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단행본
- ISBN
- 8978396151 93530\25000
- KDC
- 522.16-4
- 청구기호
- 522.16 대91ㄴ
- 단체저자
- 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
- 서명/저자
-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/ 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 편저
- 발행사항
- 서울 : 보성각, 2006
- 형태사항
- 519 p. : 삽도, 지도 ; 26 cm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수록
- 키워드
- 농촌문제
- 가격
- \25000
- Control Number
- maf:14261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2211 | 522.16 대91ㄴ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60928s2006 ulkab 000a kor
020 ▼a8978396151▼g93530▼c\25000
056 ▼a522.16▼24
090 ▼a522.16▼b대91ㄴ
110 ▼a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
24500▼a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▼d대한국토·도시계획학회 편저
260 ▼a서울▼b보성각▼c2006
300 ▼a519 p.▼b삽도, 지도▼c26 cm
504 ▼a참고문헌 수록
653 ▼a농촌문제
9500 ▼b\25000
『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』 교재를 내면서 = 3
제Ⅰ편 농촌계획의 위상과 과제
제1장 한국 농촌계획의 변화와 방향 / 윤원근 = 27
1.1 여건변화와 농촌계획 = 28
1.2 농촌계획의 시대적 변천과 유형 = 29
1.2.1 농업기반사업형 농촌계획 = 29
1.2.2 농촌마을계획형 농촌계획 = 30
1.2.3 지역농업계획형 농촌계획 = 31
1.2.4 기본구상형 농촌계획 = 32
1.2.5 지역계획형 농촌계획 = 33
1.3 한국 농촌계획의 흐름과 방향정립 = 35
1.3.1 새로운 가치영역의 방향정립 = 35
1.3.2 이론영역의 방향정립 = 36
1.3.3 실천영역의 방향정립 = 39
1.4 한국농촌계획 개념정립을 위한 과제 = 41
1.4.1 가치영역의 과제 = 41
1.4.2 이론영역의 과제 = 42
1.4.3 실천영역의 과제 = 44
제2장 농촌정책의 전개와 평가 / 이병기 = 49
2.1 농촌정책의 이론적 배경 = 50
2.1.1 농촌문제의 인식 = 50
2.1.2 농촌개발 이론의 흐름 = 52
2.2 한국 농촌정책의 전개과정 : 농촌생활환경정비정책을 중심으로 = 65
2.2.1 농촌생활환경 정비정책의 발전단계 = 66
2.2.2 농촌생활환경 정비정책 전개과정의 특징 = 70
2.3 농촌정책의 평가 = 73
2.3.1 농촌개발 이론의 적실성 문제 = 73
2.3.2 농촌생활환경정비 정책의 문제점 = 75
제3장 농촌정주체계의 변화와 평가 / 정철모 = 87
3.1 농촌공간의 구성과 계층체계의 형성 = 88
3.1.1 전통적인 농촌공간의 구성 = 88
3.1.2 농촌공간의 유형과 계층체계 = 89
3.2 농촌정주체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= 92
3.2.1 농촌정주체계 설정의 필요성 = 92
3.2.2 농촌정주체계의 이론적 접근 = 93
3.3 21세기 농촌공간의 성격 및 패러다임변화 = 107
3.4 지속가능한 농촌정주체계의 기본틀 및 대응과제 = 110
3.4.1 지속가능한 농촌정주체계 설정을 위한 기본틀 = 110
3.4.2 농촌정주체계의 합리적 개편과제 = 112
제4장 농촌의 토지이용 현황과 계획체계 / 송미령 = 117
4.1 농촌 토지이용계획의 여건 = 118
4.1.1 농촌의 범위 = 118
4.1.2 계획 대상으로서 농촌의 문제 = 120
4.2 농촌계획의 존재 의의와 새로운 토지이용질서로의 이행 = 128
4.2.1 국토공간 속에서 농촌의 역할과 미래상 = 128
4.2.2 농촌계획의 존재 의의 = 129
4.2.3 새로운 토지이용 계획체계의 구축과 농촌 지역계획 및 개발에의 영향 = 131
4.3 농촌 토지이용계획의 향후 과제 = 149
4.3.1 도농통합적 계획으로서 도시(군)계획의 위상 정립 = 149
4.3.2 커뮤니티 중심 계획의 제도화 및 주민협정의 활용 = 150
4.3.3 계획의 실현을 위한 체계적 사업 추진체계 구축 = 151
4.3.4 합리적 세제개혁 방안 개발 = 152
4.3.5 계획 역량 및 기술 수준의 제고 = 153
4.3.6 농지, 농촌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변화 = 154
제Ⅱ편 농촌공간의 유형화와 계획수립
제1장 농촌의 유형화와 발전 방향 / 성주인 = 159
1.1 농촌 유형화의 의의와 몇 가지 쟁점 = 160
1.1.1 농촌 유형화의 의의 = 160
1.1.2 농촌 유형화의 목적 = 161
1.1.3 유형화에 이용하는 변수와 유형화 방법 문제 = 164
1.1.4 농촌 유형화의 공간 단위 문제 = 165
1.2 주요 농촌 유형화 연구 사례 검토 및 평가 = 166
1.2.1 시ㆍ군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66
1.2.2 읍ㆍ면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69
1.2.3 마을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72
1.2.4 농촌 유형화 연구 결과의 몇 가지 정책 활용 사레 = 173
1.2.5 기존의 농촌 유형화 사례 평가 = 176
1.3 농촌의 유형화 예시 = 178
1.3.1 유형화의 목적과 방법 = 178
1.3.2 유형별 시, 군 분포 양상 및 특성 비교 = 181
1.4 유형별 발전 방향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= 185
1.4.1 농촌의 유형별 발전 방향 = 185
1.4.2 농촌의 여건 변화와 앞으로의 유형화 연구 과제 = 186
제2장 농촌마을계획 / 박윤호 = 191
2.1 농촌마을의 현황 = 192
2.1.1 농촌마을의 여건변화 = 192
2.1.2 농촌마을의 현황과 실태 = 194
2.2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추진실태 = 194
2.2.1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변천 = 194
2.2.2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현황과 추진실적 = 196
2.2.3 농촌마을정비 관련사업에 대한 평가 = 203
2.3 농촌마을계획의 추진방향 = 207
2.3.1 농촌마을의 변화전망 = 207
2.3.2 농촌마을의 계획방향 = 208
2.4 농촌마을의 계획 = 215
2.4.1 계획수립의 절차 = 215
2.4.2 농촌마을계획 사례 = 217
2.5 농촌마을계획의 과제와 향후 추진방향 = 229
제3장 소도읍계획 / 김정연 = 235
3.1 소도읍의 개념과 기능 = 236
3.1.1 소도읍의 개념 = 236
3.1.2 소도읍의 기능과 역할 = 237
3.2 소도읍의 실태와 잠재력 = 239
3.2.1 소도읍 현상과 문제점 = 239
3.2.2 여건변화와 소도읍의 새로운 가능성 = 249
3.3 소도읍의 육성방향과 전략 = 252
3.3.1 소도읍 육성의 기본방향 = 252
3.3.2 소도읍의 육성목표와 전략 = 253
3.4 부문별 주요 시책과제 = 256
3.4.1 지역산업 진흥 = 256
3.4.2 도시기반시설 정비 = 257
3.4.3 생활환경 개선 및 복지 증진 = 258
3.4.4 역사ㆍ문화ㆍ경관의 관리와 마케팅 = 258
3.5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추진과정과 주요 내용 = 260
3.5.1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추진절차 = 260
3.5.2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주요 내용 = 261
3.5.3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작성과정 = 262
3.6 추진체계의 구성ㆍ운영 및 접근방법 = 263
3.6.1 추진체계의 구성ㆍ운영 = 263
3.6.2 성공적인 계획수립의 조건 = 263
3.7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작성방법 = 266
3.7.1 소도읍의 현황과 개발여건 분석 = 266
3.7.2 기본구상 = 269
3.7.3 부문별 사업계획 = 271
3.7.4 집행 및 관리계획 = 274
3.7.5 개발효과 분석 = 274
제4장 어촌계획 / 김성귀 = 277
4.1 어촌의 현황 및 문제점 = 278
4.2 어촌의 특성 및 계획 목적 = 284
4.2.1 어촌의 유형 및 개발 방향 = 284
4.2.2 어촌개발의 위치와 현행 수행 체계 = 287
4.2.3 중심어촌계 평가 = 293
4.3 계획 사례 = 302
4.3.1 권역 및 중심어촌 현황 = 302
4.3.2 중심어촌 투자 계획 = 304
제5장 산촌계획 / 장우환 = 309
5.1 산촌의 현황 및 문제점 = 310
5.1.1 산촌의 개념 = 310
5.1.2 산촌의 범위 = 311
5.1.3 산촌의 실태 = 312
5.1.4 산촌의 문제점 = 315
5.2 산촌의 특성 및 계획 내용 = 317
5.2.1 산촌의 특성 = 317
5.2.2 산촌계획 수립의 목적 = 319
5.3 산촌계획의 추진방향 = 325
5.3.1 산촌의 여건변화와 전망 = 325
5.3.2 산촌계획 수립의 절차 = 327
5.3.3 산촌계획 사례 : 충남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= 328
5.3.4 산촌계획의 과제와 향후 추진방향 = 336
제Ⅲ편 농촌자원의 발굴과 계획수립
제1장 농촌 어메니티자원의 발굴과 산업화계획 / 이상문 = 343
1.1 개념과 계획배경 = 344
1.1.1 정주어메니티 개념의 발전 = 344
1.1.2 자원으로서 농촌어메니티의 등장 = 348
1.1.3 농촌다원기능 개념과의 차이점 = 351
1.2 국내외 동향과 과제 = 352
1.2.1 외국의 농촌어메니티 연구 및 정책동향 = 352
1.2.2 국내의 어메니티자원 연구동향 = 355
1.2.3 향후 발전과제 = 357
1.3 어메니티자원의 발굴 및 정보화 = 359
1.3.1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분류 및 평가 = 359
1.3.2 어메니티자원의 발굴방법 = 361
1.3.3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대한 현장조사 = 363
1.3.4 자원별 인벤토리 작성 = 365
1.3.5 어메니티자원의 정보화 = 366
1.4 어메니티자원의 계획과 관리 = 368
1.4.1 농촌어메니티자원계획의 단계와 계획요소 = 368
1.4.2 어메니티자원의 조성과 관리 = 370
1.5 어메니티자원의 산업화 = 371
1.5.1 배경 = 371
1.5.2 농촌 어메니티경제권 구상 = 373
1.5.3 어메니티자원의 산업화 및 경영 = 377
제2장 농촌계획과 주민참여 / 이재준 = 383
2.1 주민참여 농촌계획의 필요성과 개념 = 384
2.1.1 주민참여의 필요성 = 384
2.1.2 주민참여의 개념 = 385
2.1.3 주민참여의 효과 = 386
2.2 농촌마을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= 388
2.2.1 주민참여 활성화 농촌마을 사례 = 388
2.2.2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= 390
2.2.3 주민참여 활성화 단계 특성 = 395
2.3 주민참여 농촌마을 만들기 = 395
2.3.1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유형 = 395
2.3.2 마을만들기의 참여 주체 = 397
2.3.3 마을만들기 행정 지원체계 = 398
2.4 농촌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방법론 = 401
2.4.1 주민참여방식 = 401
2.4.2 농촌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방법론 = 402
2.5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의미 = 408
제3장 농촌관광 계획 및 개발 / 김성진 = 411
3.1 농촌관광 개념 및 의의 = 412
3.1.1 농촌관광의 개념 = 412
3.1.2 농촌관광의 의의 = 413
3.2 농촌관광 수요 및 효과 = 415
3.2.1 농촌관광의 수요 = 415
3.2.2 농촌관광의 효과 = 417
3.3 국내외 사례 = 418
3.3.1 강원도 화천군 신대리 = 418
3.2.2 오이타현 유후인 = 419
3.2.3 후쿠오카현 우키하 = 422
3.4 농촌관광 계획 및 개발 방향 = 424
3.4.1 농촌관광 혁신클러스터 구축 = 424
3.4.2 에코뮤지엄 원칙에 따른 계획 및 개발 = 426
3.4.3 농촌관광 추진주체의 양성 = 428
3.5 농촌관광활성화 과제 = 429
제4장 농촌경관계획 / 전영옥 = 433
4.1 경관계획의 개념 = 434
4.1.1 경관계획이란 = 434
4.1.2 국토의 관리와 경관계획 = 436
4.2 농촌경관계획의 개념 = 439
4.2.1 농촌경관의 정의 = 439
4.2.2 농촌경관계획의 특성 = 441
4.3 농촌경관계획의 과정 및 사례 = 442
4.3.1 경관자원의 조사 = 443
4.3.2 경관권역과 주요 조망점의 설정 = 444
4.3.3 자연경관관리계획 = 447
4.3.4 농촌마을경관관리계획 = 449
4.3.5 역사경관관리계획 = 451
4.3.6 주택단지경관관리계획 = 452
4.3.7 옥외광고물 경관관리계획 = 456
4.3.8 경관색채계획 = 457
4.4 농촌경관계획의 의의와 과제 = 459
4.4.1 농촌활성화의 바탕이 되는 농촌경관계획 = 459
4.4.2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경관계획의 중요성 = 460
4.4.3 농촌경관계획 실현수단의 확보 = 460
제5장 역사ㆍ문화자원계획 / 강동진 = 463
5.1 역사문화자원 계획의 개념 = 464
5.1.1 기본 접근 = 464
5.1.2 농촌에서의 역사문화자원 = 466
5.1.3 농촌마을에서의 역사문화자원계획 = 468
5.2 역사문화자원계획의 기본 내용 = 472
5.2.1 역사문화자원계획의 요소 = 472
5.2.2 역사문화자원계획의 기본 원리 = 479
5.3 역사문화자원계획의 방법 = 484
5.3.1 역사문화자원계획의 원칙 = 484
5.3.2 물적 계획 = 488
5.3.3 비물적 계획 = 491
제6장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방안 / 박시현 = 495
6.1 지속가능한 정비란 = 496
6.2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필요성 = 497
6.2.1 기존 농촌정비 방식으로 인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= 497
6.2.2 새롭게 요구되는 농촌의 역할에 대응하기 위해 = 498
6.3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개념 = 499
6.4 외국의 지속가능한 농촌 정비 사례 및 시사점 = 502
6.4.1 독일 사례(1) : 탈하임 마을 = 502
6.4.2 독일 사례(2) : 오텐하우젠 마을의 경우 = 504
6.4.3 일본사례 : 群馬縣 川場(가와바)村 = 509
6.4.4 기타 사례 및 종합 = 514
6.5 지속가능한 농촌정비를 위한 과제 = 515
6.5.1 패러다임의 변화 = 515
6.5.2 구체적 행동 과제 = 516
6.6 맺는 말 = 518
제Ⅰ편 농촌계획의 위상과 과제
제1장 한국 농촌계획의 변화와 방향 / 윤원근 = 27
1.1 여건변화와 농촌계획 = 28
1.2 농촌계획의 시대적 변천과 유형 = 29
1.2.1 농업기반사업형 농촌계획 = 29
1.2.2 농촌마을계획형 농촌계획 = 30
1.2.3 지역농업계획형 농촌계획 = 31
1.2.4 기본구상형 농촌계획 = 32
1.2.5 지역계획형 농촌계획 = 33
1.3 한국 농촌계획의 흐름과 방향정립 = 35
1.3.1 새로운 가치영역의 방향정립 = 35
1.3.2 이론영역의 방향정립 = 36
1.3.3 실천영역의 방향정립 = 39
1.4 한국농촌계획 개념정립을 위한 과제 = 41
1.4.1 가치영역의 과제 = 41
1.4.2 이론영역의 과제 = 42
1.4.3 실천영역의 과제 = 44
제2장 농촌정책의 전개와 평가 / 이병기 = 49
2.1 농촌정책의 이론적 배경 = 50
2.1.1 농촌문제의 인식 = 50
2.1.2 농촌개발 이론의 흐름 = 52
2.2 한국 농촌정책의 전개과정 : 농촌생활환경정비정책을 중심으로 = 65
2.2.1 농촌생활환경 정비정책의 발전단계 = 66
2.2.2 농촌생활환경 정비정책 전개과정의 특징 = 70
2.3 농촌정책의 평가 = 73
2.3.1 농촌개발 이론의 적실성 문제 = 73
2.3.2 농촌생활환경정비 정책의 문제점 = 75
제3장 농촌정주체계의 변화와 평가 / 정철모 = 87
3.1 농촌공간의 구성과 계층체계의 형성 = 88
3.1.1 전통적인 농촌공간의 구성 = 88
3.1.2 농촌공간의 유형과 계층체계 = 89
3.2 농촌정주체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 = 92
3.2.1 농촌정주체계 설정의 필요성 = 92
3.2.2 농촌정주체계의 이론적 접근 = 93
3.3 21세기 농촌공간의 성격 및 패러다임변화 = 107
3.4 지속가능한 농촌정주체계의 기본틀 및 대응과제 = 110
3.4.1 지속가능한 농촌정주체계 설정을 위한 기본틀 = 110
3.4.2 농촌정주체계의 합리적 개편과제 = 112
제4장 농촌의 토지이용 현황과 계획체계 / 송미령 = 117
4.1 농촌 토지이용계획의 여건 = 118
4.1.1 농촌의 범위 = 118
4.1.2 계획 대상으로서 농촌의 문제 = 120
4.2 농촌계획의 존재 의의와 새로운 토지이용질서로의 이행 = 128
4.2.1 국토공간 속에서 농촌의 역할과 미래상 = 128
4.2.2 농촌계획의 존재 의의 = 129
4.2.3 새로운 토지이용 계획체계의 구축과 농촌 지역계획 및 개발에의 영향 = 131
4.3 농촌 토지이용계획의 향후 과제 = 149
4.3.1 도농통합적 계획으로서 도시(군)계획의 위상 정립 = 149
4.3.2 커뮤니티 중심 계획의 제도화 및 주민협정의 활용 = 150
4.3.3 계획의 실현을 위한 체계적 사업 추진체계 구축 = 151
4.3.4 합리적 세제개혁 방안 개발 = 152
4.3.5 계획 역량 및 기술 수준의 제고 = 153
4.3.6 농지, 농촌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변화 = 154
제Ⅱ편 농촌공간의 유형화와 계획수립
제1장 농촌의 유형화와 발전 방향 / 성주인 = 159
1.1 농촌 유형화의 의의와 몇 가지 쟁점 = 160
1.1.1 농촌 유형화의 의의 = 160
1.1.2 농촌 유형화의 목적 = 161
1.1.3 유형화에 이용하는 변수와 유형화 방법 문제 = 164
1.1.4 농촌 유형화의 공간 단위 문제 = 165
1.2 주요 농촌 유형화 연구 사례 검토 및 평가 = 166
1.2.1 시ㆍ군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66
1.2.2 읍ㆍ면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69
1.2.3 마을 단위의 유형화 사례 = 172
1.2.4 농촌 유형화 연구 결과의 몇 가지 정책 활용 사레 = 173
1.2.5 기존의 농촌 유형화 사례 평가 = 176
1.3 농촌의 유형화 예시 = 178
1.3.1 유형화의 목적과 방법 = 178
1.3.2 유형별 시, 군 분포 양상 및 특성 비교 = 181
1.4 유형별 발전 방향과 앞으로의 연구 과제 = 185
1.4.1 농촌의 유형별 발전 방향 = 185
1.4.2 농촌의 여건 변화와 앞으로의 유형화 연구 과제 = 186
제2장 농촌마을계획 / 박윤호 = 191
2.1 농촌마을의 현황 = 192
2.1.1 농촌마을의 여건변화 = 192
2.1.2 농촌마을의 현황과 실태 = 194
2.2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추진실태 = 194
2.2.1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변천 = 194
2.2.2 농촌마을 정비사업의 현황과 추진실적 = 196
2.2.3 농촌마을정비 관련사업에 대한 평가 = 203
2.3 농촌마을계획의 추진방향 = 207
2.3.1 농촌마을의 변화전망 = 207
2.3.2 농촌마을의 계획방향 = 208
2.4 농촌마을의 계획 = 215
2.4.1 계획수립의 절차 = 215
2.4.2 농촌마을계획 사례 = 217
2.5 농촌마을계획의 과제와 향후 추진방향 = 229
제3장 소도읍계획 / 김정연 = 235
3.1 소도읍의 개념과 기능 = 236
3.1.1 소도읍의 개념 = 236
3.1.2 소도읍의 기능과 역할 = 237
3.2 소도읍의 실태와 잠재력 = 239
3.2.1 소도읍 현상과 문제점 = 239
3.2.2 여건변화와 소도읍의 새로운 가능성 = 249
3.3 소도읍의 육성방향과 전략 = 252
3.3.1 소도읍 육성의 기본방향 = 252
3.3.2 소도읍의 육성목표와 전략 = 253
3.4 부문별 주요 시책과제 = 256
3.4.1 지역산업 진흥 = 256
3.4.2 도시기반시설 정비 = 257
3.4.3 생활환경 개선 및 복지 증진 = 258
3.4.4 역사ㆍ문화ㆍ경관의 관리와 마케팅 = 258
3.5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추진과정과 주요 내용 = 260
3.5.1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추진절차 = 260
3.5.2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주요 내용 = 261
3.5.3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작성과정 = 262
3.6 추진체계의 구성ㆍ운영 및 접근방법 = 263
3.6.1 추진체계의 구성ㆍ운영 = 263
3.6.2 성공적인 계획수립의 조건 = 263
3.7 소도읍종합육성계획의 작성방법 = 266
3.7.1 소도읍의 현황과 개발여건 분석 = 266
3.7.2 기본구상 = 269
3.7.3 부문별 사업계획 = 271
3.7.4 집행 및 관리계획 = 274
3.7.5 개발효과 분석 = 274
제4장 어촌계획 / 김성귀 = 277
4.1 어촌의 현황 및 문제점 = 278
4.2 어촌의 특성 및 계획 목적 = 284
4.2.1 어촌의 유형 및 개발 방향 = 284
4.2.2 어촌개발의 위치와 현행 수행 체계 = 287
4.2.3 중심어촌계 평가 = 293
4.3 계획 사례 = 302
4.3.1 권역 및 중심어촌 현황 = 302
4.3.2 중심어촌 투자 계획 = 304
제5장 산촌계획 / 장우환 = 309
5.1 산촌의 현황 및 문제점 = 310
5.1.1 산촌의 개념 = 310
5.1.2 산촌의 범위 = 311
5.1.3 산촌의 실태 = 312
5.1.4 산촌의 문제점 = 315
5.2 산촌의 특성 및 계획 내용 = 317
5.2.1 산촌의 특성 = 317
5.2.2 산촌계획 수립의 목적 = 319
5.3 산촌계획의 추진방향 = 325
5.3.1 산촌의 여건변화와 전망 = 325
5.3.2 산촌계획 수립의 절차 = 327
5.3.3 산촌계획 사례 : 충남 금산군 남이면 건천리 = 328
5.3.4 산촌계획의 과제와 향후 추진방향 = 336
제Ⅲ편 농촌자원의 발굴과 계획수립
제1장 농촌 어메니티자원의 발굴과 산업화계획 / 이상문 = 343
1.1 개념과 계획배경 = 344
1.1.1 정주어메니티 개념의 발전 = 344
1.1.2 자원으로서 농촌어메니티의 등장 = 348
1.1.3 농촌다원기능 개념과의 차이점 = 351
1.2 국내외 동향과 과제 = 352
1.2.1 외국의 농촌어메니티 연구 및 정책동향 = 352
1.2.2 국내의 어메니티자원 연구동향 = 355
1.2.3 향후 발전과제 = 357
1.3 어메니티자원의 발굴 및 정보화 = 359
1.3.1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분류 및 평가 = 359
1.3.2 어메니티자원의 발굴방법 = 361
1.3.3 농촌어메니티자원에 대한 현장조사 = 363
1.3.4 자원별 인벤토리 작성 = 365
1.3.5 어메니티자원의 정보화 = 366
1.4 어메니티자원의 계획과 관리 = 368
1.4.1 농촌어메니티자원계획의 단계와 계획요소 = 368
1.4.2 어메니티자원의 조성과 관리 = 370
1.5 어메니티자원의 산업화 = 371
1.5.1 배경 = 371
1.5.2 농촌 어메니티경제권 구상 = 373
1.5.3 어메니티자원의 산업화 및 경영 = 377
제2장 농촌계획과 주민참여 / 이재준 = 383
2.1 주민참여 농촌계획의 필요성과 개념 = 384
2.1.1 주민참여의 필요성 = 384
2.1.2 주민참여의 개념 = 385
2.1.3 주민참여의 효과 = 386
2.2 농촌마을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= 388
2.2.1 주민참여 활성화 농촌마을 사례 = 388
2.2.2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= 390
2.2.3 주민참여 활성화 단계 특성 = 395
2.3 주민참여 농촌마을 만들기 = 395
2.3.1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유형 = 395
2.3.2 마을만들기의 참여 주체 = 397
2.3.3 마을만들기 행정 지원체계 = 398
2.4 농촌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방법론 = 401
2.4.1 주민참여방식 = 401
2.4.2 농촌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방법론 = 402
2.5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의미 = 408
제3장 농촌관광 계획 및 개발 / 김성진 = 411
3.1 농촌관광 개념 및 의의 = 412
3.1.1 농촌관광의 개념 = 412
3.1.2 농촌관광의 의의 = 413
3.2 농촌관광 수요 및 효과 = 415
3.2.1 농촌관광의 수요 = 415
3.2.2 농촌관광의 효과 = 417
3.3 국내외 사례 = 418
3.3.1 강원도 화천군 신대리 = 418
3.2.2 오이타현 유후인 = 419
3.2.3 후쿠오카현 우키하 = 422
3.4 농촌관광 계획 및 개발 방향 = 424
3.4.1 농촌관광 혁신클러스터 구축 = 424
3.4.2 에코뮤지엄 원칙에 따른 계획 및 개발 = 426
3.4.3 농촌관광 추진주체의 양성 = 428
3.5 농촌관광활성화 과제 = 429
제4장 농촌경관계획 / 전영옥 = 433
4.1 경관계획의 개념 = 434
4.1.1 경관계획이란 = 434
4.1.2 국토의 관리와 경관계획 = 436
4.2 농촌경관계획의 개념 = 439
4.2.1 농촌경관의 정의 = 439
4.2.2 농촌경관계획의 특성 = 441
4.3 농촌경관계획의 과정 및 사례 = 442
4.3.1 경관자원의 조사 = 443
4.3.2 경관권역과 주요 조망점의 설정 = 444
4.3.3 자연경관관리계획 = 447
4.3.4 농촌마을경관관리계획 = 449
4.3.5 역사경관관리계획 = 451
4.3.6 주택단지경관관리계획 = 452
4.3.7 옥외광고물 경관관리계획 = 456
4.3.8 경관색채계획 = 457
4.4 농촌경관계획의 의의와 과제 = 459
4.4.1 농촌활성화의 바탕이 되는 농촌경관계획 = 459
4.4.2 지방자치단체 주도형 경관계획의 중요성 = 460
4.4.3 농촌경관계획 실현수단의 확보 = 460
제5장 역사ㆍ문화자원계획 / 강동진 = 463
5.1 역사문화자원 계획의 개념 = 464
5.1.1 기본 접근 = 464
5.1.2 농촌에서의 역사문화자원 = 466
5.1.3 농촌마을에서의 역사문화자원계획 = 468
5.2 역사문화자원계획의 기본 내용 = 472
5.2.1 역사문화자원계획의 요소 = 472
5.2.2 역사문화자원계획의 기본 원리 = 479
5.3 역사문화자원계획의 방법 = 484
5.3.1 역사문화자원계획의 원칙 = 484
5.3.2 물적 계획 = 488
5.3.3 비물적 계획 = 491
제6장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방안 / 박시현 = 495
6.1 지속가능한 정비란 = 496
6.2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필요성 = 497
6.2.1 기존 농촌정비 방식으로 인한 문제 해결 방안으로서 = 497
6.2.2 새롭게 요구되는 농촌의 역할에 대응하기 위해 = 498
6.3 지속가능한 농촌정비 개념 = 499
6.4 외국의 지속가능한 농촌 정비 사례 및 시사점 = 502
6.4.1 독일 사례(1) : 탈하임 마을 = 502
6.4.2 독일 사례(2) : 오텐하우젠 마을의 경우 = 504
6.4.3 일본사례 : 群馬縣 川場(가와바)村 = 509
6.4.4 기타 사례 및 종합 = 514
6.5 지속가능한 농촌정비를 위한 과제 = 515
6.5.1 패러다임의 변화 = 515
6.5.2 구체적 행동 과제 = 516
6.6 맺는 말 = 5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