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3265 | 523.77 손51ㅇ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70521s2007 ulkacd 001a kor
020 ▼a9788971872185▼g93520▼c\28000
056 ▼a523.77▼24
090 ▼a523.77▼b손51ㅇ
1001 ▼a손상목
24510▼a유기농업▼b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▼d손상목 저
260 ▼a서울▼b향문社▼c2007.
300 ▼a330 p.▼b삽화, 도표, 초상▼c24 cm.
50000▼a권말부록으로 "토양비옥도의 유지 및 증진 기술", "토양미생물" 수록
504 ▼a색인 수록
9500 ▼b\28000
제1장 친환경 유기농업의 등장
1.1 현대농업의 환경오염 = 13
1.2 친환경 유기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 = 17
1.2.1 친환경 유기농업의 정의 = 17
1.2.2 친환경농업의 출현배경 = 19
제2장 유기농업의 역사
2.1 유기농업의 발전과정 = 22
2.2 독일어권 유기농업의 태동과 과학적 정립 = 26
2.2.1 제1단계 성장기(1968~1988 년) = 27
2.2.2 제2단계 성장기(1988 년~현재) = 27
2.3 미국 유기농업 = 28
제3장 유기농업의 개요
3.1 유기농업의 원리 = 31
3.2 유기농업의 환경적 지속성 = 37
3.2.1 토양관리 = 37
3.2.2 에너지 이용 = 38
3.2.3 수질보호 = 38
3.2.4 대기질 = 38
3.2.5 유기성 폐자원 = 39
3.2.6 종다양성 = 39
3.3 유기농업의 주요 기술 = 41
3.3.1 유기농업의 이론 = 41
3.3.2 유기경종의 핵심내용 = 42
3.3.3 유기축산의 핵심내용 = 43
3.4 유기농업으로의 전환 = 44
3.4.1 전환기간 = 45
3.4.2 전환기의 과제 = 45
제4장 유기농업의 경종기술
4.1 토양의 양분관리 = 47
4.1.1 식물영양과 식물건강 = 48
합성비료의 장점과 단점 = 48
4.1.2 토양유기물 관리를 통한 양분공급 = 49
4.1.3 주요 식물양분과 이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가? = 51
다량 및 미량 양분요소 = 51
4.1.4 양분의 순환(영농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양분관리) = 55
(1) 자연에서의 양분재순환 = 55
(2) 농장에서의 양분재순환 = 55
4.2 혼작과 윤작 = 58
4.2.1 양분관리를 위한 작물 다양성 = 59
(1) 작물마다 근권분포가 각기 다르다는 점 = 59
(2) 작물마다의 각기 다른 요구조건 = 59
4.2.2 혼작 = 60
(1) 혼작의 장점 = 61
(2) 혼작의 방식 = 61
(3) 혼작시 유의사항 = 63
(4) 혼작의 예 = 63
4.2.3 윤작 = 63
(1) 연작의 문제점 = 63
(2) 윤작의 장점 = 63
4.3 퇴비 = 65
4.3.1 유기질 비료와 그 유용성 = 65
4.3.2 자가농장 내 퇴비의 적절한 활용 = 67
4.3.3 상업용 유기질 퇴비 = 68
4.3.4 유기질 액비 = 70
4.3.5 무기성분을 함유한 토양첨가제 = 70
4.3.6 미생물 제제 = 71
4.4 퇴비화 = 74
4.4.1 퇴비화 과정 = 74
(1) 발열단계 = 74
(2) 감열단계 = 75
(3) 숙성단계 = 75
4.4.2 퇴비제조의 이유 = 75
퇴비의 장점 = 76
4.4.3 양질의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 = 77
(1) 퇴비생산 체제, 시스템과 방법 = 77
(2) 퇴비 모재료의 선택 = 79
(3) 모재료와 더미 크기, 혼합비의 결정 = 79
(4) 퇴비더미 쌓기 = 81
(5) 퇴비환적 = 82
(6) 퇴비의 시용 = 83
4.5 녹비작물 = 84
4.5.1 녹비작물이란 무엇인가? = 84
4.5.2 녹비작물의 장점과 한계 = 86
4.5.3 질소고정 식물 = 87
(1) 질소고정 과정 = 87
(2) 질소고정 관목 = 89
(3) 질소고정 나무의 장점 = 89
4.5.4 녹비작물의 이용방법 = 90
(1) 녹비작물의 파종 = 90
(2) 녹비작물의 토양 내 혼입 = 90
(3) 적합한 녹비작물의 선택 = 91
4.6 병충해 제어 = 92
4.6.1 유기농업의 병충해 제어법 = 96
(1) 경종적 제어법 = 96
(2) 생물학적 제어법 = 98
(3) 물리적(기계적) 제어법 = 100
4.6.2 유기농업에 있어서의 병충해 제어 = 100
(1) 작물체의 건강 = 102
(2) 치료적 작물보호 = 110
4.7 천적 = 112
4.7.1 병충해의 생태학 = 112
(1) 해충의 생활사 = 113
(2) 곤충키우기 = 114
(3) 천적과 피식자 밀도의 변화 = 115
(4) 농약의 영향 = 115
4.7.2 천적 이용의 조장 = 117
(1) 천적과 그 이용 = 117
(2) 천적의 특징 = 117
(3) 천적의 이용과 관리 = 118
4.7.3 생물학적 방제 = 119
(1) 천적의 출현 = 120
(2) 경쟁미생물의 사용 = 120
4.8 생물농약 = 121
4.8.1 식물추출농약 = 122
4.8.2 식물추출농약 사용을 위한 준비 = 122
(1) 님 = 123
(2) 제충국 = 123
(3) 바이오밥 = 124
4.8.3 기타 추출농약 = 124
(1) 병원균 제어 = 124
(2) 해충 제어 = 125
4.9 잡초제어 = 125
4.9.1 잡초의 생태 = 125
4.9.2 잡초제어 = 127
(1) 예방적 방책과 잡초의 억제 = 127
(2) 기계적 제어 = 129
(3) 화염제초 = 129
(4) 윤작에 의한 잡초제어 = 130
제5장 토양비옥도의 관리
5.1 토양은 살아 있는 유기체 = 131
5.1.1 토양의 조직과 구성 = 131
(1) 무기물 입자 = 131
(2) 토양유기물 = 132
(3) 토양의 구조 = 132
(4) 토양실험 = 133
5.1.2 토양은 소우주 = 134
(1) 토양생물(적인가 동지인가?) = 136
(2) 지렁이(소중한 협력자) = 136
(3) 균근(유용 곰팡이) = 137
5.2 토양비옥도 증진 = 138
5.2.1 비옥한 토양을 어떻게 만드는가? = 139
(1) 토양비옥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= 139
(2) 토양비옥도의 유지, 증진책 = 140
(3) 토양(근권의 왕국) = 141
(4) 어떻게 토양구조를 개선할 것인가? = 142
5.2.2 토양유기물의 중요성 = 144
(1) 토양유기물의 형성 = 144
(2) 유기물은 왜 중요한가? = 145
(3) 유기물의 양분 흡착 및 방출 = 146
(4)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= 147
(5) 분해성 유기성 재료의 부족 = 149
(6) 농장 내에서 더 많은 양의 생물체량을 생산하는 방법 = 150
5.3 토양관리와 경운 = 151
5.3.1 토양관리의 목적 = 151
(1) 식물에 적합한 생장조건의 제공 = 151
(2) 경운에 의한 피해 최소화 = 152
(3) 토양 답압화 = 154
5.3.2 토양관리법 = 155
토양경운의 유형 = 155
5.4 토양유실 = 156
5.4.1 토양유실의 대책 = 157
(1) 토양유실의 징후 = 157
(2) 토양유실의 방지책 = 157
5.4.2 식물피복 = 158
(1) 자연림으로부터 배울 몇 가지 = 158
(2) 토양을 보호하는 조밀한 초생 = 159
(3) 피복작물 = 159
(4) 작부체계 세우기 = 160
5.4.3 토양유실에 대비한 구조물 = 161
(1) 등고선 확인 = 161
(2) 토양유실 방지 구조물 = 162
5.5 토양피복 = 162
5.5.1 피복의 이유 = 163
(1) 피복의 목적 = 163
(2) 피복재료의 선정 = 163
5.5.2 피복의 문제점 = 164
5.5.3 피복의 이용 = 166
제6장 윤작 작부체계
6.1 윤작의 필요성 = 167
6.2 작부체계와 연작장해 = 171
6.2.1 연작에 의한 양분균형 파괴 = 171
6.2.2 독성물질 축적과 전ㆍ후작 관계 = 172
6.2.3 병해충과 전ㆍ후작 관계 = 173
6.3 윤작의 원칙과 효과 = 174
6.3.1 재배작목의 가치 = 175
6.3.2 지력증진 효과 = 176
6.3.3 양분보전의 기여도 = 179
6.3.4 토양물리성 개선과 양분의 수직적 순환 = 181
6.3.5 병충해 제어 = 182
6.3.6 잡초제어 = 185
6.3.7 기지현상의 예방 = 187
6.4 윤작의 사례 = 187
제7장 유기축산
7.1 유기축산 = 193
7.1.1 가축사양의 역할 = 194
(1) 농장 내에서의 가축사양 = 194
(2) 가축을 사육해야 할 이유들 = 195
(3) 가축사육의 의사결정 = 196
7.1.2 유기가축의 요구사항 = 197
(1) 무엇을 가축이 요구하는가? = 197
(2) 국제유기농업규격에서 규정하는 유기축산 = 198
(3) 사육해야 할 가축 마릿수의 결정 = 199
7.1.3 축사 = 199
축사구조 계획 = 199
7.2 동물복리 = 203
7.2.1 유기축산의 동물복리 = 203
7.2.2 동물의 신체훼손에 관한 사항 = 204
7.2.3 수송과 도축 = 205
7.3 사료 = 206
7.3.1 균형식(balanced diet) = 206
가축사료의 요구 = 206
7.3.2 유기사료작물 생산 = 207
(1) 방목과 축사 내 사양 = 207
(2) 사료작물의 자가생산 = 208
(3) 초지관리 = 209
7.3.3 유기한우 생산을 위한 사료확보 모델 = 210
7.3.4 유기사료 확보방안 = 211
(1) 유기 조사료 = 211
(2) 유기곡류 사료 생산 = 212
(3) 유기농 부산물 = 212
(4) 방목초지 개량과 유기 퇴비의 환원 = 213
7.4 가축건강과 사양 = 213
7.4.1 건강하게 사육하기 = 213
(1) 가축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= 213
(2) 치료보다 예방이 우선 = 214
7.4.2 수의처방 = 215
(1) IFOAM 기본규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의처방 = 215
(2) 약초치료법 = 216
7.4.3 유기축산 사양 = 218
(1) 원칙과 방법 = 218
(2) 가축사양 목표 = 218
(3) 고생산성 및 장기간 생산 = 219
제8장 유기농 규정과 인증
8.1 유기농 규정 = 221
8.1.1 FAO/WHO Codex 유기식품규격 = 222
국제유기식품 기준 = 224
8.1.2 국제규격의 불공정성 = 225
8.2 유기농 인증 = 226
8.2.1 유럽의 인증제도 = 227
8.2.2 미국의 인증제도 = 230
8.2.3 중국의 인증제도 = 231
8.2.4 일본의 인증제도 = 234
8.2.5 우리나라의 인증제도 = 240
(1) 친환경농산물의 인증 종류 = 240
(2) 인증 현황 = 241
8.2.6 민간인증제도 = 243
(1) 국가의 민간인증기관에 대한 관리감독 업무 범위 및 방법 = 243
(2) 조사관의 자질향상 및 인증위원회 위원의 전문성 확보 = 244
제9장 세계의 유기농업
9.1 세계의 유기농업 = 246
9.1.1 유기농산물의 시장 동향 = 248
(1) 유럽 = 248
(2) 북아메리카 = 248
(3) 아시아 = 249
(4) 오세아니아 = 251
9.2 유럽의 유기농업 = 251
9.2.1 독일 = 255
(1) 독일유기농업의 발전 = 255
(2) 유기농 생산자단체 = 256
(3) 유기농장의 지역적 분포 = 259
(4) 기본규약과 규정 = 259
(5) 인증단체와 감독당국 = 260
(6) 유기재배면적과 유기축산 = 261
(7) 유기식품 유통 = 261
(8) 유기농업 지원책 = 262
(9) 지원정책 = 265
(10) 유기농법 기술지도 = 265
(11) 유기농업 연구 및 훈련과정 = 267
(12) 당면과제 = 268
(13) 유기농업의 경영구조와 경영성과 = 268
9.2.2 스위스 = 270
9.3 유기농업 단체와 활동 = 273
9.3.1 IFOAM = 273
9.3.2 ISOFAR = 274
9.3.3 ARNOA = 275
제10장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태동, 발전 및 현황
10.1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태동과 발전 = 277
10.2 우리나라의 친환경 유기농업 현황 = 283
10.2.1 친환경농업 추진현황 = 283
(1) 친환경농업의 개념 = 283
(2) 친환경농업 추진의 동향 = 284
(3) 친환경농업 추진경위 = 284
(4)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= 284
(5) 친환경농산물 유통현황 = 285
10.3 친환경농업의 정책 방향과 추진목표 = 286
10.3.1 친환경농자재 지원 확대 = 286
10.3.2 친환경농업직접지불 제도 = 287
10.3.3 친환경농업 기반확충 및 실천농가 지원 = 287
(1) 친환경농업지구조성사업 = 287
(2) 광역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= 288
(3) 원예작물 천적해충 방제사업 = 288
10.3.4 친환경농산물 유통 활성화 및 소비촉진 유도 = 288
10.3.5 친환경농산물 인증 제도 개선방향 = 289
10.3.6 친환경농업 대상의 제정ㆍ시행 = 289
10.3.7 친환경농업 행정 전담 조직의 확대 추진 = 290
10.3.8 종합농토배양 추진 = 290
(1) 토양개량제(석회ㆍ규산) 공급 = 290
(2) 객토사업 추진 = 291
(3) 푸른들가꾸기 = 291
10.3.9 가축분뇨자원화로 자연순환농업 추진 = 291
제11장 유기농업과 생태마을
11.1 생태마을의 목표 = 293
11.2 생태마을 조성의 주요 기술 = 297
11.2.1 재생에너지 = 297
(1) 풍력발전장치 = 297
(2) 생물체량 = 299
(3) 태양에너지 집열기와 태양열난방 = 299
11.2.2 생태건축 = 299
11.2.3 메탄가스발생시설 = 302
11.2.4 친환경오폐수 처리장치 Living Machine = 304
11.2.5 유기농업 = 307
11.3 국내외 생태마을 = 308
11.3.1 생태마을의 기원과 해외 생태마을 = 308
11.3.2 국내의 생태마을 = 309
제12장 부록
12.1 토양비옥도의 유지 및 증진 기술 = 312
12.1.1 유기질 비료의 시용 효과 = 312
12.1.2 국제유기농업규격과 한국토착유기농법의 토양비옥도 유지 및 증진책 비교 = 313
12.1.3 유기질 비료 최적시비량 처방 = 317
(1) 유기질 비료의 질소 가급화비율 = 317
(2)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질 비료 최적시비량 처방이론 = 319
12.2 토양미생물 = 323
찾아보기 = 327
INDEX = 329
1.1 현대농업의 환경오염 = 13
1.2 친환경 유기농업의 정의와 출현배경 = 17
1.2.1 친환경 유기농업의 정의 = 17
1.2.2 친환경농업의 출현배경 = 19
제2장 유기농업의 역사
2.1 유기농업의 발전과정 = 22
2.2 독일어권 유기농업의 태동과 과학적 정립 = 26
2.2.1 제1단계 성장기(1968~1988 년) = 27
2.2.2 제2단계 성장기(1988 년~현재) = 27
2.3 미국 유기농업 = 28
제3장 유기농업의 개요
3.1 유기농업의 원리 = 31
3.2 유기농업의 환경적 지속성 = 37
3.2.1 토양관리 = 37
3.2.2 에너지 이용 = 38
3.2.3 수질보호 = 38
3.2.4 대기질 = 38
3.2.5 유기성 폐자원 = 39
3.2.6 종다양성 = 39
3.3 유기농업의 주요 기술 = 41
3.3.1 유기농업의 이론 = 41
3.3.2 유기경종의 핵심내용 = 42
3.3.3 유기축산의 핵심내용 = 43
3.4 유기농업으로의 전환 = 44
3.4.1 전환기간 = 45
3.4.2 전환기의 과제 = 45
제4장 유기농업의 경종기술
4.1 토양의 양분관리 = 47
4.1.1 식물영양과 식물건강 = 48
합성비료의 장점과 단점 = 48
4.1.2 토양유기물 관리를 통한 양분공급 = 49
4.1.3 주요 식물양분과 이를 어떻게 공급할 것인가? = 51
다량 및 미량 양분요소 = 51
4.1.4 양분의 순환(영농현장에서의 효과적인 양분관리) = 55
(1) 자연에서의 양분재순환 = 55
(2) 농장에서의 양분재순환 = 55
4.2 혼작과 윤작 = 58
4.2.1 양분관리를 위한 작물 다양성 = 59
(1) 작물마다 근권분포가 각기 다르다는 점 = 59
(2) 작물마다의 각기 다른 요구조건 = 59
4.2.2 혼작 = 60
(1) 혼작의 장점 = 61
(2) 혼작의 방식 = 61
(3) 혼작시 유의사항 = 63
(4) 혼작의 예 = 63
4.2.3 윤작 = 63
(1) 연작의 문제점 = 63
(2) 윤작의 장점 = 63
4.3 퇴비 = 65
4.3.1 유기질 비료와 그 유용성 = 65
4.3.2 자가농장 내 퇴비의 적절한 활용 = 67
4.3.3 상업용 유기질 퇴비 = 68
4.3.4 유기질 액비 = 70
4.3.5 무기성분을 함유한 토양첨가제 = 70
4.3.6 미생물 제제 = 71
4.4 퇴비화 = 74
4.4.1 퇴비화 과정 = 74
(1) 발열단계 = 74
(2) 감열단계 = 75
(3) 숙성단계 = 75
4.4.2 퇴비제조의 이유 = 75
퇴비의 장점 = 76
4.4.3 양질의 퇴비를 제조하는 방법 = 77
(1) 퇴비생산 체제, 시스템과 방법 = 77
(2) 퇴비 모재료의 선택 = 79
(3) 모재료와 더미 크기, 혼합비의 결정 = 79
(4) 퇴비더미 쌓기 = 81
(5) 퇴비환적 = 82
(6) 퇴비의 시용 = 83
4.5 녹비작물 = 84
4.5.1 녹비작물이란 무엇인가? = 84
4.5.2 녹비작물의 장점과 한계 = 86
4.5.3 질소고정 식물 = 87
(1) 질소고정 과정 = 87
(2) 질소고정 관목 = 89
(3) 질소고정 나무의 장점 = 89
4.5.4 녹비작물의 이용방법 = 90
(1) 녹비작물의 파종 = 90
(2) 녹비작물의 토양 내 혼입 = 90
(3) 적합한 녹비작물의 선택 = 91
4.6 병충해 제어 = 92
4.6.1 유기농업의 병충해 제어법 = 96
(1) 경종적 제어법 = 96
(2) 생물학적 제어법 = 98
(3) 물리적(기계적) 제어법 = 100
4.6.2 유기농업에 있어서의 병충해 제어 = 100
(1) 작물체의 건강 = 102
(2) 치료적 작물보호 = 110
4.7 천적 = 112
4.7.1 병충해의 생태학 = 112
(1) 해충의 생활사 = 113
(2) 곤충키우기 = 114
(3) 천적과 피식자 밀도의 변화 = 115
(4) 농약의 영향 = 115
4.7.2 천적 이용의 조장 = 117
(1) 천적과 그 이용 = 117
(2) 천적의 특징 = 117
(3) 천적의 이용과 관리 = 118
4.7.3 생물학적 방제 = 119
(1) 천적의 출현 = 120
(2) 경쟁미생물의 사용 = 120
4.8 생물농약 = 121
4.8.1 식물추출농약 = 122
4.8.2 식물추출농약 사용을 위한 준비 = 122
(1) 님 = 123
(2) 제충국 = 123
(3) 바이오밥 = 124
4.8.3 기타 추출농약 = 124
(1) 병원균 제어 = 124
(2) 해충 제어 = 125
4.9 잡초제어 = 125
4.9.1 잡초의 생태 = 125
4.9.2 잡초제어 = 127
(1) 예방적 방책과 잡초의 억제 = 127
(2) 기계적 제어 = 129
(3) 화염제초 = 129
(4) 윤작에 의한 잡초제어 = 130
제5장 토양비옥도의 관리
5.1 토양은 살아 있는 유기체 = 131
5.1.1 토양의 조직과 구성 = 131
(1) 무기물 입자 = 131
(2) 토양유기물 = 132
(3) 토양의 구조 = 132
(4) 토양실험 = 133
5.1.2 토양은 소우주 = 134
(1) 토양생물(적인가 동지인가?) = 136
(2) 지렁이(소중한 협력자) = 136
(3) 균근(유용 곰팡이) = 137
5.2 토양비옥도 증진 = 138
5.2.1 비옥한 토양을 어떻게 만드는가? = 139
(1) 토양비옥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= 139
(2) 토양비옥도의 유지, 증진책 = 140
(3) 토양(근권의 왕국) = 141
(4) 어떻게 토양구조를 개선할 것인가? = 142
5.2.2 토양유기물의 중요성 = 144
(1) 토양유기물의 형성 = 144
(2) 유기물은 왜 중요한가? = 145
(3) 유기물의 양분 흡착 및 방출 = 146
(4)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= 147
(5) 분해성 유기성 재료의 부족 = 149
(6) 농장 내에서 더 많은 양의 생물체량을 생산하는 방법 = 150
5.3 토양관리와 경운 = 151
5.3.1 토양관리의 목적 = 151
(1) 식물에 적합한 생장조건의 제공 = 151
(2) 경운에 의한 피해 최소화 = 152
(3) 토양 답압화 = 154
5.3.2 토양관리법 = 155
토양경운의 유형 = 155
5.4 토양유실 = 156
5.4.1 토양유실의 대책 = 157
(1) 토양유실의 징후 = 157
(2) 토양유실의 방지책 = 157
5.4.2 식물피복 = 158
(1) 자연림으로부터 배울 몇 가지 = 158
(2) 토양을 보호하는 조밀한 초생 = 159
(3) 피복작물 = 159
(4) 작부체계 세우기 = 160
5.4.3 토양유실에 대비한 구조물 = 161
(1) 등고선 확인 = 161
(2) 토양유실 방지 구조물 = 162
5.5 토양피복 = 162
5.5.1 피복의 이유 = 163
(1) 피복의 목적 = 163
(2) 피복재료의 선정 = 163
5.5.2 피복의 문제점 = 164
5.5.3 피복의 이용 = 166
제6장 윤작 작부체계
6.1 윤작의 필요성 = 167
6.2 작부체계와 연작장해 = 171
6.2.1 연작에 의한 양분균형 파괴 = 171
6.2.2 독성물질 축적과 전ㆍ후작 관계 = 172
6.2.3 병해충과 전ㆍ후작 관계 = 173
6.3 윤작의 원칙과 효과 = 174
6.3.1 재배작목의 가치 = 175
6.3.2 지력증진 효과 = 176
6.3.3 양분보전의 기여도 = 179
6.3.4 토양물리성 개선과 양분의 수직적 순환 = 181
6.3.5 병충해 제어 = 182
6.3.6 잡초제어 = 185
6.3.7 기지현상의 예방 = 187
6.4 윤작의 사례 = 187
제7장 유기축산
7.1 유기축산 = 193
7.1.1 가축사양의 역할 = 194
(1) 농장 내에서의 가축사양 = 194
(2) 가축을 사육해야 할 이유들 = 195
(3) 가축사육의 의사결정 = 196
7.1.2 유기가축의 요구사항 = 197
(1) 무엇을 가축이 요구하는가? = 197
(2) 국제유기농업규격에서 규정하는 유기축산 = 198
(3) 사육해야 할 가축 마릿수의 결정 = 199
7.1.3 축사 = 199
축사구조 계획 = 199
7.2 동물복리 = 203
7.2.1 유기축산의 동물복리 = 203
7.2.2 동물의 신체훼손에 관한 사항 = 204
7.2.3 수송과 도축 = 205
7.3 사료 = 206
7.3.1 균형식(balanced diet) = 206
가축사료의 요구 = 206
7.3.2 유기사료작물 생산 = 207
(1) 방목과 축사 내 사양 = 207
(2) 사료작물의 자가생산 = 208
(3) 초지관리 = 209
7.3.3 유기한우 생산을 위한 사료확보 모델 = 210
7.3.4 유기사료 확보방안 = 211
(1) 유기 조사료 = 211
(2) 유기곡류 사료 생산 = 212
(3) 유기농 부산물 = 212
(4) 방목초지 개량과 유기 퇴비의 환원 = 213
7.4 가축건강과 사양 = 213
7.4.1 건강하게 사육하기 = 213
(1) 가축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= 213
(2) 치료보다 예방이 우선 = 214
7.4.2 수의처방 = 215
(1) IFOAM 기본규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수의처방 = 215
(2) 약초치료법 = 216
7.4.3 유기축산 사양 = 218
(1) 원칙과 방법 = 218
(2) 가축사양 목표 = 218
(3) 고생산성 및 장기간 생산 = 219
제8장 유기농 규정과 인증
8.1 유기농 규정 = 221
8.1.1 FAO/WHO Codex 유기식품규격 = 222
국제유기식품 기준 = 224
8.1.2 국제규격의 불공정성 = 225
8.2 유기농 인증 = 226
8.2.1 유럽의 인증제도 = 227
8.2.2 미국의 인증제도 = 230
8.2.3 중국의 인증제도 = 231
8.2.4 일본의 인증제도 = 234
8.2.5 우리나라의 인증제도 = 240
(1) 친환경농산물의 인증 종류 = 240
(2) 인증 현황 = 241
8.2.6 민간인증제도 = 243
(1) 국가의 민간인증기관에 대한 관리감독 업무 범위 및 방법 = 243
(2) 조사관의 자질향상 및 인증위원회 위원의 전문성 확보 = 244
제9장 세계의 유기농업
9.1 세계의 유기농업 = 246
9.1.1 유기농산물의 시장 동향 = 248
(1) 유럽 = 248
(2) 북아메리카 = 248
(3) 아시아 = 249
(4) 오세아니아 = 251
9.2 유럽의 유기농업 = 251
9.2.1 독일 = 255
(1) 독일유기농업의 발전 = 255
(2) 유기농 생산자단체 = 256
(3) 유기농장의 지역적 분포 = 259
(4) 기본규약과 규정 = 259
(5) 인증단체와 감독당국 = 260
(6) 유기재배면적과 유기축산 = 261
(7) 유기식품 유통 = 261
(8) 유기농업 지원책 = 262
(9) 지원정책 = 265
(10) 유기농법 기술지도 = 265
(11) 유기농업 연구 및 훈련과정 = 267
(12) 당면과제 = 268
(13) 유기농업의 경영구조와 경영성과 = 268
9.2.2 스위스 = 270
9.3 유기농업 단체와 활동 = 273
9.3.1 IFOAM = 273
9.3.2 ISOFAR = 274
9.3.3 ARNOA = 275
제10장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태동, 발전 및 현황
10.1 우리나라 유기농업의 태동과 발전 = 277
10.2 우리나라의 친환경 유기농업 현황 = 283
10.2.1 친환경농업 추진현황 = 283
(1) 친환경농업의 개념 = 283
(2) 친환경농업 추진의 동향 = 284
(3) 친환경농업 추진경위 = 284
(4) 친환경농산물 생산현황 = 284
(5) 친환경농산물 유통현황 = 285
10.3 친환경농업의 정책 방향과 추진목표 = 286
10.3.1 친환경농자재 지원 확대 = 286
10.3.2 친환경농업직접지불 제도 = 287
10.3.3 친환경농업 기반확충 및 실천농가 지원 = 287
(1) 친환경농업지구조성사업 = 287
(2) 광역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= 288
(3) 원예작물 천적해충 방제사업 = 288
10.3.4 친환경농산물 유통 활성화 및 소비촉진 유도 = 288
10.3.5 친환경농산물 인증 제도 개선방향 = 289
10.3.6 친환경농업 대상의 제정ㆍ시행 = 289
10.3.7 친환경농업 행정 전담 조직의 확대 추진 = 290
10.3.8 종합농토배양 추진 = 290
(1) 토양개량제(석회ㆍ규산) 공급 = 290
(2) 객토사업 추진 = 291
(3) 푸른들가꾸기 = 291
10.3.9 가축분뇨자원화로 자연순환농업 추진 = 291
제11장 유기농업과 생태마을
11.1 생태마을의 목표 = 293
11.2 생태마을 조성의 주요 기술 = 297
11.2.1 재생에너지 = 297
(1) 풍력발전장치 = 297
(2) 생물체량 = 299
(3) 태양에너지 집열기와 태양열난방 = 299
11.2.2 생태건축 = 299
11.2.3 메탄가스발생시설 = 302
11.2.4 친환경오폐수 처리장치 Living Machine = 304
11.2.5 유기농업 = 307
11.3 국내외 생태마을 = 308
11.3.1 생태마을의 기원과 해외 생태마을 = 308
11.3.2 국내의 생태마을 = 309
제12장 부록
12.1 토양비옥도의 유지 및 증진 기술 = 312
12.1.1 유기질 비료의 시용 효과 = 312
12.1.2 국제유기농업규격과 한국토착유기농법의 토양비옥도 유지 및 증진책 비교 = 313
12.1.3 유기질 비료 최적시비량 처방 = 317
(1) 유기질 비료의 질소 가급화비율 = 317
(2) 토양검정에 의한 유기질 비료 최적시비량 처방이론 = 319
12.2 토양미생물 = 323
찾아보기 = 327
INDEX = 32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