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신국제법 강의 : 이론과 사례 제1장 국제법의 의의와 역사 Ⅰ. 국제법의 의의 = 2 1. 국제법의 의의 = 2 2. 국제법의 법적 성격 = 4 3. 각국은 왜 국제법을 준수하는가 = 6 4. 국제법은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= 9 Ⅱ. 근대 국제법의 역사 = 10 1. 근대 국제사회의 성립 = 10 2. 근대 국제법학의 탄생 = 13 3. 유럽 국제법의 범세계적 확산 = 16 4. 현대 국제법의 전개 = 17 5. 한국의 서양 국제법 계수 = 22 Ⅲ. 한국에서 국제법의 중요성 = 27 제2장 국제법의 법원 Ⅰ. 법원이란 = 32 Ⅱ. 조약 = 35 Ⅲ. 관습국제법 = 37 1. 관습국제법의 성립요건 = 38 2. 지역 관습법 = 52 3. 관습국제법에 대한 반대국 = 55 4. 관습국제법의 한계와 법전화 = 57 Ⅳ. 법의 일반원칙 = 59 Ⅴ. 학설과 판례 = 63 Ⅵ. 일방적 행위 = 64 Ⅶ. 국제기구의 결의 = 70 Ⅷ. 연성법 = 75 Ⅸ. 법원간의 관계 = 79 Ⅹ. 법원 개념의 재검토 = 82 제3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Ⅰ. 의의 = 86 Ⅱ. 양자관계에 관한 이론 = 87 1. 일원론과 이원론 = 87 2. 이론 대립의 전개 = 89 Ⅲ. 국제법 질서 속에서의 국내법 = 94 Ⅳ. 국내법 질서 속에서의 국제법 = 98 1. 의의 = 98 2. 주요 국가의 실행 = 100 3. 한국 = 118 Ⅴ. 양자 관계의 현대적 추세 = 139 제4장 국가의 종류와 권리의무 Ⅰ. 국제법의 주체와 국가 = 144 1. 국제법의 주체 = 144 2. 국가의 개념 = 147 Ⅱ. 특수한 형태의 국가 = 155 1. 국가연합 = 155 2. 영세중립국 = 156 3. 분단국 = 158 4. 교황청 = 160 5. 피보호국 = 161 6. 파탄 국가 = 162 7. 팔레스타인 = 163 Ⅲ. 국가의 기본적 권리의무 = 164 1. 주권 = 165 2. 자위권 = 166 3. 국내문제 불간섭 의무 = 166 Ⅳ. 비국가 행위자의 대두 = 171 제5장 승인제도 Ⅰ. 승인제도의 의의 = 176 1. 의의 = 176 2. 이론적 대립 = 177 Ⅱ. 승인의 방법 = 183 Ⅲ. 승인의 취소 = 187 Ⅳ. 국제기구와 승인 = 189 Ⅴ. 정부승인 = 192 Ⅵ. 망명정부의 승인 = 197 Ⅶ. 교전단체의 승인 = 199 Ⅷ. 승인의 효과 = 201 1. 국제법적 효과 = 201 2. 국내법적 효과 = 202 제6장 국가의 관할권 행사 Ⅰ. 관할권의 의의 = 206 1. 관할권의 개념 = 206 2. 관할권의 성격 = 207 Ⅱ. 형사관할권 = 213 1. 속지주의 = 213 2. 속인주의 = 215 3. 보호주의 = 216 4. 피해자 국적주의 = 219 5. 보편주의 = 223 6. 조약을 근거로 한 관할권의 행사와 제한 = 227 Ⅲ. 민사관할권 = 230 Ⅳ. 관할권 행사의 경합 = 233 Ⅴ. 가상공간에서의 관할권 행사 = 234 제7장 주권면제 Ⅰ. 의의 = 238 Ⅱ. 주권면제의 향유주체 = 241 Ⅲ. 주권면제의 인정범위 = 247 1. 절대적 주권면제론 = 247 2. 제한적 주권면제론 = 250 Ⅳ. 주권적 활동과 상업적 활동의 구분 = 253 1. 행위의 목적 = 254 2. 행위의 성격 = 254 3. UN 주권면제협약 = 255 Ⅴ. 주권면제의 배제 = 256 Ⅵ. 국제법 위반행위와 주권면제 = 260 Ⅶ. 강제집행으로부터의 면제 = 269 Ⅷ. 국가행위이론과의 관계 = 273 제8장 조약법 Ⅰ. 의의 = 276 1. 조약의 개념 = 276 2.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 협약 = 279 Ⅱ. 조약의 체결 = 287 1. 조약의 체결능력 = 287 2. 전권위임장 = 288 3. 채택 = 289 4. 기속적 동의의 표시방법 = 289 Ⅲ. 조약의 발효와 적용 = 292 1. 발효 = 292 2. 적용 = 295 3. 조약과 제3국 = 297 4. 조약의 등록 = 300 Ⅳ. 조약의 유보 = 301 1. 유보의 개념 = 301 2. 연혁 = 302 3. 유보의 첨부 = 306 4. 유보의 성립 = 309 5. 유보에 대한 반대 = 310 6. 유보의 효과 = 311 7. 허용 불가능한 유보 = 312 8. 인권조약에 대한 유보 = 317 9. 해석선언 = 321 Ⅴ. 조약의 해석 = 324 1. 해석의 의의 = 324 2. 해석의 기본원칙 = 329 3. 해석의 보충수단 = 336 4. 조약의 언어 = 338 5. 해석권자 = 340 6. 평가 = 341 Ⅵ. 조약의 개정과 변경 = 342 1. 개정 = 342 2. 변경 = 344 Ⅶ. 조약의 무효 = 344 1. 국내법 위반의 조약 = 346 2. 대표권의 제한 = 348 3. 착오 = 348 4. 기만과 매수 = 350 5. 강박 = 351 6. 강행규범 위반 = 357 Ⅷ. 조약의 종료 = 362 1. 당사국의 탈퇴 및 폐기 = 363 2. 중대한 위반 = 366 3. 후발적 이행불능 = 371 4. 사정변경 = 372 5. 무력분쟁의 발발 등 = 376 Ⅸ. 비구속적 합의 = 378 Ⅹ. 조약체결에 관한 국내절차 = 382 1. 조약의 체결권자 = 382 2. 조약체결의 국내절차 = 384 3. 국회의 동의를 요하는 조약 = 385 4. 특수한 형태의 조약 = 392 제9장 국가책임 Ⅰ. 의의 = 396 1. 국가책임의 법적 성격 = 396 2. 국가책임법의 발달 = 397 Ⅱ.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= 400 1. 국가의 행위 = 401 2. 국제의무의 위반 = 412 3. 위법성 조각사유 = 414 4. 고의ㆍ과실 또는 손해발생 = 421 Ⅲ. 국가책임의 내용 = 421 1. 일반원칙 = 421 2. 배상의무의 내용 = 422 3. 강행규범의 중대한 위반 = 428 Ⅳ. 국가책임의 추궁 = 430 1. 책임 추궁의 주체 = 430 2. 대응조치 = 431 3. 외교적 보호권의 행사 = 433 Ⅴ. 비국가 행위자의 국제책임 = 464 제10장 외교관계법 Ⅰ. 국가의 대외기관 = 468 Ⅱ. 외교사절의 파견 = 472 Ⅲ. 외교사절의 직무 = 475 Ⅳ. 외교사절의 특권과 면제 = 476 1. 법적 성격 = 476 2. 공관의 불가침 = 476 3. 서류와 문서, 통신의 불가침 = 485 4. 신체의 불가침 = 486 5. 사저ㆍ개인서류ㆍ개인재산의 불가침 = 491 6. 재판관할권으로부터의 면제 = 492 7. 과세 및 사회보장으로부터의 면제 = 495 8. 특권과 면제의 인정범위 = 496 Ⅴ. 영사제도 = 500 1. 제도적 의의 = 500 2. 종류와 파견 = 501 3. 영사의 직무 = 502 4. 특권과 면제 = 507 5. 명예영사 = 509 제11장 국가영역 Ⅰ. 의의 = 512 Ⅱ. 영토 = 514 1. 영토취득의 권원 = 514 2. 관련 쟁점 = 534 3. 현대적 평가 = 547 Ⅲ. 영공 = 549 1. 영공의 법적 지위 = 549 2. 영해 이원의 상공 = 550 3. 방공식별구역 = 551 4. 비행정보구역 = 553 5. 영공침범의 대응조치 = 553 Ⅳ. 국제법상의 특수지역 = 555 1. 인류 공동의 유산 = 555 2. 극지 = 555 3. 국제하천유역 = 558 4. 우주 = 561 Ⅴ. 한국의 영토 = 565 1. 헌법상의 영토조항 = 565 2. 독도 = 566 3. 간도 = 571 4. 녹둔도 = 574 Ⅵ. 동아시아의 영토분쟁 = 575 제12장 국가승계 Ⅰ. 국가승계의 의의 = 578 Ⅱ. 국가승계의 유형 = 580 Ⅲ. 국가승계에 관한 법원 = 581 Ⅳ. 조약의 승계 = 583 1. 제2차 대전 이후의 경향 = 583 2. 조약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= 584 3. 국경조약 및 영토제도의 승계 = 586 4. 인권조약의 자동승계 여부 = 590 Ⅴ. 국유재산과 부채의 승계 = 592 Ⅵ. 국적 = 593 Ⅶ. 근래의 주요 국가승계 사례 = 594 1. 독일 통일 = 594 2. 소련방 해산 = 595 3. 발트 3국 = 596 4. 유고연방 해체 = 597 5. 기타 = 600 Ⅷ. 한국과 국가승계 = 601 1.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= 601 2. 통일 이후의 문제 = 609 제13장 해양법 Ⅰ. 의의 = 616 1. 해양법의 의의 = 616 2. 해양법의 발전 = 617 Ⅱ. 기선 = 619 1. 통상기선 = 620 2. 직선기선 = 620 3. 만 = 625 4. 섬 = 627 5. 항만시설ㆍ간출지ㆍ인공섬 = 631 Ⅲ. 내수 = 634 Ⅳ. 영해 = 636 1. 의의 = 636 2. 연안국의 권리의무 = 637 3. 무해통항권 = 638 4. 군함의 무해통항권 = 640 5. 한국의 영해 = 642 6. 서해 5도와 북방한계선 = 645 7. 군사수역 = 649 Ⅴ. 접속수역 = 651 Ⅵ. 국제해협 = 652 1. 통과통항 = 653 2. 무해통항 = 657 3. 제주해협에서의 통항 = 657 Ⅶ. 군도수역 = 658 Ⅷ. 배타적 경제수역= 659 1. 의의 = 659 2. 법적 지위 = 661 3. 경계획정 = 670 4. 특수어종의 관리 = 675 5. 한국의 관련문제 = 677 Ⅸ. 대륙붕 = 688 1. 의의 = 688 2. 법적 지위 = 691 3. 경계획정 = 694 4. 한반도 주변의 대륙붕 = 697 Ⅹ. 공해 = 699 1. 의의와 법적 지위 = 699 2. 공해에서의 관할권 행사 = 701 3. 공해어업의 규제 = 708 XI. 심해저 = 709 1. 의의 = 709 2. 법적 지위 = 710 3. 해양법 협약상의 심해저 개발체제 = 711 4. 1994년 이행협정 및 이후의 발전 = 713 5. 한국의 심해저 개발 참여 = 714 XII. 해양법 협약상의 분쟁해결제도 = 715 1. 분쟁해결제도의 구조 = 715 2. 분쟁해결기관 = 718 제14장 국제환경법 Ⅰ. 국제환경법의 의의 = 724 Ⅱ. 국제환경법의 형성과 특징 = 725 Ⅲ. 국제환경법의 기본 개념 = 729 1. 월경 피해 방지 = 729 2. 국제협력 = 731 3. 지속가능한 개발 = 732 4. 공동의 그러나 차별적 책임 = 735 5. 사전주의 원칙 = 736 6. 오염자 부담 원칙 = 738 7. 환경영향평가 = 739 Ⅳ. 국제환경보호조약 = 741 1. 대기오염의 규제 = 741 2. 해양오염의 규제 = 745 3. 자연 생태계의 보전 = 748 4. 유해 물질 이동의 규제 = 751 Ⅴ. 국제환경법의 이행확보 = 753 1. 전통적 책임추궁 수단의 한계 = 753 2. 이행확보 방안 = 754 Ⅵ. 환경보호와 통상규제 = 755 제15장 국제기구와 UN Ⅰ. 국제기구의 의의 = 764 Ⅱ. 국제기구의 법률문제 = 768 1. 회원국 = 768 2. 법인격 = 768 3. 권한의 내용 = 772 Ⅲ. UN = 785 1. UN의 설립 목적과 특징 = 785 2. 회원국 = 786 3. 총회 = 794 4. 안전보장이사회 = 798 5. 기타 주요 기관 = 807 6. 한국과 UN = 808 제16장 개인과 외국인 Ⅰ. 개인의 국제법 주체성 = 822 Ⅱ. 국적 = 824 1. 국적의 의의 = 824 2. 국적의 취득과 상실 = 827 3. 이중국적 = 834 4. 무국적 = 841 5. 한국의 특수문제 = 844 Ⅲ. 외국인의 법적 지위 = 850 1. 외국인의 처우기준 = 850 2. 외국인의 입국과 체류 = 853 3. 정주 외국인의 지위 = 856 4. 외국인 재산의 보호 = 857 제17장 국제인권법 Ⅰ. 국제인권법의 발전 = 862 Ⅱ. 국제인권조약 = 864 1. 세계인권선언 = 864 2. 국제인권규약 = 867 3. 인종차별철폐협약 = 870 4. 여성차별철폐협약 = 871 5. 고문방지협약 = 872 6. 아동권리협약 = 874 7. 이주노동자권리협약 = 875 8. 장애인권리협약 = 876 9. 제노사이드방지 협약 = 877 10. 난민지위협약 = 879 Ⅲ. 인권의 국제적 보호체제 = 882 1. UN 헌장 체제 = 882 2. 지역별 인권보호체제 = 889 3. 국제인권조약을 통한 보호제도 = 890 4. 「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」상의 개인통보제도 = 895 Ⅳ. 위반자에 대한 개인적 책임추궁 = 917 Ⅴ. 국제인권법의 현주소 = 918 Ⅵ. 한국과 국제인권법 = 921 제18장 범죄인인도 제도 Ⅰ. 제도적 의의 = 926 Ⅱ. 범죄인인도 제도의 기본 내용 = 928 1. 인도에 관한 기본 사항 = 928 2. 자국민 인도 = 934 3. 정치범 불인도 = 935 Ⅲ. 범죄인인도에서의 인도주의 = 941 Ⅳ. 다른 조약을 근거로 한 범죄인인도 = 946 Ⅴ. 부정규 인도 = 949 제19장 국제형사법 Ⅰ. 국제형사재판의 의의 = 958 1. 제도적 발전 = 958 2. 국제형사재판의 성격 = 961 Ⅱ. 국제범죄 = 962 1. 제노사이드 = 963 2. 인도에 반하는 죄 = 968 3. 전쟁범죄 = 972 4. 침략범죄 = 974 5. 기타 범죄 = 978 Ⅲ. 국제형사재판소 = 981 1. 구성 = 981 2. 관할권 행사의 구조 = 983 3. 관할권 행사상의 기본 원칙 = 986 4. 국내이행법률 = 989 5. 국제형사재판소의 과제 = 991 제20장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Ⅰ. 국제분쟁의 의의 = 994 1. 국제분쟁의 개념 = 994 2. 분쟁 해결의 교섭 = 996 Ⅱ. 국제분쟁의 재판 외 해결 = 997 1. 주선과 중개 = 997 2. 심사 = 998 3. 조정 = 998 Ⅲ. 국제분쟁의 사법적 해결 = 999 1. 발전의 기원 = 999 2. 중재재판 = 999 3. 상설중재재판소 = 1001 Ⅳ. 국제사법재판소 = 1002 1. 상설 국제재판소의 출범 = 1002 2. 재판부 = 1005 3. 관할 = 1007 4. 재판의 준칙 = 1017 5. 재판절차 = 1019 6. 판결 = 1028 7. 권고적 의견 = 1029 8. 미결의 문제들 = 1034 제21장 국제경제법과 WTO Ⅰ. 국제경제법의 의의 = 1040 1. 국제경제법의 개념 = 1040 2. 국제경제법의 법원 = 1042 Ⅱ. GATT 체제의 성립과 발전 = 1043 Ⅲ. 세계무역기구(WTO) = 1045 1. WTO 협정의 구성과 특징 = 1045 2. WTO의 조직과 운영 = 1049 3. 1994년 GATT의 기본원칙 = 1053 4. 분쟁해결제도 = 1065 Ⅳ. 자유무역협정 = 1079 1. 자유무역협정의 대두 = 1079 2. 자유무역협정과 WTO 체제 = 1080 3. 한국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= 1081 제22장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Ⅰ. 무력사용에 관한 국제법적 통제의 발전 = 1084 Ⅱ. UN 체제하에서의 무력사용 = 1087 1. 헌장의 무력사용 통제구조 = 1087 2. UN의 평화유지활동 = 1099 3. 자위권 = 1103 4. 기타의 무력사용 = 1115 Ⅲ. 핵무기의 통제 = 1121 1. 핵확산 방지 노력 = 1121 2. 핵무기 사용의 합법성 = 1122 3. 한반도와 핵무기 = 1126 Ⅳ. 국제테러에 대한 국제법적 대응 = 1128 1. 국제테러와 국제사회의 대응 = 1128 2. 비국가 행위자의 국제테러와 무력행사 = 1131 Ⅴ.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(PSI) = 1136 1. 대두의 배경 = 1136 2. PSI의 내용 = 1136 3. 한국의 참여 = 1138 Ⅵ. 민간군사기업 = 1140 제23장 국제인도법 Ⅰ. 국제인도법의 개념 = 1144 Ⅱ. 해적수단과 방법의 규제 = 1149 1. 무기의 규제 = 1149 2. 공격대상의 규제 = 1152 3. 공격방법의 규제 = 1154 Ⅲ. 무력충돌 희생자의 보호 = 1155 1. 부상병자 = 1155 2. 포로 = 1156 3. 민간인 = 1159 4. 재산 = 1161 Ⅳ. 비국제적 무력분쟁 = 1162 Ⅴ. 6ㆍ25와 국제인도법 = 1164 1. 제네바 협약의 적용 = 1164 2. 포로 송환 = 1166 Ⅵ. 국제인도법의 실효성 = 1168 판례색인 1. 한국판결 = 1171 2. 국제 및 외국판결(결정) = 1175 사항색인 = 118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