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식량위기, 이미 시작된 미래 서문 1장 침략당한 세계의 빵 바구니: 비극의 씨앗이 전 세계에 뿌려졌다 해바라기와 체르노젬 = 20ㅣ개발도상국을 압도하는 선진국의 농업 경쟁력 = 23 | ‘아랍의 봄’이 불러온 이집트의 식량 사정 = 27 | 이집트 농업의 쇠퇴 이유 = 29 | 스스로 무너진 소련 농업 = 31 | 러시아 농업의 발전 = 33 | 꾸준히 곡물 생산을 늘려온 우크라이나 = 36 | 식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개발도상국 = 41 |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곡물을 수입하는 이유 = 43 |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위험한 기아 리스크 = 48 | 본격적인 위기는 이제부터 = 50 | 식량 안보의 열쇠, 쌀 = 52 2장 육류 소비의 확대가 기아를 만든다: 주식 곡물을 압박하는 축산 사료 쌀과 밀에서 옥수수와 대두로 = 60 | 사료 작물의 생산 지도 = 64 | 세계 육류 생산 증가를 이끈 닭고기 = 66 | 축산 강국인 미국, 중국, 브라질 = 70 |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이 이끄는 육류 소비 = 74 | 중국의 돼지고기 소비와 곡물 생산의 관계 = 77 | 중국 양돈업의 발전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 = 81 | 육류와 사료 작물 수출국으로 성장한 브라질 = 84 | 육류 소비가 증가하지 않는 나라, 인도 = 87 3장 지구 온난화가 몰고 올 또 다른 위기: 농업은 가해자이자 피해자 농업과 축산도 지구 온난화의 요인 = 95 | 지구 온난화가 곡물 생산에 미치는 영향 = 98 | 지구 온난화가 주는 피해들 = 102 | ‘물의 별’ 지구의 이변 = 107 4장 식량인가 연료인가: 바이오 연료가 만들어낸 새로운 농산물 쟁탈전 곡물 과잉 생산을 해결한 바이오 연료 = 117 | 바이오 연료 선진국 브라질 = 118 | 환경 대책으로 시작한 미국의 바이오 연료 = 120 | 바이오 연료의 다양한 원료들 = 122 | 농촌진흥과 곡물 가격을 지지하는 미국의 바이오 연료 정책 = 124 | 미국의 바이오에탄올용 옥수수와 바이오디젤용 대두의 수요 = 129 | 농업 정책으로 바이오 연료에 주목한 EU = 132 |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안보에 도움이 되는 바이오 연료 = 133 | 바이오 연료 생산 확대가 불러온 먹구름 = 139 | 팜유를 둘러싼 분쟁 = 141 | 식량의 연료화 문제 = 146 제5장 기아를 초래하는 강대국의 논리: 아프리카 농업을 무너뜨린 미국과 유럽의 곡물 전략 전쟁의 숨은 희생자 아프리카 = 154 | 아프리카의 주식 = 157 | 아프리카 농촌과 도시 식생활의 양극화 = 163 | 곡물 증산보다 수입을 선택한 아프리카 = 167 | 원조 의존증과 낮은 수입 비용 = 170 | 미국과 유럽 곡물의 저가 수출 구조 = 174 | 밀 수출의 가격 인하 경쟁 = 177 | 과잉 생산을 바로잡기 위한 공동농업정책의 개혁 = 180 | 아시아의 경험을 아프리카에 = 182 | 아프리카 쌀 증산의 실례 = 186 제6장 화학 비료의 쟁탈: 방대한 인구를 지탱하는 공업화된 농업 화학 비료 가격 급등이 미치는 영향 = 192 | 화학 비료의 세 가지 요소 = 195 | 화학 비료 생산의 또 다른 압력 = 199 | 곡물보다 수급이 어려운 화학 비료 = 201 | 비료 폭등으로 곤경에 빠지는 농가 = 203 | 수입 의존이 높은 브라질과 인도는 국내 증산으로 = 205 | 화학 비료가 지탱하는 세계의 인구 증가 = 207 | 아프리카는 맬서스 트랩을 돌파할 수 있을까 = 210 |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곡물 생산의 명암을 가른 녹색혁명 = 213 | 화학 비료의 투입과 성과 = 215 | 유기농업에 실패한 스리랑카에서 배울 점 = 220 |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= 223 제7장 세계와의 조화: 일본을 통해 본 식량 안보 식량 안보의 실태 = 228 | 극단적으로 낮은 사료 원료의 자급률 = 232 | 파나마 운하에 의존하는 운송 리스크 = 235 | 옥수수, 대두, 밀의 자국 내 증산 가능성 = 236 | 세계와의 조화 = 241 맺음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