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04062 | 504 최91ㄴ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51213s2005 ggka d 000a korIC
020 ▼a8948000896▼g94520
056 ▼a504▼24
090 ▼a504▼b최91ㄴ
1001 ▼a최한기
24500▼a농정회요▼d최한기 저▼nⅠ
260 ▼a수원▼b농촌진흥청▼c2005
300 ▼a705 p.▼b삽도▼c25 cm
49010▼a고농서국역총서▼v10
653 ▼a농서▼a종합농서
830 0▼a고농서국역총서(농촌진흥청)▼v10
9501 ▼a비매품
해제 = 5
일러두기 = 13
卷1. 토의(土宜) = 21
휘고(彙考) = 25
물토(物土) = 36
전제(田制) = 61
구전(區田) = 99
위전(圍田) = 104
가전(架田) = 104
궤전(櫃田) = 105
제전(梯田) = 106
도전(塗田) = 107
사전(沙田) = 107
포전(圃田) = 108
卷2. 수리(水利) = 111
서광계(徐光啓) 「하천공사를 측량 계산하고 지세를 측량하는 법[量算河工測驗地勢法]」 = 113
서광계 「한전용수소(旱田用水疏)」 = 121
조선의 토지세[本朝田賦] = 132
연분(年分) = 140
조세징수[收稅] = 143
대동작공(大同作貢) = 146
적전(籍田) = 151
조적(조적) = 153
卷3. 곡종(穀種) = 159
휘고(彙考) = 162
벼[稻] = 163
수수[粱] = 184
메기장[稷] = 186
기장[黍] = 193
단서미(丹黍米) = 198
촉서(蜀黍) = 199
옥촉서(玉蜀黍) = 201
야서(野黍) = 202
조[粟] = 202
백속미(白粟米) = 204
출(朮) = 206
밀·보리[麥] = 207
작맥(雀麥) = 212
연맥(燕麥) = 213
교맥(蕎麥) = 213
卷4. 곡종(穀種) = 215
황두(黃豆) = 217
대두(大豆) = 224
소두(小豆) = 226
녹두(綠豆) = 227
백두(白豆) = 228
여두(穭豆) = 228
완두(豌豆) = 229
야완두(野豌豆) = 230
잠두(蠶豆) = 230
강두(豇豆) = 231
자강두(紫豇豆) = 232
편두(扁豆) = 232
산편두(山扁豆) = 233
도두(刀豆) = 233
여두(黎豆) = 234
녹곽(鹿藿) = 236
노두(노豆) = 237
회회두(回回豆) = 237
지마(脂麻) = 237
대마(大麻) = 241
사봉미(沙蓬米) = 244
아마(亞麻) = 244
피마(蓖麻) = 244
피[稗] = 245
낭(稂) = 248
망초(菵草) = 248
율무[薏苡] = 248
卷5. 공작(功作) = 251
휘고(彙考) = 254
땅 일구기[墾耕] = 255
써레질하기[耙勞] = 264
각종 밭 갈고 써레질하는 법[各種耕파法] = 267
도(稻) = 267
조와 차조[粱秫] = 269
기장[黍] = 269
메기장[稷] = 269
보리[麥] = 270
콩[豆] = 271
지마(脂麻) = 272
교맥(蕎麥) = 272
파종(播種) = 272
수도(水稻) = 276
양출(粱출) = 287
서(黍) = 288
속(粟) = 290
직(稷) = 291
보리[麥] = 293
콩[豆] = 298
지마(脂麻) = 301
교맥(蕎麥) = 302
卷6. 공작(功作) = 305
거름하기[淤蔭] = 307
각종 거름을 하는 방법[各種淤蔭法] = 319
김매고 북돋우기[耘耔] = 320
김매기[耘자]로 곡식 가꾸는 방법[各種耘耔法] = 324
물대기[灌漑] = 328
수확(收穫) = 333
작물을 수확하는 법[各種收穫法] = 335
가공법[攻治] = 338
여러 가지 가공법 = 340
卷7. 모아 저장하기[蓄聚] = 349
휘고(彙考) = 352
상평창(常平倉) = 357
예비창(豫備倉) = 368
사창(社倉) = 370
의창(義倉) = 387
창제(倉制) = 390
卷8. 작물의 기타 농사[農餘] = 399
휘고(彙考) = 403
정원 울타리[園籬] = 406
농정전서 정원에서 가꾸는 작물들 = 408
심기[栽種] = 411
가지치기와 물주기[收茸澆灌] = 425
씨앗 거두기와 심기[收種下種] = 427
과일나무 보호하기[衛果] = 428
과일 따기와 나무 베기[菜果伐木] = 430
과일 저장하기[收藏果實法] = 431
채소 저장하기[收藏菜蔬] = 435
일러두기 = 13
卷1. 토의(土宜) = 21
휘고(彙考) = 25
물토(物土) = 36
전제(田制) = 61
구전(區田) = 99
위전(圍田) = 104
가전(架田) = 104
궤전(櫃田) = 105
제전(梯田) = 106
도전(塗田) = 107
사전(沙田) = 107
포전(圃田) = 108
卷2. 수리(水利) = 111
서광계(徐光啓) 「하천공사를 측량 계산하고 지세를 측량하는 법[量算河工測驗地勢法]」 = 113
서광계 「한전용수소(旱田用水疏)」 = 121
조선의 토지세[本朝田賦] = 132
연분(年分) = 140
조세징수[收稅] = 143
대동작공(大同作貢) = 146
적전(籍田) = 151
조적(조적) = 153
卷3. 곡종(穀種) = 159
휘고(彙考) = 162
벼[稻] = 163
수수[粱] = 184
메기장[稷] = 186
기장[黍] = 193
단서미(丹黍米) = 198
촉서(蜀黍) = 199
옥촉서(玉蜀黍) = 201
야서(野黍) = 202
조[粟] = 202
백속미(白粟米) = 204
출(朮) = 206
밀·보리[麥] = 207
작맥(雀麥) = 212
연맥(燕麥) = 213
교맥(蕎麥) = 213
卷4. 곡종(穀種) = 215
황두(黃豆) = 217
대두(大豆) = 224
소두(小豆) = 226
녹두(綠豆) = 227
백두(白豆) = 228
여두(穭豆) = 228
완두(豌豆) = 229
야완두(野豌豆) = 230
잠두(蠶豆) = 230
강두(豇豆) = 231
자강두(紫豇豆) = 232
편두(扁豆) = 232
산편두(山扁豆) = 233
도두(刀豆) = 233
여두(黎豆) = 234
녹곽(鹿藿) = 236
노두(노豆) = 237
회회두(回回豆) = 237
지마(脂麻) = 237
대마(大麻) = 241
사봉미(沙蓬米) = 244
아마(亞麻) = 244
피마(蓖麻) = 244
피[稗] = 245
낭(稂) = 248
망초(菵草) = 248
율무[薏苡] = 248
卷5. 공작(功作) = 251
휘고(彙考) = 254
땅 일구기[墾耕] = 255
써레질하기[耙勞] = 264
각종 밭 갈고 써레질하는 법[各種耕파法] = 267
도(稻) = 267
조와 차조[粱秫] = 269
기장[黍] = 269
메기장[稷] = 269
보리[麥] = 270
콩[豆] = 271
지마(脂麻) = 272
교맥(蕎麥) = 272
파종(播種) = 272
수도(水稻) = 276
양출(粱출) = 287
서(黍) = 288
속(粟) = 290
직(稷) = 291
보리[麥] = 293
콩[豆] = 298
지마(脂麻) = 301
교맥(蕎麥) = 302
卷6. 공작(功作) = 305
거름하기[淤蔭] = 307
각종 거름을 하는 방법[各種淤蔭法] = 319
김매고 북돋우기[耘耔] = 320
김매기[耘자]로 곡식 가꾸는 방법[各種耘耔法] = 324
물대기[灌漑] = 328
수확(收穫) = 333
작물을 수확하는 법[各種收穫法] = 335
가공법[攻治] = 338
여러 가지 가공법 = 340
卷7. 모아 저장하기[蓄聚] = 349
휘고(彙考) = 352
상평창(常平倉) = 357
예비창(豫備倉) = 368
사창(社倉) = 370
의창(義倉) = 387
창제(倉制) = 390
卷8. 작물의 기타 농사[農餘] = 399
휘고(彙考) = 403
정원 울타리[園籬] = 406
농정전서 정원에서 가꾸는 작물들 = 408
심기[栽種] = 411
가지치기와 물주기[收茸澆灌] = 425
씨앗 거두기와 심기[收種下種] = 427
과일나무 보호하기[衛果] = 428
과일 따기와 나무 베기[菜果伐木] = 430
과일 저장하기[收藏果實法] = 431
채소 저장하기[收藏菜蔬] = 43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