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사이버 공동체 형성의 역동적 모형 제1장 연구문제와 접근방법 제2장 사이버 공동체에 대한 개괄적 이해 1. 사이버 공동체의 정의와 특성 = 25 2. 기존의 연구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= 32 3. 사이버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: 미국의 사이버 공동체 대 한국의 사이버 공동체 = 35 1) 사이버 공동체에 대한 새로운 정의의 필요성 = 35 2) 서구의 사이버 공동체 대 한국의 사이버 공동체 : 오토마타 공동체(automata community) = 38 제3장 한국의 주요 사이버 공동체 현황 1. 한국 사이버 공동체의 일반적 특성 = 45 2. 사이버 공동체에 대한 사례분석 = 48 1) 프리챌(freechal) : 현실사회와 유사한 사이버 공동체 = 49 2) 동호회 중심의 하이텔 커뮤니티 = 54 3) 채팅을 매개로 한 세이클럽의 커뮤니티 = 59 3. 사이버 기독교 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= 68 1) 사이버 기독교 공동체의 성장영역과 요인 = 69 2) 사이버 기독교 공동체의 진화방향 = 72 3) 디지털 콘텐츠와 사이버 기독교 공동체의 과제 = 73 4) 기독교 공동체의 미래 = 75 제4장 사이버 개방 공동체의 자기조직화 1. 사이버 개방 공동체의 시장거래 모형 = 81 1) 개방체계와 지식시장거래 = 81 2) 네트워크의 외부성 : 상호작용성과 상호연결성 = 83 3) 사이버 개방 공동체의 네트워크 호혜성 = 87 2. 사이버 개방 공동체와 호혜성 규범의 자기조직화 = 93 1) 호혜성 규범의 이중적 딜레마 = 93 2) 네트워크 호혜성 규범의 역동적 진화 = 94 3) 호혜성 규범과 사회적 비용 = 100 3. 사이버 개방 공동체의 정보 중개자로서의 기능 = 101 1) 정보재의 속성과 정보 중개자의 기능 = 101 2) 정보의 과부하와 정보 중개자 = 106 제5장 강한 유대 공동체의 사회적 교환 1. 사이버 연고 공동체의 사회적 교환 = 111 1) 강한 유대 공동체 = 111 2) 포괄적 거래관계 = 113 3) 사이버 공동체의 관계 지속성 = 115 4) 사이버 공동체의 역동적 자기조직화 = 116 2. 사이버 공동체와 공동체 재화 = 119 3. 사이버 공동체의 비순수공공재 모형 = 121 4. 강한 유대의 사이버 공동체와 거래비용 = 129 제6장 사이버 계(契) 모형 : 사이버 공간의 강한 유대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1. 강한 유대 공동체와 사이버 계(契) = 135 1) 사이버 계와 협력의 경제 = 135 2) 사이버 계의 신뢰와 호혜성 = 139 3) 사이버 계(契)의 수평적 네트워크 = 145 2. 강한 유대 공동체와 인적 자본(human capital) = 148 1) 인적 자본의 공동자산 자원(CPR : common property resource)모형 = 148 2) 강한 유대 공동체와 인적 자본의 생산과 거래 = 150 제7장 호혜성의 내생적인 역동적 체계 1. 호혜성의 거래와 균형 = 159 2. 호혜성의 선호도와 매칭 = 162 3. 호혜성의 역사적 경로의존성 = 165 제8장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측정 1. 측정상의 문제 = 171 2. 표본의 구성 = 176 3. 분석결과 = 179 1)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현황 = 179 2) 사이버 공동체의 네트워크 형성 = 181 3) 사이버 공동체의 사회적 교환방식 = 186 4) 사이버 공동체와 신뢰 = 190 5) 사회적 규범 = 195 6) 공동체 재화 = 197 7) 사회적 대행자 = 201 제9장 결론적 논의 : 사이버 공동체의 공유자산과 프랙탈(fractal) 구조 참고문헌 = 213 부록 = 2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