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한국의 농촌개발 전략 제1장 서론 1. 연구 배경 및 목적 = 1 2. 농촌개발 개념 및 본 서의 시각 = 3 2.1. 농촌개발의 개념 = 3 2.2. 농촌개발의 주요 과제 = 9 2.3. 농촌개발 관련 이슈의 변화 = 13 2.4. 본 서의 시각 = 17 3. 본 서의 구성 = 20 제2장 한국의 농촌개발 여건 1. 한국의 도시-농촌 구분 = 23 2. 한국 농촌의 특성과 변화 = 28 2.1. 농업 비중 감소 = 28 2.2. 농촌 사회의 변화 = 31 2.3. 농촌 공간의 변화 = 40 3. 농촌개발 추진 체계 = 47 3.1. 중앙정부 관련 부처 = 47 3.2. 지방자치단체 추진 체계 = 57 3.3. 중장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= 62 제3장 해외 농촌개발 전략의 한국 적용: 지역사회개발사업 1. 배경 = 65 2. 사업 추진 체계 = 69 3. 사업 내용 = 70 3.1. 시범마을 선정 = 70 3.2. 지도원의 선발과 훈련 = 71 3.3. 사업의 추진 = 72 4. 농촌지도사업으로서의 지역사회개발 = 74 5. 평가 = 76 제4장 농촌 근대화의 전기: 농촌 새마을운동 1. 배경 = 79 2. 새마을운동의 전개 = 82 2.1. 새마을가꾸기사업 = 82 2.2. 새마을운동의 정립 = 83 2.3. 새마을운동 지원 조직 = 86 2.4. 새마을지도사의 육성 = 89 2.5. 새마을 교육 = 91 3. 성과 = 92 3.1. 총사업비 = 92 3.2. 생활환경개선 = 93 3.3. 농림분야 새마을 사업 = 96 4. 평가 = 98 제5장 권역 단위 통합적 개발 방식 시도: 농어촌지역종합개발 1. 배경 = 107 1.1. 도시 농촌의 누적적 악순환 = 107 1.2. 마을 개발의 대안 모색과 정주권 개발 = 108 1.3. 하향식 개발 방식의 비판 = 110 2. 농어촌지역종합개발 구상과 시범사업 추진 = 113 2.1. 농어촌지역종합개발 방식 = 113 2.2. 시범사업 추진 = 117 3. 평가 = 121 제6장 농어촌지역종합개발 방식의 변형: 소규모 종합개발사업 1. 배경 = 125 2. 농어촌 정주권개발사업 = 127 3. 오지개발사업, 도서개발사업 및 기타 = 132 4. 평가 = 135 제7장 공모와 메뉴 지원: 마을만들기사업 1. 배경 = 139 1.1. 시장개방 확대와 농업계의 불만 = 139 1.2. 정주기반 확충 효과 미흡 = 140 1.3. 농업·농촌의 다원적 기능 대두 = 141 1.4. 정책 대상자의 확대 필요 = 142 2.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= 144 2.1. 정책 설계 = 144 2.2. 사업 추진 = 148 2.3.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평가 = 150 3. 마을만들기사업의 확산 = 153 제8장 농촌의 기업 활동: 농촌관광, 농업의 6차산업화 1. 배경 = 157 1.1. 지역경제 침체와 농촌내부 발전 동력 모색 = 157 1.2. 농촌공간의 상품화 = 159 2. 농촌관광 정책 = 160 2.1. 농촌관광휴양자원 개발 = 160 2.2. 마을만들기사업과 농촌관광 = 165 2.3. 농촌관광 관련 제도 정비 = 169 2.4. 농촌관광 수요 진작 = 170 2.5. 농촌관광 정책 평가 = 172 3. 농업의 6차산업화 = 175 3.1. 농업의 6차산업화 개념 = 175 3.2. 정책의 주요 내용 = 177 3.3. 정책 평가 = 182 제9장 한국 농촌개발 전략의 국제개발협력 적용 1. 한국 경험의 적용 = 185 2. 농촌개발 단계와 키워드 = 187 3. 한국의 경험 = 189 3.1. 공공 부분의 역량 = 189 3.2. 제도 정비 = 191 3.3. 주민 참여 = 193 3.4. 계획 수립 경험 = 195 3.5. 인프라 정비 = 197 3.6. 도시 농촌 연계 = 198 4. 한국 경험의 국제개발협력 적용 시사점 = 200 4.1. 한국 경험의 직접 적용 한계 = 200 4.2. 수원국의 여건과 한국 경험의 결합 = 201 참고문헌 = 2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