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외로움의 습격 : 모두, 홀로 남겨질 것이다 005 prologue ‘21세기 우리’의 또 다른 이름, ‘외로움’ 1장 ‘외로워진다’는 것 022 21세기, 외로움을 만나다 028 외로움이란 무엇인가? : 외로움의 ‘짧은’ 역사 035 왜 외로움이 위험한가? 044 우리는 얼마나 외로울까? 053 20대, 외로운 세기의 가장 외로운 세대 2장 외로움이 ‘디지털’을 만날 때 065 외로움이 ‘디지털’을 만날 때 073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?① : 경이적인 발전 속도 079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?② : 네트워크 효과 084 왜 디지털은 분배 격차를 만들어 낼까?③ : 중숙련 일자리 대체와 저숙련 일자리 증가 088 격차를 더 뚜렷하게 만드는 생성형 인공지능 092 데이터가 나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108 ‘론리 사피엔스’가 된 디지털 인류를 위한 공동체 3장 데이터가 ‘편견’을 만날 때 119 인간은 정보처리 시스템이다? 124 데이터란 무엇인가? 128 왜 거대한 규모의 데이터는 인간을 필요로 할까? 139 빅데이터는 인간의 노동을 과소평가한다 149 빅데이터도 편견을 가진다 161 빅데이터는 빈곤한 이에게 더 엄격하다 172 빅데이터는 일하는 자에게도 엄격하다 180 빅데이터도 학연, 지연, 성별 등에 연연한다 186 빅데이터는 지구마저 외롭게 만든다 195 인간이 맺는 좋은 관계가 좋은 데이터를 만든다 4장 외로움이 ‘능력주의’를 만날 때 204 ‘능력주의’란 무엇인가? 209 ‘능력’이란 무엇일까? 216 왜 우리는 능력주의에 열광하는가? 221 능력도 상속된다 229 능력주의는 왜 성공한 사람에게도 해로울까? 238 ‘한국의 능력주의’는 뭐가 다를까? 246 능력주의가 ‘고용 신분 사회’를 만든다고? 255 능력주의가 중산층마저 외롭게 만든다고? 260 굴욕의 정치가 만드는 우파 포퓰리즘 268 ‘디지털 능력주의’ 시대,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외로움 5장 외로움의 ‘습격’,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? 280 사회적 가치 차원의 대응책 : 강박적 자기 책임의 윤리에서 벗어나자 286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① : ‘경청’하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만들자 292 사회 문화적 차원의 대응책② : 경청을 시민교육의 핵심으로 삼자 297 분배 차원의 대응책 : ‘노동시장’을 통하지 않는 분배 대안 300 노동을 분배 기준으로 삼지 않는 기본소득과 기초자산 305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① : ‘생애 주기 자본금’ 311 기초자산을 작동하게 만들기② : ‘생애 주기 자본금’의 재원, 배당, 수령 조건, 반환 319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① : ‘인생 위기·전환 대응 소득’ 323 기본소득 작동하게 만들기② : ‘인생 위기·전환 대응 소득’의 재원, 배당, 수령 조건, 반환 330 권리 차원의 대응책 : 디지털 시민권 343 epilogue ‘아빠’라는 몽상가들에게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