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성폭력·가정폭력 관련법의 시행실태와 과제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= 1 1. 여성인권·여성폭력·법 = 3 2. 여성인권과 여성폭력에 관한 한국 입법의 발전 = 8 3.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= 14 4. 연구의 구성과 방법 = 15 제2장 현행 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= 19 1. 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= 21 가. 법의 목적과 구조 = 21 나.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= 21 다.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= 22 라. 성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= 41 마. 수사기관(경찰, 검찰)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= 44 바. 법원의 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= 47 사. 피해자보호시설 = 53 아. 피해자의 고용보호 = 55 2. 법의 시행실태 = 55 가.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= 55 나. 성폭력사건의 발생과 범죄자 특성 = 57 다. 성폭력범죄의 신고·고소 실태 = 62 라. 수사기관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= 64 마. 법원의 성폭력사건처리와 피해자보호 실태 = 72 바.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= 75 제3장 현행 가정폭력관련법의 주요내용과 시행실태 = 81 1.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의 구조와 주요내용 = 83 가. 법의 목적과 구조 = 83 나. 가정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 = 85 다. 가정폭력범죄의 신과와 고소 = 91 라. 수사기관(경찰, 검찰)의 가정폭력사건처리 = 92 마. 법원의 가정폭력사건처리 = 93 바. 배상명령제도 = 100 사. 가정폭력사건의 피해자보호와 보도금지조치 = 101 2.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구조와 주요내용 = 104 가. 법의 목적과 구조 = 104 나.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= 104 다. 피해자보호시설 = 105 3. 가정폭력관련법의 시행실태 = 108 가.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이행 실태 = 108 나. 가정폭력사건의 발생과 행위자 특성 = 111 다. 가정폭력범죄의 신고와 고소 실태 = 115 라. 수사기관의 가정폭력사건처리 실태 = 116 바. 법원의 가정보호사건처리 실태 = 124 마. 배상명령 실태 = 138 사. 피해자보호시설의 실태 = 139 제4장 성폭력·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= 145 1. 조사의 대상과 방법 = 147 2. 성폭력특별법의 인지실태 = 149 가.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= 149 나. 법의 인지경로 = 154 다. 법의 교육경험 = 156 3. 가정폭력관련법의 인지실태 = 157 가. 법의 존재와 내용에 관한 인지도 = 157 나. 법의 인지경로 = 162 다. 법의 교육경험 = 164 제5장 성폭력·가정폭력에 관한 국제적 입법 및 정책동향 = 165 1. 유엔의 여성폭력대책 = 167 가. 북경(제4차 세계여성회의)행동강령의 여성폭력철폐전략 = 167 나. 제42차(1998년) 유엔여성지위원회의 결의 = 172 다. 유엔인권위원회의 가정폭력 모범입법례 = 173 2. 미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178 가. 여성폭력방지법 = 178 나. 여성폭력담당기구 = 192 다. 법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= 193 3. 캐나다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195 가. 형법 = 195 나. 여성폭력피해자보호를 위한 사법제도의 개선 = 196 다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197 4. 영국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200 가. 성폭력범죄자법 = 200 나. 가족법 = 201 다. 희롱으로부터의 보호법 = 202 라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202 5. 독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205 가. 형법 = 205 나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207 6. 스웨덴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211 가. 형법 = 211 나. 접근금지명령법 = 212 다. 피해자상담법 = 212 라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212 7. 호주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216 가. 형법 = 216 나. 가족법과 가정폭력방지법 = 219 다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220 8. 일본의 여성폭력 관련법과 정책 = 223 가. 형법 = 223 나. 주요 여성폭력대책 = 224 제6장 현행 성폭력·가정폭력관련법의 실효성과 인권보장기능의 강화방안 = 227 1. 성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·재판절차의 개선 = 229 가. 성폭력범죄의 유형과 처벌에 관한 규정의 개정 = 229 나. 성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= 240 2. 가정폭력에 관한 현행법과 수사·재판절차의 개선 = 247 가. 가정폭력의 당사자범위와 신고의무에 관한 규저의 정비 = 247 나. 가정폭력사건의 사법처리와 피해자보호제도의 개선 = 250 3. 비밀누설금지와 보도금지에 관한 성폭력특별법과 가정폭력특례법의 법정형 조정 = 256 4. 피해자보호시설의 기능활성화와 지원확대 = 257 5. 사법기관의 개선 = 258 가. 남성편중인력구조개선 = 258 나. 여성폭력전담부서의 설치 = 259 다. 정확한 통계의 구축과 공표 = 260 6. 여성인권과 여성폭력관련법률의 체계적 교육강화 = 260 7. 법의 시행평가와 폭력철폐운동을 위한 대중매체·시민단체의 연대활동 = 264 참고문헌 = 26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