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통일과 농촌사회 : 지속발전 가능한 농촌사회를 위하여 「변화의 새물결」을 위하여 「통일과 농촌사회」를 펴내면서 제1부 농촌사회의 국제적 변화와 전망 제1장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발전의 필요성 / 김형준 = 17 Ⅰ. 들어가는 말 = 17 Ⅱ.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 = 19 Ⅲ. 강원도 발전 계획과 지속가능한 발전 = 26 Ⅳ. 맺음말 = 31 제2장 사회주의 농업체제의 변화와 국제농촌사회의 전망 / 한도현 = 35 Ⅰ. 머리말 = 35 Ⅱ. 사회주의적 농업의 한계와 개혁 = 36 Ⅲ. 사회주의적 농업개혁의 유형과 특징 = 38 Ⅳ. 사회주의적 농업개혁과 국제사회의 전망 - 맺음말을 대신하며 - = 49 제3장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/ 박대식 = 55 Ⅰ. 서론 = 55 Ⅱ. 뉴 라운드 협상의 최근 논의 동향과 주요 쟁점 = 57 Ⅲ. WTO 농산물협상의 최근 동향과 전망 = 63 Ⅳ. 기존 WTO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 추이 = 68 Ⅴ. 뉴 라운드체제하의 세계농촌사회의 변화와 전망 = 75 제2부 분단하의 남북한 경제사정과 농촌 제1장 분단후 남·북한 경제구조의 변화 / 황신준 = 83 Ⅰ. 서언 = 83 Ⅱ. 조선사회의 근대화 성격과 해방 당시 우리 사회의 역사적 과제 = 84 Ⅲ. 남한 사회·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= 86 Ⅳ. 북한 사회·경제의 발전과 경제구조의 변화 = 94 Ⅴ. 남·북한 경제현황 비교 = 98 Ⅵ. 맺음말 = 99 제2장 분단에 따른 남북한의 농업구조 변화 / 옥한석 = 102 Ⅰ. 서론 = 102 Ⅱ. 농업의 생산 환경과 경지 면적 = 103 Ⅲ. 토지제도와 토지소유 관계 = 105 Ⅳ. 농업 경영과 농촌 개발 = 109 Ⅴ. 농촌 인구와 사회 = 113 Ⅵ. 결론 = 116 제3장 남북한 식량수급의 변화 / 이병오 = 119 Ⅰ. 머리말 = 119 Ⅱ. 남북한 식량작물 생산추이 = 120 Ⅲ. 북한의 식량수급 전망 = 134 Ⅳ. 맺음말 = 137 제4장 남북한 임업구조의 변화 / 최인화 = 140 Ⅰ. 서언 = 140 Ⅱ. 남북한 임정의 전개 = 141 Ⅲ. 남북한 임업의 현상 = 153 Ⅳ. 과제 및 전망 = 165 제5장 남북한 축산업구조의 변화 / 오상집 = 169 Ⅰ. 머리말 = 169 Ⅱ. 축산업과 제도 = 170 Ⅲ. 축산업 규모의 변화 = 177 Ⅳ. 축산분야 조직 및 체계의 변화 = 187 Ⅴ. 맺음말 = 193 제6장 남북한 농산물 유통구조의 변화와 농산물교류 협력 / 고종태 = 196 Ⅰ. 서언 = 196 Ⅱ. 북한의 상품 및 농산물 유통 = 197 Ⅲ. 남북 농산물교류·협력 추진현황과 전망 = 209 Ⅳ. 맺음말 = 215 제3부 남북한의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 방안 제1장 남북한의 식·약용 식물자원 이용 방안 / 박철호 = 221 Ⅰ. 서론 = 221 Ⅱ. 남북한 식물자원의 분포·이용·보존 = 222 Ⅲ. 남북한 식물자원의 교류 실태 및 전망 = 241 Ⅳ. 통일 이후 남북한 식물자원의 개발과 이용 전략 = 247 Ⅴ. 결론 = 252 제2장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과 개발 방안 / 김지홍 = 255 Ⅰ. 머리말 = 255 Ⅱ. 북한의 산림자원 현황 = 256 Ⅲ. 북한의 황폐 산림 복구 = 266 Ⅳ. 산림자원 분야 남북한 교류 협력 = 274 Ⅴ. 맺음말 = 278 제3장 남북한의 수자원 개발과 활용 방안 / 최중대 = 281 Ⅰ. 머리말 = 281 Ⅱ. 남북한의 수자원 현황 = 281 Ⅲ. 남북한의 농업수리시설 현황 = 287 Ⅳ. 남북한의 수자원 수요 및 개발 현황 = 291 Ⅴ. 통일 후 수자원의 개발과 활용 방안 = 296 제4장 통일대비 생태자원 보전과 활용 방안 -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- / 신효중 = 303 Ⅰ. 머리말 = 303 Ⅱ. 생태자원의 보전 방안 = 304 Ⅲ. 생태자원의 활용 방안 = 312 Ⅳ. 맺음말 = 319 제4부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사회 제1장 통일후 토지정책의 방향설정을 위한 제도 고찰 / 전운성 = 325 Ⅰ. 머리말 = 325 Ⅱ. 남북분단에 따른 사회체제의 이질화와 토지제도의 변화 = 326 Ⅲ. 통일후 지속발전 가능한 상생의 토지정책 방향 = 338 Ⅳ. 맺음말 = 347 제2장 통일후 농업생산조직 활성화 방안 / 이영길 = 350 Ⅰ. 서론 = 350 Ⅱ. 남한의 농업생산조직 = 352 Ⅲ. 북한의 농업생산조직 = 360 Ⅳ. 농업생산조직의 활성화 방안 - 맺음말을 대신하여 - = 366 제3장 통일후 산촌의 정착과 활성화 방안 / 박봉우 = 376 Ⅰ. 서론 = 376 Ⅱ. 북한의 산지와 산림 자원 = 378 Ⅲ. 산촌의 형성과 정착 - 남한지역의 경험 = 382 Ⅳ. 북한지역에서의 산촌의 형성과 발전 전략 = 387 Ⅴ. 맺는말 = 399 제4장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정주권 체계 / 김갑열 = 402 Ⅰ. 서론 = 402 Ⅱ. 남북한 정주생활권 구조 = 405 Ⅲ. 통일 후 농촌정주체계의 변화 전망과 환경친화적 관리방안 = 417 Ⅳ. 결론 = 422 제5장 통일후 한국가족과 가족정책 - 통일후 지속가능한 농촌가족의 구상을 위하여 - / 이경희 = 426 Ⅰ. 서론 = 426 Ⅱ. 현대사회와 가족 = 427 Ⅲ. 분단후 남북한 가족비교 = 430 Ⅳ. 통일후 가족정책 방향 = 446 Ⅴ. 결론 = 448 제6장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과 우리 농업부문에 대한 전망 / 이종민 = 453 Ⅰ. 머리말 = 453 Ⅱ. 한국의 지역경제통합 참여의 필요성 = 454 Ⅲ. 동북아지역 국가들의 경제현황 = 457 Ⅳ. 역통합에 따른 경제적 효과 = 464 Ⅴ. 지역경제권의 평가와 농업 = 470 Ⅵ. 맺음말 = 479 남북한 농업·농촌관련 연표 / 김기성 = 485 찾아보기 = 509 저자소개 = 5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