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. 1-4 [1권] 제1편 정치적·정책적 과정과 공공부문 생산성 Ⅰ. 공공부문과 정치적 과정 = 3 1. 서론 = 3 2. 공공부문과 정치적 과정 = 6 Ⅱ. 공공부문의 팽창과 적정규모 = 10 1. 공공부문 규모의 추이와 현황 = 10 2. 공공부문의 적정규모 = 16 3. 공공부문활동의 경제적 효과 : 최근의 주요이론 요약 = 18 Ⅲ. 국가경쟁력과 공공부문 생산성 평가 = 27 1. 국가경쟁력의 개념 = 27 2. 국가경쟁력 평가방식 = 30 3. 국가전체 경쟁력 = 47 4. 공공부문의 국가경쟁력 = 52 Ⅳ. 정부실패와 공공부문의 저생산성 : 올바른 인식 = 59 1. 시장경제와 시장실패 = 59 2. 정부의 실패 = 61 3. 공공부문의 비효율성과 저생산성 = 65 Ⅴ. 정치적 과정과 공공부문 생산성 = 73 1. 정치적 의사결정과 시장적 의사결정 = 73 2. 다수결제도와 자원배분의 비효율성 = 78 3. 다수결제도와 정책결정의 순환 = 82 4. 투표자의 합리적 무지와 구호정치 = 84 5. 이익집단과 사회적 능률 저하 = 86 6. 지대추구와 사회적 손실 = 90 Ⅵ. 정책결정과정과 정책생산성 = 102 1. 경제정책의 목적과 수단 = 102 2. 경제정책 목표의 상충문제 = 105 3. 경제정책 목표 설정의 문제 = 106 4. 경제지식 한계의 문제 = 108 5. Tinbergen의 법칙 = 109 6. 정책시차의 문제 = 110 7. 차가운 머리와 뜨거운 가슴 = 111 Ⅶ. 공공부문개혁 논의의 전제와 과제 = 114 1. 자본주의와 경기규칙 = 114 2. 공공부문 개혁의 전제조건 = 118 3. 정책결정과정의 문제 = 119 4. 재정운영 관련 제도의 개혁 = 120 5. 경쟁과 유인의 중요성 = 123 참고문헌 = 126 제2편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념 틀과 현실적 과제 Ⅰ. 서론 = 137 Ⅱ. 정부생산성의 개념 = 140 1. 사회복지와 정부생산성 = 140 2. 정부역할의 합리성 = 143 3. 효률성 = 145 4. 효과성 = 147 Ⅲ. 한국에서의 정부생산성 문제 = 148 1. 정부생산성에 대한 평가 = 148 2. 투입과 절차 중심의 정부관리 = 151 3. 시장원리의 경시 = 153 4. 정보체계의 문제 = 155 5. 정부중심적 사고와 책임성 = 157 Ⅳ. 정부생산성 제고를 위한 과제 = 160 1. 성과중심의 정부관리 = 160 2. 시장원리의 적용범위 확대 = 162 3. 규제의 합리화 = 166 4. 정책결정의 개선 = 168 5. 예산관리의 합리화 = 170 6. 정부조직의 개편 = 172 7. 인사관리제도의 개편 = 175 Ⅴ. 맺는말 = 179 참고문헌 = 182 제3편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를 위한 공무원의식 설문조사 Ⅰ. 서론 = 187 1. 설문조사의 필요성 = 187 2. 설문조사의 방법과 대상 = 188 3. 조사대상 공무원의 특성 = 189 Ⅱ. 정부생산성의 개념 = 195 Ⅲ. 업무생산성에 대한 의식 = 206 Ⅳ. 정책결정과정의 효률성 = 220 Ⅴ. 행정전산화 = 234 Ⅵ. 예산제도의 개선 = 256 Ⅶ. 정부조달제도의 개편 = 266 [2권] 제1편 공공부문 생산성 지표의 개발과 활용 Ⅰ. 정부생산성 측정의 이론적 기초 = 3 1. 생산성의 기준 = 3 2. 생산성 측정의 의의와 틀 = 5 3. 생산성 측정방법에 관한 선행연구 = 7 4. 생산성 지표의 요건과 우선 적용분야 = 15 5. 생산성 지표의 한계 = 17 Ⅱ. 우리나라의 공공부문 생산성 측정제도 = 20 1. 정부투자기관 경영평가 = 21 2. 정부출연 연구기관 평가 = 25 3. 대학 평가 = 27 4. 지방교육청 종합평가 = 31 5. 지방자치단체 종합성과 평가 = 34 6. 의료보험조합 경영평가 = 34 7. 중앙행정기관의 민원처리 국민만족도 평가 = 37 8. 서울 특별시 사회복지관 운영평가 = 39 9. 서울 특별시 자치구 구정진단 = 41 10. 중앙일보사의 도시 비교평가 = 43 Ⅲ. 외국의 정부생산성 측정사례 = 45 1. OECD회원국의 정부생산성 측정 동향 = 45 2. 영국의 생산성 측정사례 = 51 3. 미국의 생산성 측정사례 = 56 4. 캐나다의 생산성 측정사례 = 60 5. 호주의 생산성 측정사례 = 61 6. 핀란드의 생산성 측정사례 = 63 Ⅳ. 정부생산성 측정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= 65 1. 설문조사응답자의 특성 = 65 2.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 = 66 Ⅴ. 정부생산성 지표의 구성체계 = 77 1. 측정기준별 정부생산성 지표 = 78 2. 측정대상별 정부생산성 지표 = 81 Ⅵ. 정부생산성 지표의 활용 = 98 1. 생산성 지표의 측정체계 = 98 2. 생산성 지표의 활용방법과 유인장치 = 100 3. 생산성 측정의 단계적 추진 = 102 참고문헌 = 105 제2편 공공부문 생산성 제고를 위한 행정정보화의 효률적 추진방안 Ⅰ. 서론 = 115 1. 연구의 목적 = 115 2. 연구의 범위와 방법 = 118 Ⅱ. 정부생산성과 정보기술 = 120 1. 정부생산성 = 120 2. 정보기술 = 126 3. 정보기술과 정부생산성 제고 = 128 Ⅲ. 외국의 행정정보화 추진체계 분석 = 130 1. 미국 = 131 2. 일본 = 144 3. 싱가포르 = 153 4. 캐나다 = 160 5. 외국의 추진체제 비교분석 및 시사점 = 162 Ⅳ. 우리나라 행정전산망사업의 추진실적과 평가 = 168 1. 제1차 행정전산망사업(1987∼1991) = 169 2. 제2차 행정전산망사업(1992∼1996) = 179 3. 행정정보화 관련 설문조사 분석 = 186 4. 종합적 평가 = 188 Ⅴ. 행정정보 공동활용 사례분석 : 주민등록DB를 중심으로 = 190 1. 주민등록전산망사업의 추진과정 및 실적 = 190 2. 주민등록DB공동활용 실태와 문제점 분석 = 194 3. 주민등록DB공동활용 부진의 원인 분석 = 201 4. 주민등록DB공동활용 증진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 = 225 Ⅵ. 요약 및 정책제언 = 229 참고문헌 = 236 제3편 정책결정과정과 공공서비스 제공과정의 개선방향 Ⅰ. 공공부문 정책결정과정 개선의 의의 = 245 Ⅱ. 정책결정과정과 공공부문 생산성 = 247 1. 정치적 의사결정과 시장적 의사결정 = 247 2. 정책결정과정과 공공서비스 제공과정 = 250 3. 정책결정에의 참여자 = 253 4.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한 공공서비스 제공과정 = 259 5. 행정정보 공개와 공공부문 생산성 = 265 Ⅲ. 공공부문 정책결정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= 269 1. 정책결정과정 단계와 문제점 = 269 2. 정보공개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= 289 Ⅳ. 정부 정책결정 역량의 실태와 원인분석 = 292 1. 설문조사 개요 = 292 2. 정책결정 및 집행에 있어서의 전문성 부족 = 294 3. 정책수요 파악 및 반영의 미흡 = 299 4. 업무협조의 장애 = 303 5. 정책결정과정상의 문제점 = 308 Ⅴ. 공공부문 정책결정과정 개선의 기본방향 = 313 1. 정책수요 파악의 개선 및 비용편익분석의 개선 = 313 2. 입법화과정의 개선과 사후평가 개선 = 317 3. 정부정책 역량의 제고방안 = 318 4. 정책결정 진행 DB구축 및 자료이용의 효률화 = 320 Ⅵ. 결론 = 324 참고문헌 = 326 제4편 국가경쟁력과 경제성장 Ⅰ. 서론 = 331 Ⅱ. 국가경쟁력 = 334 1. 각종 국제보고서상의 국가경쟁력 = 334 2. 국가경쟁력 측정방법 = 338 3. 우리나라 국가경쟁력 결정요인 = 345 4. 경쟁력지수의 신뢰성 검증 = 354 Ⅲ. 경제성장과 국가경쟁력 : 실증검토 = 362 1. 청렴(부패)지수와 경제성장 = 362 2. 경제성장과 국가운영 = 373 Ⅳ. 결론 = 386 참고문헌 = 390 부록 = 393 [3권] 제1편 공공부문 생산성과 예산제도의 개선방안 Ⅰ. 서론 = 3 Ⅱ. 성과관리의 강화 = 7 1. 성과 및 산출예산제도 = 7 2. 뉴질랜드 및 호주의 산출예산제도 = 11 3. 성과관리 강화를 위한 방안 = 19 Ⅲ. 지출통제의 개선방안 : 재량권 및 책임성의 강화 = 27 1. 경상경비 관리의 개선 = 27 2. 사업비 관련 예산제도의 개선 : 계속비 및 국고채무부담행위의 활용확대 = 30 3. 다년도 예산편성 = 37 4. 지방재정조정제도의 개편 = 40 5. 기타 개선방안 : 수입류보권 허용 및 회계제도의 개선 = 44 Ⅳ. 결론 = 47 참고문헌 = 50 부록 = 52 제2편 공공부문 생산성과 정부회계제도의 개선방안 Ⅰ. 공공부문회계의 의의와 현황 = 65 1. 정부회계의 의의와 목적 = 65 2. 정부회계정보의 이용자 = 68 3. 정부재정관리에 있어서 회계의 역할 = 71 4. 우리나라의 관련법규와 회계처리 = 74 5. 정부회계와 기업회계 = 76 6. 미국의 정부회계와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비교 = 82 Ⅱ.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문제점 = 89 1. 회계기준 및 목적과 회계기구 = 89 2. 측정 및 인식 기준 = 90 3. 단식부기와 복식부기 = 91 4. 원가계산 : 조직 단위 및 활동의 평가 = 93 Ⅲ. 단식부기 및 현금주의로 인한 문제점의 구체적 예시 = 94 1. 정부결산서 또는 장부상 관련항목간의 계수적 연계성 결여 = 94 2. 지방자치단체 결산서상 계수적 연계성 결여사례 = 101 3. 정부의 순자산 파악 곤난 = 104 4. 정부기관의 성과측정 곤난 = 108 5. 우발상황에 대한 준비의 결여 = 110 Ⅳ. 우리나라 정부회계의 개선방향 = 111 1. 정부회계의 개선방안 = 111 2. 개선방안의 단계적 실행에 대한 제안 = 116 참고문헌 = 121 제3편 공공부문 생산성과 공공감사의 합리화방안 Ⅰ. 정부생산성에 대한 공공감사의 역할 = 127 1. 공공감사의 의의 = 127 2. 공공감사의 사회적 효익과 비용 = 136 3. 정부생산성에 대한 공공감사의 공과 = 157 Ⅱ. 감사환경과 수요의 변화 = 160 1. 분권화와 자률화 = 160 2. 시스템 역량의 확충과 성과 지향 = 162 3. 정보화와 지식 중심 사회의 진전 = 163 Ⅲ. 공공감사의 합리화방안 = 166 1. 수요자 중심의 감사제도와 감사 운영 = 168 2. 공공감사체계의 통합과 감사기능의 분담 = 184 3. 감사에 대한 품질관리 강화 = 210 4. 성과감사와 예방감사 정착 = 227 5. 감사기반 확충과 감사역량의 배양 = 241 6. 자체감사의 전문화와 활성화 = 251 Ⅳ. 결론 = 264 1. 요약 = 264 2. 공공감사 합리화방안의 추진 체계 = 271 참고문헌 = 274 제4편 공공부문 생산성과 정부조달제도의 개선방안 Ⅰ. 서론 = 287 Ⅱ. 정부조달의 의의와 역할 = 290 1. 정부조달의 성격 = 290 2. 정부조달의 역할 = 291 3. GATT에서의 정부조달에 대한 논의 = 292 4. 주요 정부조달시장의 진입제한 현상 = 294 Ⅲ. 정부조달제도의 개황 = 298 1. 우리나라 정부조달제도의 현황 = 298 2. 우리나라 정부조달제도의 문제점 = 304 3. 주요국의 정부조달제도 = 305 Ⅳ. 정부조달제도 개선의 필요성과 기본방향 = 308 1. 조달환경의 변화와 개선의 필요성 = 308 2. WTO정부조달협정의 출범과 우리나라의 가입 = 309 3. 정부조달제도 개선의 기본방향 = 326 Ⅴ. 정부조달제도의 개선방안 = 329 1. 경쟁을 유발하고 사행성을 방지하는 제도 구축 = 329 2. 품질우선 및 자률을 존중하는 제도 확립 = 337 3. 구매절차의 혁신을 통한 적시성 확보 및 구매전문가의 육성 = 356 4. 부정 및 비리 발생 소지의 제거를 위한 제도의 투명성 확립 = 366 Ⅵ. 결론 = 372 참고문헌 = 376 부록 = 379 [4권] Ⅰ. 서론 = 3 Ⅱ. 공·사기업의 효률성 비교 = 12 1. 이론적 고찰 = 12 2. 실증적 분석과 사례연구 = 26 3. 종합적 평가 = 34 Ⅲ. 효률성의 실증적 분석 = 35 1. 기본 모형 = 35 2. 한국전력공사의 경우 = 38 3. 한국전기통신공사의 경우 = 50 Ⅳ. 공기업의 민영화 = 95 1. 민영화의 일반이론 = 95 2. 본 연구의 민영화 이론 = 111 3. 주요 국가의 민영화 추진 동향 = 117 4. 우리나라 공기업의 민영화 과정 및 계획 = 146 5. 바람직한 민영화의 방향 = 154 Ⅴ. 정보통신시장의 개방과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= 164 1. WTO의 통신시장개방 = 164 2. 선진국의 대한 통신서비스시장 개방압력 강화 동향 = 169 3. GIS, ITA, CALS 추진 현황 = 173 4. 주요국 통신업계의 경쟁력 제고 추진 동향 = 185 5. 방송·통신업계의 제휴·합병 활성화 동향 = 190 6. 정보통신업체간의 국제 컨소시엄 결성 동향 = 193 7. 전자통신장비 관련제품 인증제도 강화 동향 = 196 8. 정보통신업계의 시장확보 경쟁 동향 = 198 9. 통신업계의 아시아 진출 적극화 동향 = 202 10.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= 204 Ⅵ. 우리나라 전력산업의 현황과 구조개선 방안 = 257 1. 전력산업의 구조적 특징 = 257 2. 전력산업의 현황 = 264 3. 전력수요의 전망 = 268 4. 전력산업의 경쟁력 현황 = 270 5. 정부의 정책방향 = 282 6. 전력산업의 발전방향 = 288 7. 전력산업의 구조개선 방안 = 299 Ⅶ. 요약 및 결론 = 327 1. 정보통신산업과 한국전기통신공사 = 328 2. 전력산업과 한국전력공사 = 347 참고문헌 = 370 [부록] 렘지(Ramsey)의 가격결정 이론 = 38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