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11488 | 522.1 김72ㅁ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60317s2005 ulka 000a kor
020 ▼a8977397367▼g93980▼c\17000
056 ▼a522.1▼24
090 ▼a522.1▼b김72ㅁ
1001 ▼a김재수
24500▼a미국 농업정책과 한국 농업의 미래▼d김재수 저
250 ▼a재판
260 ▼a서울▼b백산출판사▼c2005
300 ▼a459 p.▼b삽도▼c25 cm
9500 ▼b\17000
제1부 미국 농업의 일반 현황
제1장 농업과 농촌의 보호
1. 세계 속의 미국 농업 위상 = 19
2. 농업 기본주의 = 23
가. 농업은 특별한 산업 = 23
나. 대통령의 인식 = 26
3. 농업의 경제적 역할과 비중 = 35
가. GDP 비중은 1% 정도 = 36
나. 고용인력 비중 = 36
다. 농업관련 산업의 비중 = 37
4. 법적ㆍ제도적 뒷받침 = 40
가. 헌법과 법률의 보호 = 40
나. 농업예산 지원 = 44
다. 링컨 대통령이 창설한 농무부 = 45
라. 농민단체의 역할 = 48
5. 농업의 복합적 기능 = 50
가. 다원적 기능 = 50
나. 국가안보 기능 = 51
제2장 농업생산 기반과 주요 농작물 생산
1. 농경지면적 = 53
가. 경지면적 = 53
나. 곡물 재배면적 = 54
2. 농가인구와 분포 = 55
가. 농가수는 212만 호 = 55
나. 다양한 농가형태와 분포 = 58
다. 품목별 농가수 = 61
라. 호당 규모는 180㏊ = 63
마. 대규모 농가의 지속적 증가 = 64
바. 소규모 농가대책 = 65
3. 주요 농축산물 생산 = 66
가. 주요 곡물생산 및 교역 = 66
나. 밀, 옥수수, 콩, 면화 = 71
다. 쌀산업 = 80
라. 축산업 = 91
제3장 농산물 수출과 농가소득
1. 농산물 수출 = 101
가. 경제적 역할 = 101
나. 품목별ㆍ지역별 현황 = 104
2. 농산물 수입 = 107
3. 농산물 생산액과 농가경제 = 110
가. 농산물 생산액 = 110
나. 농가경제 = 112
제2부 농업정책의 현황과 과제
제4장 농업정책의 주요내용과 역사적 발전
1. 농업정책의 의의와 분류 = 120
가. 주요정책 수단 = 120
나. 가격정책과 소득정책 = 123
다. 수출지원과 수입제한 = 125
2. 농업정책의 역사적 발전 = 128
가. 초기의 농업정책 = 129
나. 1930년대 = 130
다. 1940~1970년대 = 133
라. 1980년대 = 136
마. 1990년대 = 139
3. 2002년 농업법 = 142
가. 소득 안전망 강화 = 143
나. 경기대응지불제 도입 = 145
다. 직접지불제 확대 = 146
라. 환경농업정책의 강화 = 149
마. 평가 = 150
제5장 농업 보조금 현황과 과제
1. 농업 보조금의 분류와 규모 = 154
2. 농업 보조금의 내역과 문제점 = 157
가. 허용보조(Green box) = 157
나. 생산제한 계획하의 직접지불(Blue box) = 158
다. 감축대상 보조 = 160
3. 기능별ㆍ품목별 보조내역 = 163
가. 상품신용공사 지원액 = 163
나. 타기관 분석 = 165
다. 쌀산업에 대한 보조 = 168
제6장 미국 농업의 경쟁력과 딜레마
1. 미국 농업의 경쟁력 = 177
가. 농업생산성의 지속적 향상 = 177
나. 생산성 증가요인 = 179
다. 미국과 EU의 농업정책 비교 = 180
2. 최근의 주요정책 과제 = 184
가. 농산물 수출증대에 최대역점 = 184
나.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 = 185
다. 식품안전성 강화 = 186
라. 글로블화에 부응 = 187
마. 인식변화와 정책의 효율성 제고 = 187
3. 미국 농업정책의 딜레마 = 189
가. 농가 인구의 감소 = 190
나. 농촌지역의 수혜 불리 = 191
다. 농업예산 삭감에 대응 = 193
라. 품목정책의 한계 = 195
마.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 = 197
바. 국제여건의 변화 = 197
제3부 농업 통상정책과 대응
제7장 미국 통상정책의 구조와 발전
1. 통상정책의 이념과 변천 = 206
가. 보호무역주의 = 208
나. 자유무역주의 = 209
다. 신보호주의와 공격적 통상정책 = 211
2. 농업 통상정책의 결정구조와 역할 = 213
가. 결정요인 = 214
나. 의회 = 216
다. 행정부 = 218
라. 이익집단, 기타 = 222
마. 최근의 특징과 변화 = 225
3. 부시 행정부의 농업 통상전략 = 226
가. 경쟁적 자유화 = 226
나. 의회의지지 = 227
제8장 다자협상의 본격적 추진
1. UR협상의 추진 = 231
가. 기본과제 = 231
나. 미국의 전략 = 232
2. 도하개발 아젠다 = 235
가. 도하개발 아젠다의 출범 = 235
나. 하빈슨 의장 초안 = 236
다. EU를 통한 합의 모색 = 238
3. 칸쿤협상의 결렬과 새로운 시도 = 240
가. 카스티요안과 야오 의장안 = 240
나. 그룹간 대결과 협상의 결렬 = 242
다. 협상결렬의 영향과 타결의 필요성 = 243
제9장 도하개발 아젠다 기본골격과 향후과제
1. 기본골격의 형성과정 = 251
2. 기본골격의 주요내용 = 253
가. 시장접근 = 253
나. 국내보조 = 254
다. 수출경쟁 = 256
3. 기본골격에 대한 미국의 평가 = 260
가. 미국의 역할 = 260
나. 미국의 반응과 평가 = 262
다.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 = 268
4. 우리의 대응 = 280
가. 분야별 검토과제 = 281
나. 전략적 대응과제 = 286
제10장 지역협정과 양자협정
1. FTA 추진전략과 현황 = 289
가. 새로운 협상 전략 = 289
나. FTA 추진상황 = 291
2. 한미 FTA 추진과제 = 295
제4부 식품산업의 현황과 과제
제11장 미국 식품의 세계화
1. 패스트푸드의 확산 = 308
2. 식품기업의 해외진출 = 310
3. 식품산업에 대한 인식변화 = 316
제12장 음식문화와 식품소비 패턴
1. 음식문화의 역사적 발전 = 322
가. 원주민의 음식문화 = 322
나. 개척시대 = 324
다. 음식문화의 정착 = 326
2. 식품소비 실태 = 329
가. 소득수준과 식품소비 = 329
나. 식품소비 지출비중의 감소 = 331
다. 지역별, 인종별, 연령별 차이 = 333
라. 육류의 소비감소 = 336
마. 과일과 채소소비 증가 = 338
3. 최근의 특징과 변화 = 343
가. 편의성, 실용성, 포용성 = 343
나. 건강식 선호 = 344
다. 새로운 음식문화의 대두 = 347
라. 2005년 식생활지침과 "MyPyramid" = 349
제13장 식품산업 구조와 식품행정
1. 신선농산물 = 355
가. 신선식품 = 355
나. 유기농산물 = 358
2. 식품제조 및 유통업 = 360
가. 식품제조업 = 360
나. 식품도매업 = 365
다. 식품소매업 = 368
라. 식품서비스(Food service) = 373
3. 식품행정의 중점과제 = 378
가. 식품관련 기관과 업무 = 378
나. 식품안전성 강화 = 383
다. GMO에 대한 대응 = 387
라. 학교급식제도 = 396
4. 식품행정의 효율적 추진 = 406
가. 갈등의 해결과 의견조정 = 406
나. 향후 과제 = 408
제5부 우리 농산물의 미국 수출
제14장 대미 농산물 수출입 현황과 전망
1. 수출입 현황 = 413
가. 미국 수출의 중요성 = 413
나. 부류별 동향 = 415
2. 수출실적과 향후 전망 = 418
가. 가공식품 = 418
나. 채소류 = 419
다. 과실류 = 422
라. 인삼류 = 424
마. 원예작물 및 화훼류 = 425
3. 대미 수출의 애로사항 = 426
가. 품질과 규격수준의 미흡 = 427
나. 미국 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 = 428
다. 복잡한 수출입규정과 절차 = 428
라. 업체의 영세성과 경쟁심화 = 433
제15장 미국 시장 공략방안
1. 미국 시장의 여건변화 = 435
가. 넓고 큰 식품시장 = 435
나. 시장여건은 급속히 변해 = 437
다. 히트 농산물과 인기식품 = 438
2. 생산농민과 수출기업이 할 일 = 442
가. 고품질을 만들자 = 442
나. 신상품을 개발하자 = 443
다. 김치는 고급화, 다양화하자 = 443
라. 우리 음식을 국제화하자 = 444
마. 주류판매에도 힘을 기울이자 = 446
바. 미국의 식품시장과 거래관습을 알자 = 447
사. 소수민족을 중시하자 = 449
3. 정부의 과제 = 450
가. 품목별 수출전망 재검토 = 450
나. 수입규제 대비와 수출협상에 역점 = 451
다. 식품홍보의 개선 = 451
라. 전통식품 보호와 식품산업 육성 = 452
4. 한국 농업이 나아갈 길 = 453
제1장 농업과 농촌의 보호
1. 세계 속의 미국 농업 위상 = 19
2. 농업 기본주의 = 23
가. 농업은 특별한 산업 = 23
나. 대통령의 인식 = 26
3. 농업의 경제적 역할과 비중 = 35
가. GDP 비중은 1% 정도 = 36
나. 고용인력 비중 = 36
다. 농업관련 산업의 비중 = 37
4. 법적ㆍ제도적 뒷받침 = 40
가. 헌법과 법률의 보호 = 40
나. 농업예산 지원 = 44
다. 링컨 대통령이 창설한 농무부 = 45
라. 농민단체의 역할 = 48
5. 농업의 복합적 기능 = 50
가. 다원적 기능 = 50
나. 국가안보 기능 = 51
제2장 농업생산 기반과 주요 농작물 생산
1. 농경지면적 = 53
가. 경지면적 = 53
나. 곡물 재배면적 = 54
2. 농가인구와 분포 = 55
가. 농가수는 212만 호 = 55
나. 다양한 농가형태와 분포 = 58
다. 품목별 농가수 = 61
라. 호당 규모는 180㏊ = 63
마. 대규모 농가의 지속적 증가 = 64
바. 소규모 농가대책 = 65
3. 주요 농축산물 생산 = 66
가. 주요 곡물생산 및 교역 = 66
나. 밀, 옥수수, 콩, 면화 = 71
다. 쌀산업 = 80
라. 축산업 = 91
제3장 농산물 수출과 농가소득
1. 농산물 수출 = 101
가. 경제적 역할 = 101
나. 품목별ㆍ지역별 현황 = 104
2. 농산물 수입 = 107
3. 농산물 생산액과 농가경제 = 110
가. 농산물 생산액 = 110
나. 농가경제 = 112
제2부 농업정책의 현황과 과제
제4장 농업정책의 주요내용과 역사적 발전
1. 농업정책의 의의와 분류 = 120
가. 주요정책 수단 = 120
나. 가격정책과 소득정책 = 123
다. 수출지원과 수입제한 = 125
2. 농업정책의 역사적 발전 = 128
가. 초기의 농업정책 = 129
나. 1930년대 = 130
다. 1940~1970년대 = 133
라. 1980년대 = 136
마. 1990년대 = 139
3. 2002년 농업법 = 142
가. 소득 안전망 강화 = 143
나. 경기대응지불제 도입 = 145
다. 직접지불제 확대 = 146
라. 환경농업정책의 강화 = 149
마. 평가 = 150
제5장 농업 보조금 현황과 과제
1. 농업 보조금의 분류와 규모 = 154
2. 농업 보조금의 내역과 문제점 = 157
가. 허용보조(Green box) = 157
나. 생산제한 계획하의 직접지불(Blue box) = 158
다. 감축대상 보조 = 160
3. 기능별ㆍ품목별 보조내역 = 163
가. 상품신용공사 지원액 = 163
나. 타기관 분석 = 165
다. 쌀산업에 대한 보조 = 168
제6장 미국 농업의 경쟁력과 딜레마
1. 미국 농업의 경쟁력 = 177
가. 농업생산성의 지속적 향상 = 177
나. 생산성 증가요인 = 179
다. 미국과 EU의 농업정책 비교 = 180
2. 최근의 주요정책 과제 = 184
가. 농산물 수출증대에 최대역점 = 184
나.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 = 185
다. 식품안전성 강화 = 186
라. 글로블화에 부응 = 187
마. 인식변화와 정책의 효율성 제고 = 187
3. 미국 농업정책의 딜레마 = 189
가. 농가 인구의 감소 = 190
나. 농촌지역의 수혜 불리 = 191
다. 농업예산 삭감에 대응 = 193
라. 품목정책의 한계 = 195
마. 시장경제에 대한 비판 = 197
바. 국제여건의 변화 = 197
제3부 농업 통상정책과 대응
제7장 미국 통상정책의 구조와 발전
1. 통상정책의 이념과 변천 = 206
가. 보호무역주의 = 208
나. 자유무역주의 = 209
다. 신보호주의와 공격적 통상정책 = 211
2. 농업 통상정책의 결정구조와 역할 = 213
가. 결정요인 = 214
나. 의회 = 216
다. 행정부 = 218
라. 이익집단, 기타 = 222
마. 최근의 특징과 변화 = 225
3. 부시 행정부의 농업 통상전략 = 226
가. 경쟁적 자유화 = 226
나. 의회의지지 = 227
제8장 다자협상의 본격적 추진
1. UR협상의 추진 = 231
가. 기본과제 = 231
나. 미국의 전략 = 232
2. 도하개발 아젠다 = 235
가. 도하개발 아젠다의 출범 = 235
나. 하빈슨 의장 초안 = 236
다. EU를 통한 합의 모색 = 238
3. 칸쿤협상의 결렬과 새로운 시도 = 240
가. 카스티요안과 야오 의장안 = 240
나. 그룹간 대결과 협상의 결렬 = 242
다. 협상결렬의 영향과 타결의 필요성 = 243
제9장 도하개발 아젠다 기본골격과 향후과제
1. 기본골격의 형성과정 = 251
2. 기본골격의 주요내용 = 253
가. 시장접근 = 253
나. 국내보조 = 254
다. 수출경쟁 = 256
3. 기본골격에 대한 미국의 평가 = 260
가. 미국의 역할 = 260
나. 미국의 반응과 평가 = 262
다.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 = 268
4. 우리의 대응 = 280
가. 분야별 검토과제 = 281
나. 전략적 대응과제 = 286
제10장 지역협정과 양자협정
1. FTA 추진전략과 현황 = 289
가. 새로운 협상 전략 = 289
나. FTA 추진상황 = 291
2. 한미 FTA 추진과제 = 295
제4부 식품산업의 현황과 과제
제11장 미국 식품의 세계화
1. 패스트푸드의 확산 = 308
2. 식품기업의 해외진출 = 310
3. 식품산업에 대한 인식변화 = 316
제12장 음식문화와 식품소비 패턴
1. 음식문화의 역사적 발전 = 322
가. 원주민의 음식문화 = 322
나. 개척시대 = 324
다. 음식문화의 정착 = 326
2. 식품소비 실태 = 329
가. 소득수준과 식품소비 = 329
나. 식품소비 지출비중의 감소 = 331
다. 지역별, 인종별, 연령별 차이 = 333
라. 육류의 소비감소 = 336
마. 과일과 채소소비 증가 = 338
3. 최근의 특징과 변화 = 343
가. 편의성, 실용성, 포용성 = 343
나. 건강식 선호 = 344
다. 새로운 음식문화의 대두 = 347
라. 2005년 식생활지침과 "MyPyramid" = 349
제13장 식품산업 구조와 식품행정
1. 신선농산물 = 355
가. 신선식품 = 355
나. 유기농산물 = 358
2. 식품제조 및 유통업 = 360
가. 식품제조업 = 360
나. 식품도매업 = 365
다. 식품소매업 = 368
라. 식품서비스(Food service) = 373
3. 식품행정의 중점과제 = 378
가. 식품관련 기관과 업무 = 378
나. 식품안전성 강화 = 383
다. GMO에 대한 대응 = 387
라. 학교급식제도 = 396
4. 식품행정의 효율적 추진 = 406
가. 갈등의 해결과 의견조정 = 406
나. 향후 과제 = 408
제5부 우리 농산물의 미국 수출
제14장 대미 농산물 수출입 현황과 전망
1. 수출입 현황 = 413
가. 미국 수출의 중요성 = 413
나. 부류별 동향 = 415
2. 수출실적과 향후 전망 = 418
가. 가공식품 = 418
나. 채소류 = 419
다. 과실류 = 422
라. 인삼류 = 424
마. 원예작물 및 화훼류 = 425
3. 대미 수출의 애로사항 = 426
가. 품질과 규격수준의 미흡 = 427
나. 미국 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 = 428
다. 복잡한 수출입규정과 절차 = 428
라. 업체의 영세성과 경쟁심화 = 433
제15장 미국 시장 공략방안
1. 미국 시장의 여건변화 = 435
가. 넓고 큰 식품시장 = 435
나. 시장여건은 급속히 변해 = 437
다. 히트 농산물과 인기식품 = 438
2. 생산농민과 수출기업이 할 일 = 442
가. 고품질을 만들자 = 442
나. 신상품을 개발하자 = 443
다. 김치는 고급화, 다양화하자 = 443
라. 우리 음식을 국제화하자 = 444
마. 주류판매에도 힘을 기울이자 = 446
바. 미국의 식품시장과 거래관습을 알자 = 447
사. 소수민족을 중시하자 = 449
3. 정부의 과제 = 450
가. 품목별 수출전망 재검토 = 450
나. 수입규제 대비와 수출협상에 역점 = 451
다. 식품홍보의 개선 = 451
라. 전통식품 보호와 식품산업 육성 = 452
4. 한국 농업이 나아갈 길 = 45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