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(기상기술개발) 인공강우 실험 연구. 2 요약문(Summary) = 3 영문요약문(Summary in English) = 7 영문목차(Contents in English) = 13 목차(Contents) = 18 그림 차례(List of Figures) = 23 표 차례(List of Tables) = 30 제1장 서론(Introduction) = 33 제2장 국내외 현황(Current status of foreign and domestic countries) = 36 제1절 개요(Introduction) = 36 제2절 미국의 인공강우 현황(U.S.A) = 36 제3절 호주의 인공강우 현황(Australia) = 43 제4절 중국의 인공강우 현황(China) = 49 제5절 국내 및 기타 국가의 인공강우 현황(Korea and Other countries) = 54 제3장 인공강우의 개요 및 이론적 배경(Basic theory of cloud seeding and historical background) = 56 제1절 인공강우의 개념과 원리(Concepts and principles of cloud seeding) = 56 1. 구름형성과 강수발달과정(Formation of cloud and rain development process) = 56 2. 구름 조절의 미세 물리(Microphysics of cloud control) = 66 3. 구름의 씨뿌리기 가능성과 측정(Seedability of cloud and its measurement) = 74 제2절 구름 조절에 의한 인공증우와 증설(Enhancement of rainfall and snow by cloud seeding) = 78 1. 증우 지역의 강수 관련 기후 조사(Climatological character analysis for seeding area) = 78 2. 과냉각 구름의 조절(Control of supercooled cloud) = 80 3. 온난구름의 조절(Control of warm cloud) = 82 제4장 인공강우 실험방법 및 장비(Methods and devices for cloud seeding) = 84 제1절 개요(Introduction) = 84 제2절 비씨의 살포방법(Seeding methods) = 84 제3절 비씨의 종류(Seeding materials) = 89 1. 한랭구름에 사용되는 비씨 약제(Seeding materials for cold cloud) = 90 2. 온난구름에 사용되는 비씨 약제(Seeding materials for warm cloud) = 92 제4절 실험장비(Experimental devices) = 94 1. 씨뿌리기 장비(Seeding devices) = 94 2. 항공기(Aircraft) = 98 3. 항공 탑재용 구름물리 측정장비(Airborne cloud physics equipments) = 99 4. 레디오메타(Radiometer) = 104 5. 기타 장비(Other devices) = 110 제5장 한국의 인공강우 기상 환경(Weather conditions for cloud seeding in Korea) = 111 제1절 우리나라의 강수특성(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) = 111 1. 강수량의 특색(Characteristics of rainfall) = 111 2. 강수량 분포의 특색(Characteristics of rainfall distribution) = 120 3. 남한지역 연평균면적강수량 추정(Estimation of areal precipitation) = 126 제2절 우리 나라의 가뭄 특성(Characteristics of drought in Korea) = 134 1. 가뭄의 정의(Definition of drought) = 134 2. 가뭄의 기상학적 원인(Meteorological causes of drought) = 135 3. 우리나라의 가뭄(Drought of Korea) = 136 4. 가뭄 지수(Drought index) = 141 5. 대기 순환과 가뭄(Drought and atmospheric circulation) = 142 제3절 인공강우 실험을 위한 기상 여건 분석(Analysis of cloud resources) = 146 1. 구름 개론(Survey of cloud) = 146 2. 한반도에서의 태풍과 적란운에 의한 강수량 조사(Investigation of precipitation due to typhoon and cumulus cloud over Korea) = 152 3. 인공강우에 적합한 구름 분석(Analysis of cloud appropriate for cloud seeding) = 160 4. 구름과 고층 관측의 문제점(Problems of observations in cloud and upper air) = 165 5. 1994년 기상 환경 조사(Investigation of drought of 1994) = 167 제6장 한국의 인공강우 실험 활동(Cloud seeding activities in Korea) = 171 제1절 외국의 기술현황 파악 및 기술전수(Investigation of foreign status and technique) = 171 1. 미국 사막연구소 기술방문(Technical visit to Desert Research Institute) = 171 2. 중국 기상과학연구원 기술방문(Technical visit to Chinese Academy of Meteorological Science) = 172 3. 미국 TEXARC 실험 참가(Technical visit to TEXARC) = 173 4. 미국 기상학회(AMS) 참가(Participating to the 13th Conference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) = 174 5. 미국기상조절학회(WMA) 총회 참가(Participating to the 45th annual meeting of Weather Modification Association) = 175 6. 멕시코 및 미국 인공강우 현장 참가 및 실험기술 조사(Technical visit to the Mexico cloud seeding project and NCAR/RAP) = 176 7. 호주 인공강우 관련 전문가 초청 활용(Consultant of Australian specialist of cloud seeding) = 178 8. Clark 모델 도입 및 운영(Fiting and operating the Clark Model) = 180 제2절 항공실험을 위한 공군수송기 사용 협조체제 구축(Establishing the cooperation work with Korean Air Forces for seeding aircraft) = 181 1. 항공실험용 항공기 지원(Supporting the aircraft for seeding) = 182 2. 실험 지원 내용(Contents of support) = 182 3. 항공 생리 적응 훈련 실시(Taking the biophysical training for flying) = 182 4. 장비 탑재를 위한 항공기 개조 가능성 조사(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for modification of the seeding aircraft) = 183 5. 실험실시(Executing the seeding) = 184 6. 요오드화은 연소탄 항공 실험 실시(Airborne seeding using silver iodide flare) = 184 7. 향후 추가 지원 협의(Discussing the future seeding plans) = 185 제3절 장비 제작 및 비씨 물질 개발(Fabrication of seeding devices and development of seeding materials) = 185 1. 장비 제작 및 도입(Manufacture and introduction of seeding devices) = 185 2. 실험용 비씨물질 개발(Developing the seeding material for experiments) = 191 제4절 지상 실험 및 결과(Ground seeding and its results) = 194 1. 실험 환경(Environment of experiment) = 194 2. 실험 내용(Contents of experiments) = 195 3. 실험 분석(Analysis of Experiments) = 218 4. 지상실험 화학 분석 결과 정리(Summary of the chemical analysis of ground seeding) = 227 5. 인공강우 목표 및 검증 지역 선정(Target and control area for cloud seeding) = 229 6. 인제 지역 기상 특성 조사(Investigation of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je area) = 234 7. 대기 확산 실험(Diffusion experiment) = 241 8. 레디오메타를 이용한 안동댐 지역의 수함량 조사(Investigation of cloud water content over Andong area using Radiometer) = 246 제5절 항공실험 및 결과(Airborne experiments and its results) = 253 1. 실험 구름의 기준(Criteria for cloud seeding experiment) = 254 2. 드라이 아이스를 이용한 실험(Airborne cloud seeding with dry-ice) = 257 3. AgI 연소탄을 이용한 항공실험(Airborne cloud seeding with AgI flare) = 267 제6절 실험 평가 및 제언(Assessment of experiments) = 276 제7장 구름 및 강수 수치모델 개발(Cloud-Precipitation Model) = 278 제1절 수치모델 연구의 필요성 및 방법(Necessities and Methods of numerical study) = 278 제2절 Clark-Hall 모델 소개(Introduction to Clark-Hall model) = 279 1. 수분 미세 물리(Water Rain Microphysics) = 279 2. 얼음 미세 물리(Ice Microphysics) = 284 제3절 수치 실험 설계(Design of numerical experiment) = 289 1. 모델 영역(Domain of numerical experiment) = 289 2. 초기자료(Initial data) = 291 3. 경계조건 및 수분 미세물리과정(Boundary conditions and microphysics) = 291 제4절 수치실험 결과(Results of numerical experiment) = 291 제5절 토의 및 결론(Discussion and Conclusions) = 297 제8장 인공강우 기술의 경제성 평가(Economic assessment of cloud seeding) = 299 제1절 인공강우의 경제성 고려(Economic consideration of cloud seeding) = 299 1. 기상조절에 의한 물 관리(Water management by weather modification) = 300 2. 강우 증가가 농작물 경작에 주는 영향(Effects of rainfall increases on crop yields) = 301 3. 우박 억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(Effects of hail suppression on economy) = 303 4. 총 이익과 순 이익 간의 차이(Distinction between gross and net benefits) = 304 제2절 몇 가지 실제 예에서의 경제성 분석(Cost benefit analysis of seeding examples) = 306 1. 미국의 경우(Case of Nevada project, U.S.A) = 306 2. 호주의 경우(Case of Tasmania, Australia) = 307 3.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성 추정(Estimated cost-benefit analysis in Korea) = 308 제9장 결론 및 제안(Conclusions and suggestions) = 310 제10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(Accomplishment and contribution) = 312 제11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(Plans for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) = 316 제12장 참고 문헌(References) = 3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