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자료유형
- 단행본
- ISBN
- 8973565400 93330\18000
- KDC
- 328.48-4
- 청구기호
- 328.48 윤75ㅅ
- 저자명
- 윤조덕
- 서명/저자
- 산재보험제도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: 재활·복지 / 윤조덕 [외]저 ; 한국노동연구원 [편]
- 발행사항
- 서울 : 한국노동연구원, 2005
- 형태사항
- ⅵ, 435 p. : 삽도 ; 23 cm
- 총서명
- 정책연구 ; 2005-18
- 주기사항
- 권말부록으로 '설문지 : 재활사업(본부장·지사장)'등 수록
- 주기사항
- 공저자 : 윤순녕, 김희걸, 김상호, 박수경
- 서지주기
- 참고문헌 : p.397-405
- 기타저자
- 윤순녕
- 기타저자
- 김희걸
- 기타저자
- 김상호
- 기타저자
- 박수경
- 기타저자
- 한국노동연구원
- 통일총서명
- 정책연구(한국노동연구원) ; 2005-18
- 가격
- \18000
- Control Number
- maf:14226
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2184 | 328.48 윤75ㅅ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60926s2005 ulka 000a kor
020 ▼a8973565400▼g93330▼c\18000
056 ▼a328.48▼24
090 ▼a328.48▼b윤75ㅅ
1001 ▼a윤조덕
24510▼a산재보험제도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▼b재활·복지▼d윤조덕 [외]저▼e한국노동연구원 [편]
260 ▼a서울▼b한국노동연구원▼c2005
300 ▼aⅵ, 435 p.▼b삽도▼c23 cm
49010▼a정책연구▼v2005-18
50000▼a권말부록으로 '설문지 : 재활사업(본부장·지사장)'등 수록
50010▼a공저자 : 윤순녕, 김희걸, 김상호, 박수경
504 ▼a참고문헌 : p.397-405
7001 ▼a윤순녕
7001 ▼a김희걸
7001 ▼a김상호
7001 ▼a박수경
710 ▼a한국노동연구원
830 0▼a정책연구(한국노동연구원)▼v2005-18
9500 ▼b\18000
제1장 서론 / 윤조덕 = 1
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= 1
1. 산업재해로 인한 장해인 발생현황 = 3
2. 요양기간의 장기화 = 4
3. 보험급여 지급추이 및 연금급여자 추이 = 5
제2절 산재보험제도 발전위원회 구성 및 과제 = 8
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= 10
제4절 연구방법 = 11
제2장 재활사업 현황 / 윤조덕 = 12
제1절 재활사업 체계, 내용 및 지출비용 = 12
1. 재활사업체계 = 12
2. 재활사업 내용 = 15
3. 재활사업 비용지출 = 19
제2절 재활사업에 대한 평가 및 보완대상 = 23
1. 평가 = 23
2.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할 재활사업 = 24
제3절 정책개선 방향 = 27
1. 재활사업 체계화 = 27
2. 미진한 재활사업 보완 = 27
제3장 사업장 응급처치시스템 및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에 대한 실태조사 / 윤조덕 = 28
제1절 실태조사 배경 및 개요 = 28
1. 조사배경 및 목적 = 28
2. 조사대상 = 29
3. 조사시기 = 29
4. 조사방법 = 29
제2절 설문분석 = 31
1. 일반적 특성 = 31
2. 사업장 응급처치 및 구조 = 38
3. 직장복귀 = 47
제3절 요약 및 정책개선 방향 = 52
1. 사업장내 응급처치 및 이송 = 52
2. 응급구조 시스템 및 의료실 = 53
3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= 54
제4장 기존 산재병원 기능특화 방안 / 윤조덕 = 55
제1절 배경, 필요성 및 기능특화 대상 = 55
1. 필요성 = 55
2. 산재환자 부상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급성기 산재환자 전문 진료과목 특화 = 56
3. 직업병 연구 및 직업병 전문 치료기능 보완 및 신설 = 60
제2절 기존 산재병원(산재의료관리원)의 진료기능 분석 = 64
1. 일반진료기능 = 64
2. 주요 진단명 = 70
3. 특수진료 = 72
4. 장기요양환자 중심의 진료 = 73
5. 기존 산재병원의 진료기능 종합 = 75
제3절 사례연구: 독일 산재전문병원의 전문화 = 76
1. 독일 사업장 산업재해 현황 = 76
2. 독일 산재전문병원의 급성기 산재환자 진료 전문화 = 85
제4절 비교를 통한 정책개선 방향 = 98
1. 현황분석 종합 = 98
2. 정책개선 방향 = 99
제5장 재활 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ㆍ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/ 김희걸 = 101
제1절 산재장애인의 요구수준에 따른 서비스 전달체계 필요성 = 101
1. 연구배경 = 101
2. 연구과제 = 104
제2절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프로그램 = 104
1.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프로그램 = 104
2. 산재장애인의 특성 = 107
3.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(의료)재활프로그램 = 109
제3절 지역사회 중심의 산재장애 사례관리 = 121
1. 사례관리 필요성 = 121
2. 사례관리의 정의 = 122
3. 산재 사례관리자의 역할과 적정인력의 선정 = 123
4. 사례관리 절차 = 125
제4절 재활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ㆍ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= 130
1. 산재장애인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= 130
2. 재활사업에 있어서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모형 = 131
제5절 결론 = 135
제6장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 효율성 제고 방안 / 김상호 = 138
제1절 한국의 장해인 직업재활훈련 현황 = 138
1.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 강화의 필요성 = 138
2. 장애인 직업훈련기관 = 142
3. 직업재활 훈련생 지원내용 = 153
제2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의 문제점 = 155
제3절 독일의 직업교육제도 및 직업재활훈련 = 164
1. 직업교육제도 = 164
2. 독일의 직업재활훈련 = 171
제4절 독일 산재보험의 직업재활훈련 현황 = 183
1. 산업부문별 직업재활 훈련 = 183
2. 재해발생 종류별 직업재활훈련 = 185
3. 직업재활훈련대책의 성별, 연령 및 분포 = 186
4. 직업훈련 대책의 상해부위별 분포 = 188
제5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체계의 효율성 제고 방안 = 189
1. 기본원칙 = 189
2. 대안비교 = 191
3. 결론 = 199
제7장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/ 김상호 = 203
제1절 현황 = 203
제2절 독일의 직장복귀지원제도 = 205
1. 사용자에 대한 임금보조금 = 206
2. 시험채용 보조금 = 206
3. 임금계속지불 비용의 부담 = 207
4. 기타 지원 = 207
제3절 문제점 = 208
제4절 개선방안 = 211
제8장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제고방안 : 사업장내 보건관리자 활용방안 / 윤순녕 = 217
제1절 서론 = 217
1.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= 217
2. 연구의 목적 = 219
3. 연구의 방법 = 219
제2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현황 = 222
1.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실태 = 222
제3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 현황 = 227
1. 재정적 지원 = 229
제4절 외국의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제도 = 231
1. 미국 = 231
2. 일본 = 235
3. 독일 = 240
제5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실태와 보건관리자의 역할(설문조사) = 243
1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실태(설문조사 결과) = 243
2.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와 관련한 보건관리자의 역할 = 259
제6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사례관리 모형 = 263
1. 산재발생 직후 사례관리자 즉시 개입 = 265
2. 치료, 의료재활, 직업재활, 직장복귀 전과정의 사례 관리자에 의한 지속적 관리 = 266
3. 직장복귀 이후 직업유지 여부 지속적 관찰 = 267
제7절 향후 정책방향 = 268
1. 향후 연구과제 = 268
2. 향후 제도개선 방향 = 269
제9장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화 방안 / 박수경 = 271
제1절 서론 = 271
제2절 산재보험의 특성 = 273
1. 산재보험의 성격 = 273
2. 산재보험에서 원인주의와 결과주의 원칙과 의미 = 275
제3절 우리나라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과 한계 = 276
1.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 = 276
2.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= 277
제4절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의 현황 및 실태 = 278
1. 요양처리기간 현황 = 278
제5절 외국의 사례와 시사점 = 283
1. 일본의 진료비 청구제도 사례와 시사점 = 283
2. 독일의 사례와 시사점 = 289
제6절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화 방안 = 292
1.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사업 추진의 타당성 = 292
2. 생활안정화 방안 = 294
제10장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/ 박수경 = 299
제1절 서론 = 299
제2절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개념과 의의 = 301
1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개념정의 = 301
2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중요성과 의의 = 303
제3절 우리나라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현황과 문제점 = 312
1. 산재근로자 대부사업 = 313
2. 자립점포임대지원사업 = 321
제4절 외국의 산재보험 사회재활사업 사례와 시사점 = 327
1. 독일산재보험의 사회재활과 시사점 = 327
2. 일본의 노동복지사업 현황과 시사점 = 340
제5절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= 349
1. 기본 방향 = 349
2. 활성화 방안 = 351
제11장 재활상담 체계화 / 윤조덕 = 356
제1절 서론 = 356
1. 연구의 필요성 = 356
2. 재활상담원 업무 = 356
3. 재활상담원 관련 연구 = 360
제2절 재활사업 관련 설문조사 = 362
1. 조사개요 = 362
2. 조사방법 = 363
3. 설문분석 = 368
제3절 요약 및 정책개선 방향 = 385
1. 기존 재활사업 5개년계획사업 효율화 = 385
2. 재활상담원의 기능(업무영역) 재정의 = 386
3. 재활상담원 업무효율화 = 386
4. 산재근로자에게 보다 나은 재활서비스 제공 = 387
5. 재활상담원 인원보충 = 387
제12장 요약 및 정책제언 / 윤조덕 = 388
1. 재활사업 체계화 = 389
2. 사업장 응급처치시스템 = 389
3. 기존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산재병원의 기능특화 방안 = 390
4. 재활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= 391
5.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 효율성 제고 = 391
6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 활성화 방안 = 392
7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제고방안, 사업장 내 보건관리자 활용 방안 = 393
8. 요양결정 장기소요자 생활안정화 방안 = 394
9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= 394
10. 재활상담제도 체계화 = 395
참고문헌 = 397
부록 = 407
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= 1
1. 산업재해로 인한 장해인 발생현황 = 3
2. 요양기간의 장기화 = 4
3. 보험급여 지급추이 및 연금급여자 추이 = 5
제2절 산재보험제도 발전위원회 구성 및 과제 = 8
제3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= 10
제4절 연구방법 = 11
제2장 재활사업 현황 / 윤조덕 = 12
제1절 재활사업 체계, 내용 및 지출비용 = 12
1. 재활사업체계 = 12
2. 재활사업 내용 = 15
3. 재활사업 비용지출 = 19
제2절 재활사업에 대한 평가 및 보완대상 = 23
1. 평가 = 23
2. 우선적으로 보완해야 할 재활사업 = 24
제3절 정책개선 방향 = 27
1. 재활사업 체계화 = 27
2. 미진한 재활사업 보완 = 27
제3장 사업장 응급처치시스템 및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에 대한 실태조사 / 윤조덕 = 28
제1절 실태조사 배경 및 개요 = 28
1. 조사배경 및 목적 = 28
2. 조사대상 = 29
3. 조사시기 = 29
4. 조사방법 = 29
제2절 설문분석 = 31
1. 일반적 특성 = 31
2. 사업장 응급처치 및 구조 = 38
3. 직장복귀 = 47
제3절 요약 및 정책개선 방향 = 52
1. 사업장내 응급처치 및 이송 = 52
2. 응급구조 시스템 및 의료실 = 53
3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= 54
제4장 기존 산재병원 기능특화 방안 / 윤조덕 = 55
제1절 배경, 필요성 및 기능특화 대상 = 55
1. 필요성 = 55
2. 산재환자 부상종류 및 특성에 따른 급성기 산재환자 전문 진료과목 특화 = 56
3. 직업병 연구 및 직업병 전문 치료기능 보완 및 신설 = 60
제2절 기존 산재병원(산재의료관리원)의 진료기능 분석 = 64
1. 일반진료기능 = 64
2. 주요 진단명 = 70
3. 특수진료 = 72
4. 장기요양환자 중심의 진료 = 73
5. 기존 산재병원의 진료기능 종합 = 75
제3절 사례연구: 독일 산재전문병원의 전문화 = 76
1. 독일 사업장 산업재해 현황 = 76
2. 독일 산재전문병원의 급성기 산재환자 진료 전문화 = 85
제4절 비교를 통한 정책개선 방향 = 98
1. 현황분석 종합 = 98
2. 정책개선 방향 = 99
제5장 재활 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ㆍ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/ 김희걸 = 101
제1절 산재장애인의 요구수준에 따른 서비스 전달체계 필요성 = 101
1. 연구배경 = 101
2. 연구과제 = 104
제2절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프로그램 = 104
1.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프로그램 = 104
2. 산재장애인의 특성 = 107
3. 지역사회 중심의 보건(의료)재활프로그램 = 109
제3절 지역사회 중심의 산재장애 사례관리 = 121
1. 사례관리 필요성 = 121
2. 사례관리의 정의 = 122
3. 산재 사례관리자의 역할과 적정인력의 선정 = 123
4. 사례관리 절차 = 125
제4절 재활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ㆍ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= 130
1. 산재장애인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= 130
2. 재활사업에 있어서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모형 = 131
제5절 결론 = 135
제6장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 효율성 제고 방안 / 김상호 = 138
제1절 한국의 장해인 직업재활훈련 현황 = 138
1.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 강화의 필요성 = 138
2. 장애인 직업훈련기관 = 142
3. 직업재활 훈련생 지원내용 = 153
제2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의 문제점 = 155
제3절 독일의 직업교육제도 및 직업재활훈련 = 164
1. 직업교육제도 = 164
2. 독일의 직업재활훈련 = 171
제4절 독일 산재보험의 직업재활훈련 현황 = 183
1. 산업부문별 직업재활 훈련 = 183
2. 재해발생 종류별 직업재활훈련 = 185
3. 직업재활훈련대책의 성별, 연령 및 분포 = 186
4. 직업훈련 대책의 상해부위별 분포 = 188
제5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훈련체계의 효율성 제고 방안 = 189
1. 기본원칙 = 189
2. 대안비교 = 191
3. 결론 = 199
제7장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/ 김상호 = 203
제1절 현황 = 203
제2절 독일의 직장복귀지원제도 = 205
1. 사용자에 대한 임금보조금 = 206
2. 시험채용 보조금 = 206
3. 임금계속지불 비용의 부담 = 207
4. 기타 지원 = 207
제3절 문제점 = 208
제4절 개선방안 = 211
제8장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제고방안 : 사업장내 보건관리자 활용방안 / 윤순녕 = 217
제1절 서론 = 217
1.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= 217
2. 연구의 목적 = 219
3. 연구의 방법 = 219
제2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현황 = 222
1.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실태 = 222
제3절 산재근로자 직업재활 현황 = 227
1. 재정적 지원 = 229
제4절 외국의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제도 = 231
1. 미국 = 231
2. 일본 = 235
3. 독일 = 240
제5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실태와 보건관리자의 역할(설문조사) = 243
1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실태(설문조사 결과) = 243
2.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와 관련한 보건관리자의 역할 = 259
제6절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사례관리 모형 = 263
1. 산재발생 직후 사례관리자 즉시 개입 = 265
2. 치료, 의료재활, 직업재활, 직장복귀 전과정의 사례 관리자에 의한 지속적 관리 = 266
3. 직장복귀 이후 직업유지 여부 지속적 관찰 = 267
제7절 향후 정책방향 = 268
1. 향후 연구과제 = 268
2. 향후 제도개선 방향 = 269
제9장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화 방안 / 박수경 = 271
제1절 서론 = 271
제2절 산재보험의 특성 = 273
1. 산재보험의 성격 = 273
2. 산재보험에서 원인주의와 결과주의 원칙과 의미 = 275
제3절 우리나라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과 한계 = 276
1.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 = 276
2. 산재보험 요양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= 277
제4절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의 현황 및 실태 = 278
1. 요양처리기간 현황 = 278
제5절 외국의 사례와 시사점 = 283
1. 일본의 진료비 청구제도 사례와 시사점 = 283
2. 독일의 사례와 시사점 = 289
제6절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화 방안 = 292
1. 요양결정 장기소요 근로자 생활안정사업 추진의 타당성 = 292
2. 생활안정화 방안 = 294
제10장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/ 박수경 = 299
제1절 서론 = 299
제2절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개념과 의의 = 301
1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개념정의 = 301
2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의 중요성과 의의 = 303
제3절 우리나라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현황과 문제점 = 312
1. 산재근로자 대부사업 = 313
2. 자립점포임대지원사업 = 321
제4절 외국의 산재보험 사회재활사업 사례와 시사점 = 327
1. 독일산재보험의 사회재활과 시사점 = 327
2. 일본의 노동복지사업 현황과 시사점 = 340
제5절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= 349
1. 기본 방향 = 349
2. 활성화 방안 = 351
제11장 재활상담 체계화 / 윤조덕 = 356
제1절 서론 = 356
1. 연구의 필요성 = 356
2. 재활상담원 업무 = 356
3. 재활상담원 관련 연구 = 360
제2절 재활사업 관련 설문조사 = 362
1. 조사개요 = 362
2. 조사방법 = 363
3. 설문분석 = 368
제3절 요약 및 정책개선 방향 = 385
1. 기존 재활사업 5개년계획사업 효율화 = 385
2. 재활상담원의 기능(업무영역) 재정의 = 386
3. 재활상담원 업무효율화 = 386
4. 산재근로자에게 보다 나은 재활서비스 제공 = 387
5. 재활상담원 인원보충 = 387
제12장 요약 및 정책제언 / 윤조덕 = 388
1. 재활사업 체계화 = 389
2. 사업장 응급처치시스템 = 389
3. 기존 산재의료관리원 산하 산재병원의 기능특화 방안 = 390
4. 재활사업에 있어서 보험시설과 민간시설기관 등 관련기관의 연계체계 구축방안 = 391
5. 산재보험 직업재활훈련 효율성 제고 = 391
6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지원금 활성화 방안 = 392
7. 산재근로자 직장복귀 제고방안, 사업장 내 보건관리자 활용 방안 = 393
8. 요양결정 장기소요자 생활안정화 방안 = 394
9. 산재근로자 복지사업 및 사회재활사업 활성화 방안 = 394
10. 재활상담제도 체계화 = 395
참고문헌 = 397
부록 = 4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