양수산부▼e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 [공편]
260 ▼a[부산]▼b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▼c2004
300 ▼a186 p.▼b삽도,지도▼c전자파일
44000▼a최종연구보고서
50010▼a원문파일(pdf)로만 열람가능
50010▼a책자는 해양수산부 자료실로 이관한 자료임
504 ▼a참고문헌 수록
710 ▼a부경대학교▼b위성정보과학연구소
856 ▼uhttp://library.mafra.go.kr/skyblueimage/eb01099
9501 ▼a비매품
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(The summary of research development task) = 12
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(The necessity of research development) = 12
제2절 연구개발의 최종 목적(The purpose of research development) = 13
제3절 연차별 연구개발목표와 내용(The purpose and content of yearly research development) = 13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(The present state of technique development in home and abroad) = 14
제1절 국내동향(The state in home) = 14
제2절 국외동향(The sate in abroad) = 14
제3절 앞으로 전망(The future pro-spect) = 17
제4절 기술도입의 타당성(The appropriateness of technique importation) = 17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(The results of contents of research development achievement) = 18
제1절 연구내용(The contents of research) = 18
1. 제 1세부과제 : 어장환경 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(The study on the variation and estimate of fisheries conditions) = 18
가. 자료(Data) = 18
(1) 동해의 해양관측자료(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in the East Sea) = 18
(2) 동해의 어황자료(The fishery data in the East Sea) = 19
나. 방법(Methods) = 22
(1) 동해의 해황 분석(The analysis of oceanic conditions) = 22
(2) 웨이브렛 분석 (Wavelet analysis) = 22
2. 제 2세부과제 :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어장환경 모니터링(Fisheries conditions monitoring by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) = 24
가. 자료 및 방법(Data and methods) = 24
(1) 위성관측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(pigment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measured by satellite) = 24
(2) 위성관측 해양표면수온(Sea surface temperature measured by satellite) = 24
(3) 위성관측 야간조업어장(Nighttime fishing ground measured by satellite) = 25
(4) 해양기상(Marine weather conditions) = 26
제2절 연구결과(The results of research) = 27
1. 제 1 세부과제 : 어장환경 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(The study on the varitation and estimate of fisheries conditions in the East Sea) = 27
가. 동해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s) = 30
(1) 동해의 평년 해황(Average oceanic conditions) = 30
(2) 쓰시마난류 분포역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 in the Tsushima Warm Current(TWC) region) = 36
(3) 쓰시마난류의 변동과 동해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the TWC and oceanic conditions) = 48
(4) 엘니뇨와 동해의 해황 변동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 between El Nino and 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) = 58
나. 동해의 어황 변동(The variation of the fisheries conditions) = 63
2. 제 2 세부과제 :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어장환경 모니터링(Fisheries conditions monitoring by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) = 70
가. 해색센서에서 관측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의 분포(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measured by ocean color sensor of satellite) = 70
나. 위성 영상에서 관측한 야간조업 어선의 단기변동(Short term variation of nighttime fishing boats measured by satellite) = 73
다. 위성 관측 야간조업 어선의 경년변화(Annual variation of nighttime fishing boats) = 79
라. 야간조업 어선의 월별분포 및 어장 중심(Monthly distribution and fishing ground center of nighttime fishing boats) = 80
마. 위성관측수온과 현장관측수온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s between sea water temperature measured by satellite and field observation data) = 80
바. 위성 추정 수온과 오징어 어장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s between fishing ground for squid and sea water temperature estimated from satellite) = 81
사. 해표면 바람, 기온, 강수량(Wind,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sea surface) = 81
3. 연구결과 성과(The result of research) = 95
가. 논문게재 실적(Published paper) = 95
나. 연구성과 발표실적(Proceeding) = 96
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(Goal achievement and the contribution to relevant fields) = 97
가.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(Achievement of research development goal) = 97
나. 상기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(Estimation on goal achievement) = 97
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 of research development) = 98
가. 연구내용 및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) = 98
나. 핵심기술(연구내용) 수준 및 활용유형(Level and application types of high technology) = 98
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(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rough abroad research development process) = 99
제7장 참고문헌(Bibliography) = 100
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(The necessity of research development) = 12
제2절 연구개발의 최종 목적(The purpose of research development) = 13
제3절 연차별 연구개발목표와 내용(The purpose and content of yearly research development) = 13
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(The present state of technique development in home and abroad) = 14
제1절 국내동향(The state in home) = 14
제2절 국외동향(The sate in abroad) = 14
제3절 앞으로 전망(The future pro-spect) = 17
제4절 기술도입의 타당성(The appropriateness of technique importation) = 17
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(The results of contents of research development achievement) = 18
제1절 연구내용(The contents of research) = 18
1. 제 1세부과제 : 어장환경 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(The study on the variation and estimate of fisheries conditions) = 18
가. 자료(Data) = 18
(1) 동해의 해양관측자료(Oceanographic observation data in the East Sea) = 18
(2) 동해의 어황자료(The fishery data in the East Sea) = 19
나. 방법(Methods) = 22
(1) 동해의 해황 분석(The analysis of oceanic conditions) = 22
(2) 웨이브렛 분석 (Wavelet analysis) = 22
2. 제 2세부과제 :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어장환경 모니터링(Fisheries conditions monitoring by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) = 24
가. 자료 및 방법(Data and methods) = 24
(1) 위성관측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(pigment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measured by satellite) = 24
(2) 위성관측 해양표면수온(Sea surface temperature measured by satellite) = 24
(3) 위성관측 야간조업어장(Nighttime fishing ground measured by satellite) = 25
(4) 해양기상(Marine weather conditions) = 26
제2절 연구결과(The results of research) = 27
1. 제 1 세부과제 : 어장환경 변동 및 예측에 관한 연구(The study on the varitation and estimate of fisheries conditions in the East Sea) = 27
가. 동해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s) = 30
(1) 동해의 평년 해황(Average oceanic conditions) = 30
(2) 쓰시마난류 분포역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 in the Tsushima Warm Current(TWC) region) = 36
(3) 쓰시마난류의 변동과 동해의 해황 변동(The variation of the TWC and oceanic conditions) = 48
(4) 엘니뇨와 동해의 해황 변동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 between El Nino and 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) = 58
나. 동해의 어황 변동(The variation of the fisheries conditions) = 63
2. 제 2 세부과제 :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어장환경 모니터링(Fisheries conditions monitoring by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) = 70
가. 해색센서에서 관측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의 분포(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of phytoplankton measured by ocean color sensor of satellite) = 70
나. 위성 영상에서 관측한 야간조업 어선의 단기변동(Short term variation of nighttime fishing boats measured by satellite) = 73
다. 위성 관측 야간조업 어선의 경년변화(Annual variation of nighttime fishing boats) = 79
라. 야간조업 어선의 월별분포 및 어장 중심(Monthly distribution and fishing ground center of nighttime fishing boats) = 80
마. 위성관측수온과 현장관측수온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s between sea water temperature measured by satellite and field observation data) = 80
바. 위성 추정 수온과 오징어 어장과의 관계(The relationships between fishing ground for squid and sea water temperature estimated from satellite) = 81
사. 해표면 바람, 기온, 강수량(Wind,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n sea surface) = 81
3. 연구결과 성과(The result of research) = 95
가. 논문게재 실적(Published paper) = 95
나. 연구성과 발표실적(Proceeding) = 96
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(Goal achievement and the contribution to relevant fields) = 97
가. 연구개발 목표의 달성도(Achievement of research development goal) = 97
나. 상기 평가의 착안점에 따른 달성도에 대한 자체평가(Estimation on goal achievement) = 97
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 of the results of research development) = 98
가. 연구내용 및 활용계획(Application plan) = 98
나. 핵심기술(연구내용) 수준 및 활용유형(Level and application types of high technology) = 98
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(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hrough abroad research development process) = 99
제7장 참고문헌(Bibliography) = 1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