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WTO 농업협상과 우리나라의 개도국 지위 제1장 서론 = 1 1. 연구의 배경과 목적 = 1 2. 연구범위와 방법 = 2 제2장 국제기구에서의 개도국 분류 상황 = 4 1. 일반현황 = 4 2. 주요 국제기구의 개도국 분류기준과 현황 = 7 2.1. 국제연합(UN) = 7 2.2. GATT/WTO = 8 2.3. IBRD/IMF = 12 2.4. OECD = 13 2.5. FAO = 15 2.6. 기타 = 16 3. 시사점 = 16 제3장 개도국지위 결정 기준의 변화동향 = 18 1. 고전적 결정기준 = 18 2. 현대적 결정기준 = 19 2.1. 현대적 결정기준의 도입 = 19 2.2. 신흥공업국가(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)의 등장 = 21 2.3. 산업별?부문별?품목별 개도국지위결정의 필요성 = 22 2.4. GSP와 개도국지위 = 24 3. 시사점 = 25 제4장 한국의 개도국 지위와 관련한 여건변화 = 28 1. 국내외 여건변화 = 28 2. 우리나라의 개도국지위와 관련된 주요 지표의 검토 = 30 2.1. 개요 = 30 2.2. 경제적 지표 = 31 2.3. 비경제적 지표 = 34 2.4. 우리나라 농업여건의 낙후성 = 41 3. 시사점 = 44 제5장 우리나라의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= 46 1.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와의 관계 = 46 2. 우리나라의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= 48 제6장 GATT 및 WTO체제에서 개도국지위와 특별대우 = 51 1. 개도국 우대조치의 배경과 법적 지위 = 51 2. GATT 체제에서 개도국 우대조치 = 54 2.1 개요 = 54 2.2. GATT 제18조 = 55 2.3 GATT 제4부 = 56 2.4 권능부여조항 = 57 2.5 일반특혜관세제도 = 59 3. WTO 체제에서 개도국에 대한 우대조치 = 60 3.1 개요 = 60 3.2 상품무역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= 61 3.3 서비스무역일반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= 68 3.4 지적재산권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= 69 3.5 분쟁해결협정상의 특별대우규정 = 71 3.6 무역개발위원회 = 72 4. WTO의 개도국 분류기준에 관한 논의동향과 전망 = 72 제7장 개도국지위 확보를 위한 대응방향 = 76 1. 국제사회 및 국제기구의 일반적 평가 = 76 2. UR 이후 경제 상황 및 농업부문의 여건변화 = 77 3. OECD 가입과 개도국지위 관련 대응논리 = 79 4. 주요국과의 공조체제 구축 및 설득 노력 = 80 5. 조속한 국내 대응체제 마련 = 82 부록 [부록 1] 환경관련 국제협약에서의 한국의 개도국지위 = 83 [부록 2] OECD에서 논의된 우리나라 개도국 지위문제(요약) = 84 [부록 3] 우리나라 개도국 지위관련 OECD 문서 원문 해석 = 93 [부록 4] 다자체제하에서 최빈개도국 분류현황과 시사점 = 113 참고문헌 = 13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