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식량자원개발 : 인류의 생존과 식물생산 제1편 식물생산 기초로서의 광합성 = 1 1. 식물생산 기초로서의 광합성 = 3 1.1 세계의 식량 및 에너지 위기현상 = 3 1.2 광합성연구의 필요성 = 5 2. 빛에너지의 흡수와 고정 = 6 2.1 빛에너지의 흡수와 고정계로서의 광합성기작의 개요 = 6 2.2 광화학계Ⅱ 반응중심 색소단백질 복합체 = 10 2.3 광합성계의 율속단계와 그 조절 = 15 2.4 광합성계의 기능과 구조와의 관계 = 23 2.5 맺음말 = 25 문헌 = 26 3. 빛에너지의 화학에너지로의 전환 = 28 3.1 광화학계Ⅰ = 28 3.2 Fe - S센터의 해석 = 31 3.3 계Ⅰ입자의 전자전달계 = 35 3.4 식물의 생산성 향상과의 관련 = 38 3.5 광합성이용의 인공적 빛에너지의 전환계 = 38 문헌 = 41 4. 탄소대사와 그 조절 = 44 4.1 식물생산과 광합성 탄소대사 = 44 4.2. 광합성 탄소대사와 그 다양성 = 45 4.3 C₃광합성에서 CO₂수송의 조절 = 48 4.4 C₃광합성 탄소고정계의 조절 = 50 4.5 C₄식물의 광합성 탄소대사 = 52 4.6 빛에 의한 C₄광합성의 조절 = 54 4.7 온도에 의한 C₄광합성의 조절 = 57 4.8 질소에 의한 C₄광합성의 조절 = 59 문헌 = 61 5. 광호흡과 그 조절 = 65 5.1 광호흡이란 무엇인가? = 65 5.2 광호흡의 기작 = 65 5.3 glycolate의 생성기작 = 66 5.4 광호흡과 암호흡의 차이 = 67 5.5 광호흡에서의 질소순환 = 68 5.6 C₃식물과 C₄식물 = 69 5.7 광호흡의 의의 = 70 5.8 광호흡의 조절 = 71 5.9 광호흡의 조절에서 생물생산의 촉진으로 = 75 문헌 = 76 6. 광합성계의 유전정보 = 78 6.1 광합성계의 유전해석 = 78 6.2 엽록체 DNA = 78 6.3 ribulose - 1,5 - bisphosphate carboxylase = 80 6.4 ATP 합성효소 유전자 = 84 6.5 엽록체 ribosome RNA 유전자 = 86 6.6 엽록체 tRNA 유전자 = 88 문헌 = 90 제2편 생물의 질소고정과 식물생산 = 93 1. 생물의 질소고정과 식물생산 = 95 문헌 = 97 2. 질소순환의 생화학과 생산 = 98 2.1 식물생산과 질소순환 = 98 2.2 식물체내의 질소동화 = 99 2.3 토양내의 미생물에 의한 무기질소 대사 = 102 2.4 질화작용 = 105 2.5 탈질소반응 = 110 문헌 = 114 3. 공생 질소고정 = 118 3.1 공생 질소고정을 하는 미생물 = 118 3.2 근립균의 감염과정 = 123 3.3 근립형성에 따른 생화학적 변화 = 128 3.4 질소고정 기능의 확대시도 = 133 문헌 = 136 4. 생산장소에서의 질소고정 = 139 4.1 머리말 = 139 4.2 토양환경 조건과 질소고정 = 140 4.3 근립균과 토착 미생물의 경합과 협조 = 147 4.4 식물근과 단생 질소고정균과의 상호작용 = 151 문헌 = 156 5. 질소고정의 유전공학 = 159 5.1 벼에 질소고정능을 부여하는 연구 = 159 5.2 유전공학에 의한 질소고정균의 개량강화 = 170 문헌 = 177 제3편 식물의 생장조절 = 179 1. 식물의 생장조절 = 181 2. 식물호르몬에 의한 세포생장의 조절 = 184 2.1 식물의 생장 = 184 2.2 생장에 있어서 당의 역할 = 186 2.3 세포의 신장 = 187 2.4 삼투 포텐셜의 조절 = 189 2.5 세포벽의 역학적 성질 = 194 2.6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의 변화 = 197 2.7 맺음말 = 200 문헌 = 201 3. 배양세포에 의한 생물생산계의 전개 = 203 3.1 머리말 = 203 3.2 생산계로서의 식물세포 배양 = 203 3.3 배양세포에서의 선발 = 209 3.4 배양세포에서의 분화 = 214 문헌 = 221 4. 식물에서 생활환의 화학조절 = 222 4.1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연구배경 = 222 4.2 새로운 식물생장 조절물질인 brassinolide와 관련물질의 연구 = 223 4.3 벼의 생활환 발현에서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역할 = 228 문헌 = 235 5.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구조활성 상관 = 238 5.1 머리말 = 238 5.2 abscisic acid 동족체에서의 구조활성 상관 = 239 5.3 cytokinin류에서의 구조활성 상관 = 241 문헌 = 243 제4편 식물생산과 화학생태학 = 245 1. 식물생산과 화학생태학 = 247 2. 식물간의 상호작용과 화학물질 = 249 2.1 머리말 = 249 2.2 allelopathy의 연구과정 = 250 2.3 잡초와 작물간의 화학적 상호작용 = 252 2.4 allelopathy물질의 탐색 = 259 2.5 맺음말 = 264 문헌 = 265 3. 식물병원균 독소의 화학과 생리 = 267 3.1 머리말 = 267 3.2 사탕무우의 Phoma betae병균 독소 = 268 3.3 Betaenone류의 구조와 생리활성 = 270 3.4 토양병해균의 독소 = 271 3.5 수목병원균 독소 = 272 3.6 소나무류 병원균 독소 = 273 3.7 독소와 식물호르몬과 같은 활성을 가진 물질 = 274 3.8 식물생산을 위하여 = 276 문헌 = 277 4. phytoalexin의 화학 = 279 4.1 phytoalexin의 역사 = 279 4.2 뽕나무(뽕나무과)의 phytoalexin = 282 4.3 벼과식물의 phytoalexin = 284 4.4 고구마(메꽃과)의 phytoalexin = 288 4.5 감자(가지과)의 phytoalexin = 289 4.6 phytoalexin의 생리활성 = 294 4.7 맺음말 = 294 문헌 = 295 5. 곤충과 기주식물 = 297 5.1 머리말 = 297 5.2 섭식 저해물질 및 그 밖의 독성물질 = 298 5.3 유인물질 및 기타 촉진물질 = 307 5.4 선택축적(sequestration) = 308 문헌 = 311 6. 곤충 pheromone의 화학 = 313 6.1 곤충 pheromone연구의 현황 = 313 6.2 곤충 pheromone의 화학합성 = 315 6.3 곤충 pheromone의 절대 입체배치와 생물활성과의 관계 = 323 6.4 미래의 곤충 pheromone연구 = 326 문헌 = 326 7. 곤충의 생육조절물질 = 329 7.1 머리말 = 329 7.2 유충호르몬 활성물질 = 330 7.3 항유충호르몬 활성물질 = 331 7.4 관련물질의 살충활성 = 337 7.5 탈피호르몬 관련물질 = 338 문헌 = 339 국문색인 = 341 영문색인 = 34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