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장정보
서가번호 | 등록번호 | 청구기호 | 소장처 | 대출가능여부 | 대출정보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003277 | 521.55 김72ㅅ |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| 대출가능 |
*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.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.
008040603s2004 ulkaf 000a kor
020 ▼a8971398078▼g03380▼c\15000
056 ▼a521.55▼24
090 ▼a521.55▼b김72ㅅ
1001 ▼a김재호
24520▼a(생태적 삶을 일구는) 우리네 농사연장▼d김재호 글▼e이제호 그림
260 ▼a서울▼b소나무▼c2004.
300 ▼a255 p.▼b삽도, 도판▼c22 cm
653 ▼a농기구▼a농기계
7001 ▼a이제호
9500 ▼b\15000
책을 내면서 = 9
하나. 농사연장을 새로 보는 이유 = 13
둘.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필요한 농사연장 = 27
김매기의 귀재, 호미 = 29
풀이 대우 받던 시절의 낫 = 37
갈고 일구로 고르고 김매는 연장, 괭이 = 45
삽, 농기구 맞아? = 50
발이 있어 발고무래, 이가 나서 이곰배 = 55
밀고 당기면서 지심 매는 귀농1호, 당밀게 = 58
신명나게 터는 연장, 도리깨 = 66
고리장이 만든 키 = 71
귀신도 다 세지 못한 쳇불 구멍 = 77
농사보다는 눈을 치기에 더 적합한 넉가래 = 81
거름 내는 연장, 거름대 = 84
힘만으로 되지 않는 지게질 = 89
액은 쓸고 복은 담는 빗자루 = 96
소낙비에도 좋은 밀짚모자 = 105
장작 패는 도끼질 = 109
꽉지치기 하던 시절의 갈퀴 = 114
셋. 생태 농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농사연장 = 119
논밭 갈기의 명수, 쟁기 = 121
논밭을 써는 써레 = 128
땅을 고르는 번지 = 134
소 없으면 사람이 끄는 후치 = 137
세손목 한카래, 일곱목 한카래 = 144
씨앗을 담는 종다래끼 = 150
똥 푸면 똥장군, 오줌 푸면 오줌장군 = 154
풋바심에 좋은 홀태 = 161
물을 이용한 물레방아 = 166
사람의 힘으로 찧는 디딜방아 = 170
가정용 분쇄기, 맷돌 = 175
넷. 갖추기 어렵지만 옛 삶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농사연장 = 181
우리나라 전통 수리 정책과 수리 방식의 특징 = 183
설렁설렁 푸는 용두레 = 192
혼자 푸는 두레 = 196
둘이 푸는 맞두레 = 198
발로 밟는 무자위 = 202
임금님에서 뭇 백성까지 입었던 비옷, 도롱이 = 204
멍석 한 닢 떼어야 풋굿을 먹지 = 210
개상으로 하던 타작마당 = 215
'와릉! 와릉!' 탈곡기 = 224
소가 찧는 연자방아 = 230
김치냉장고의 원조, 나무김칫독 = 233
동그랗다고 도래방석, 맷돌을 앉힌다고 맷방석 = 239
다섯. 우리네 전통 농경 방식과 생태적 삶 = 243
하나. 농사연장을 새로 보는 이유 = 13
둘. 예나 지금이나 여전히 필요한 농사연장 = 27
김매기의 귀재, 호미 = 29
풀이 대우 받던 시절의 낫 = 37
갈고 일구로 고르고 김매는 연장, 괭이 = 45
삽, 농기구 맞아? = 50
발이 있어 발고무래, 이가 나서 이곰배 = 55
밀고 당기면서 지심 매는 귀농1호, 당밀게 = 58
신명나게 터는 연장, 도리깨 = 66
고리장이 만든 키 = 71
귀신도 다 세지 못한 쳇불 구멍 = 77
농사보다는 눈을 치기에 더 적합한 넉가래 = 81
거름 내는 연장, 거름대 = 84
힘만으로 되지 않는 지게질 = 89
액은 쓸고 복은 담는 빗자루 = 96
소낙비에도 좋은 밀짚모자 = 105
장작 패는 도끼질 = 109
꽉지치기 하던 시절의 갈퀴 = 114
셋. 생태 농업을 위해 더 갖추어야 할 농사연장 = 119
논밭 갈기의 명수, 쟁기 = 121
논밭을 써는 써레 = 128
땅을 고르는 번지 = 134
소 없으면 사람이 끄는 후치 = 137
세손목 한카래, 일곱목 한카래 = 144
씨앗을 담는 종다래끼 = 150
똥 푸면 똥장군, 오줌 푸면 오줌장군 = 154
풋바심에 좋은 홀태 = 161
물을 이용한 물레방아 = 166
사람의 힘으로 찧는 디딜방아 = 170
가정용 분쇄기, 맷돌 = 175
넷. 갖추기 어렵지만 옛 삶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농사연장 = 181
우리나라 전통 수리 정책과 수리 방식의 특징 = 183
설렁설렁 푸는 용두레 = 192
혼자 푸는 두레 = 196
둘이 푸는 맞두레 = 198
발로 밟는 무자위 = 202
임금님에서 뭇 백성까지 입었던 비옷, 도롱이 = 204
멍석 한 닢 떼어야 풋굿을 먹지 = 210
개상으로 하던 타작마당 = 215
'와릉! 와릉!' 탈곡기 = 224
소가 찧는 연자방아 = 230
김치냉장고의 원조, 나무김칫독 = 233
동그랗다고 도래방석, 맷돌을 앉힌다고 맷방석 = 239
다섯. 우리네 전통 농경 방식과 생태적 삶 = 24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