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개선방안 제1장 서론 = 1 제1절. 연구의 목적 및 의의 = 1 제2절. 연구 범위 및 방법 = 4 제2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을 위한 이론과 모형에 대한 평가 = 6 제1절. 이론, 모형, 그리고 접근 : 연계성과 차이 = 9 제2절. 기존의 조직진단 모형과 새로운 변화 = 16 1. 기존의 조직진단 모형들 : 개방체계 모형들 = 20 2. 조직진단 모형의 변화 : 흐름, 과정, 자생력 = 30 제3절. 공공부문의 특성과 조직진단 모형 적용의 한계, 유의사항 = 48 제3장 조직 진단의 실제 사례 분석 = 58 제1절. '98년도 전정부적 조직진단 사례 분석 = 58 1. 기관 미션의 재설계 = 59 2. 기능의 변화와 재설계 = 61 3. 조직구조의 개편 = 65 4. 인력구조의 개편 = 67 5. 성과관리체계의 구성 = 71 제2절. 미국의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사례 : 방법론을 중심으로 = 74 1. 미국 노동부의 CPI 프로그램 진단 : SWOT 분석기법의 활용 = 74 2. 미 연방정부의 조달행정 혁신 진단 : BSC 분석기법의 활용 = 85 3. 직무훈련 프로그램의 생산성 평가 : DEA 분석기법의 활용 = 94 4. New Jersey Initiative Program : GPP 모형의 활용 = 106 5. 벤치마킹 : 오레곤 주의 Benchmark Performance Report = 117 제4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문제와 한계 = 126 제1절. 조직진단의 절차와 진단환경의 문제 = 126 1. 진단목적의 모호성 혹은 목적에 대한 인식의 불일치 = 126 2. 조직진단의 절차와 내용에 대한 생소함 = 130 3. 공공부문의 특성에 대한 오해와 무지 = 133 4. 비협력적인 진단과정과 피드백의 부실함 = 135 제2절. 공공부문 진단을 위한 방법론상의 문제 = 137 1. 공공부문 진단을 위한 적합한 모형과 방법론의 부재 = 137 2.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불균형성과 자료의 부정확성 = 140 제5장 공공부문 조직진단의 개선방안 = 144 제1절. 조직진단의 절차적 개선방안 = 144 1. 조직진단의 목적과 인식의 공유 강화 = 144 2. 협동적 조직진단 체계의 형성 = 147 제2절. 조직진단의 방법론적 개선방안 = 149 1. 목적에 적합한 모형과 방법론의 선택 = 149 2. 양적인 자료와 질적인 자료의 복합적 활용 : 질적 자료의 활용 증대 = 150 제3절. 결어 : 진단의 일반적 절차와 점검(check-list) = 152 1. 진단전 단계 = 152 2. 조직진단 실제 작업단계 = 162 3. 진단후 단계 = 182 제6장 결론 = 184 참고문헌 = 18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