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(조선시대) 농업과학기술사 발간사 = ⅲ 머리말 = ⅴ 제1장 농업과학기술사 서설(序說) = 1 1. 농업과학기술사란? = 1 2. 농업과학기술사 연구의 필요성 = 3 3. 농업과학기술사의 연구방법과 대상 = 5 제2장 조선 전기의 농정(農政)과 권농(勸農) = 9 1. 농정의 분담과 기구(機構) = 9 2. 농업기술직의 종류와 신분 = 15 3. 조선 전기의 권농정책 = 20 제3장 조선 전기의 농서형성과 주요 농서 = 67 1. 고려 말 이전의 중국농서 이용 = 67 2. 초록주해본(抄錄註解本) 농서의 편찬과 이용 = 70 3. 조선 전기의 농서편찬 = 72 4. 조선 전기 농서의 특징 = 94 제4장 조선 전기의 농업기술 = 97 1. 작물과 가축의 종(種) 및 품종의 재배기원과 내력 = 97 2. 조선 전기의 작물육종 = 103 3. 종자관리, 종자처리, 종자보급 = 109 4. 휴한농법(休閑農法)의 극복과 지력증진 기술 = 118 5. 작물보호와 재배학적 대응(混作에서 單作으로) = 125 6. 농업기상관측의 발전과 이용 = 131 7. 농업용수 이용과 수리(水利)기술 = 138 8. 농기구(農器具)의 발전과 이용 = 149 9. 15세기의 개간기술 = 161 10. 벼농사 기술과 논의 이모작(二毛作) = 163 11. 밭농사 기술과 작부방식 = 186 12. 섬유작물(삼, 모시풀, 목화)의 재배기술 = 202 13. 원예(채소, 과수)기술 = 207 14. 『양화소록(養花小錄)』의 화훼기술 = 224 15. 뽕나무 재배와 양잠 및 제사기술 = 240 16. 축산(소, 말, 닭, 꿀벌)및 수의(獸醫)기술 = 253 제5장 조선 후기의 농정(農政)과 권농(勸農) = 277 1. 농정제도와 권농 = 277 2. 농지소유제도와 병작(竝作) = 303 3. 농민부담과 계층분화, 대동법(大同法) = 313 제6장 조선 후기 농서와 중국농학의 영향 = 323 1. 후기의 여러 농서 = 323 2. 후기 농서에 미친 중국농학의 영향 = 355 3. 후기 농서의 특징 = 359 제7장 조선 후기의 농업기술 = 361 1. 새로운 작물의 도입 = 361 2. 작물의 품종개량(벼, 보리, 밀, 조, 콩, 팥) = 367 3. 후기의 농업기상-장기예측에서 단기예측으로 = 370 4. 재배환경과 벌레의 피해(蟲害) = 374 5. 덧거름(追肥) 시용기술과 진거름 거두기 = 382 6. 모내기의 확산과 수리기술 = 388 7. 후기의 다양한 벼농사 기술 = 396 8. 밭작물과 목화의 재배법 개선 = 405 9. 새로운 작물 옥수수, 고구마, 담배의 재배기술 = 411 10. 채소의 작목증가와 특수재배 = 417 11. 과수재배기술의 발전과 과실의 저장 = 424 12. 화훼원예기술의 발전 = 433 13. 뽕나무 재배와 양잠 및 작잠(작蠶)의 사육기술 = 437 14. 축산(소, 돼지, 양) 및 수의기술과 양어(養魚) = 442 15. 농업입지와 농업경영 규모 = 449 제8장 서구 농업과학기술의 도입 = 455 1. 조선 말기-대한제국시대의 농정 = 455 2. 새 농업과학의 도입과 농무목축시험장(農務牧畜試驗場) = 461 3. 개화기의 잠사업 권장 = 466 4. 새 농업교육과 농사시험연구 = 471 5. 개화기의 새 농업과학기술서 = 477 6. 개화기에 도입된 새 작물 및 가축과 그 품종 = 491 7. 대한제국 말기의 한국농업 = 495 제9장 맺음말 = 503 찾아보기 = 5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