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한국근대농업사연구 : 전환기의 농민운동. 3 서 = ⅲ 도론 - 조선후기의 농업문제와 실학 1. 서언 = 1 2. 양란 후의 농정책과 주자학 = 2 3. 농민층의 분화와 실학파의 개혁방안 = 6 4. 농민층의 항쟁과 실학파의 개혁방안 = 15 5. 결어 = 20 철종조의 민란발생과 그 지향 - 진주민란 안핵문건의 분석 1. 서언 = 23 2. 자료에 대하여 = 25 3. 민란의 전개과정과 도회·呈소운동의 목표 = 29 1) 민란발생의 계기와 그 전개과정 = 29 2) 도회·呈소운동의 주체와 그 목표 = 40 4. 민란발생의 배경과 난 추진세력의 지향 = 48 1) 농촌사회의 분해와 모순의 심화 = 51 2) 신분제의 동요와 사회평등의식의 성장 = 60 3) 몰락농민의 사난의식 형성과 지향 = 71 5. 결어 = 75 부민란의 사회경제사정과 지적환경 - 동학란·농민전쟁의 배경 이해와 관련하여 1. 서언 = 79 2. 고부민란의 경제사정 = 81 1) 고부민의 농지소유와 분해 = 82 2) 부세의 가중과 지주제의 확대 = 89 3) 시작농민의 추이 = 97 3. 고부민란의 정치·사회배경 = 103 1) 신분제의 변동·해체의 진전 = 104 2) 지배층의 정치변란 개혁운동 = 109 3) 민의 정치·사회적 저항운동 = 116 4) 동학교단의 교조 신원운동 = 122 4. 고부지역의 지적환경 = 125 1) 향교 = 126 2) 서원 = 131 3) 서당 = 135 4) 학교교육의 성과와 사상의 특징 = 136 5) 동학 = 140 5. 결어 - 민란의 전개와 그 운동사적 위치 = 142 「전봉준 공초」의 분석 - '동학란'의 성격 일반 1. 서언 = 147 2. 농민군 기포 전제의 문제 = 150 3. 농민군의 조직과 구성 문제 = 158 1) 농민군 조직의 통일성 여부 = 160 2) 농민군의 신분계급 구성 = 165 (1) 교도층과 기포 = 166 (2) 농민층과 기포 = 169 (3) 양반·향리·이집망층과 기포 = 171 (4) 혁신 지도층과 기포 = 172 4. 농민군의 반봉건 실천의식 문제 = 176 1) 교단본부의 자세 = 177 2) 남접 전봉준 등의 혁신성 = 185 (1) 진보적 사상의 형성단계 = 188 (2) 고부민란의 단계 = 191 (3) 3월기포의 단계 = 197 (4) 집강소시기의 단계 = 204 (5) 9월기포의 단계 = 215 5. 농민군의 반침략 민족의식 문제 = 222 1) 전봉준 등의 민족의식 = 223 2) 동학교문의 자세 = 229 6. 결어 = 236 영문개요 = 243 색인 = 24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