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곡물의 중장기 수급전망과 대응정책 제1부 국내 소비편 = 3 제1장 우리 나라의 곡물소비 동향 1. 곡물별 소비 동향 = 5 2. 곡물별 식용 소비 동향 = 7 3. 곡물별 사료용 소비 동향 = 8 4. 곡물별 가공용 소비동향 = 9 5. 수출입과 자급률 = 10 제2장 쌀 소비 감소 요인 1. 쌀은 열등재인가? = 13 2. 소득계층별 쌀 소비지출 분석 = 14 3. 가구별 쌀 소비량 분석 = 17 4. 쌀 소비감소 요인 = 30 제3장 국내외산 쌀에 대한 소비자 평가 1. 쌀에 대한 소비자 평가의 필요성 = 32 2. 평가방법 = 33 3. 실험결과 = 35 4. 국내외산 쌀의 가격차별 가능성 = 40 제2부 국내 생산편 = 43 제4장 경지면적의 변화와 전망 1. 경지면적의 변화 추세 = 45 2. 벼 재배면적의 변화 추세 = 47 3. 벼 이외 곡물의 재배면적 변화 추세 = 49 4. 경지면적 전망 = 50 5. 휴폐경 분석 = 54 6. 작목간 농지배분 분석 = 60 (부록) 분석에 이용된 자료 = 68 제5장 쌀의 단수 결정요인과 전망 1. 단수의 결정요인과 요인별 영향력 = 73 2. 단수 변동의 패턴과 주기성 = 83 3. 최근의 단수 변동에 대한 해석 = 88 4. 단수 전망의 시나리오 분석 = 92 5. 단수 변동과 전망 = 97 (부록) 분석에 이용된 자료 = 100 제6장 쌀의 경쟁력 목표와 생산비용 1. 쌀의 경쟁력 목표 = 109 2. 쌀 생산비의 동향과 추세 = 111 3. 쌀 생산비 결정요인과 절감 = 115 4. 수확후 관리비용 절감 방안 = 120 제3부 수급전망편 = 129 제7장 쌀 수급 예측 모형 1. 모형의 구조 = 131 2. 분석모형 = 133 (부록) 쌀 수급 예측 모형 프로그램 = 142 제8장 쌀 수급 시나리오 1. 쌀 수급 시나리오 설정 = 170 2. 쌀 수급 예측지표 = 171 3. 쌀 생산비용 전망 = 174 (부록 1) 쌀 수급예측 모형에 투입된 외생변수 수준 = 176 (부록 2) 가공용 쌀 수요 = 180 제9장 통일후 북한의 곡물수급 전망 1. 통일후 북한지역 중장기 곡물생산 전망 = 189 2. 통일후 북한지역 곡물 소요량 전망 = 194 3. 통일후 북한의 중장기 곡물수급 전망 = 198 4. 정책적 시사 = 199 (부록) 연도별 전망치 = 201 제10장 곡물수급 전망 1. 쌀을 제외한 기타곡물 수요 전망 = 205 2. 전체 곡물수급 전망 = 210 제4부 쌀의 유통과 가격결정편 = 213 제11장 쌀의 유통경로 변화와 전망 1. 유통경로 및 유통마진 = 215 2. 쌀의 유통구조 변화 = 227 3. 쌀 유통의 변화 전망 = 238 4. 쌀 유통의 문제점 = 239 제12장 쌀 가격의 결정과 연관관계 1. 쌀 가격의 시장단계간 연관관계 = 243 2. 쌀 가격의 시장단계간 연관관계 분석 = 245 3. 정부 수매가격과 시장가격과의 관계 = 248 (부록 1) 시계열 분석법 = 254 (부록 2) 시계열 분석 결과 = 261 제5부 국제시장편 = 263 제13장 국제 곡물시장 수급 동향과 전망 1. 주요 곡물의 수급 및 재고 동향 = 265 2. 주요 곡물의 교역 및 가격 동향 = 269 3. 수급 및 가격 전망 = 271 제14장 주요 쌀 수출국의 쌀 생산 1. 미국 = 279 2. 중국 = 288 3. 태국 = 297 4. 베트남 = 305 5. 미얀마 = 313 6. 호주 = 317 제6부 식량정책편 = 325 제15장 식량정책의 과제와 전략체계 1. 1990년대 이전의 양곡정책 = 327 2. 1990년대의 쌀 산업정책 = 328 3. 1990년대의 쌀 산업발전 = 331 4. 쌀 산업정책의 과제 = 339 5. 식량정책과 전략체계 = 342 제16장 국내 공급능력의 향상 1. 농지의 효율적 보전과 관리 = 347 2. 휴폐경 방지 = 348 3. 경영규모 확대의 촉진 = 350 4. 쌀의 단수 증대와 안정 = 351 5. 답리작 보리의 생산 = 352 제17장 해외조달능력 향상 1. 선물시장 이용 증대 방안 = 354 2. 해외 개발수입의 발전방향 = 361 제18장 비축 및 재고관리 1. 비축과 재고관리의 과제 = 383 2. 쌀의 재고량 변동 예측 = 385 3. 비축 및 재고관리 방안 = 395 (부록) 재고관리 모형 대안 = 396 제19장 수매제도 개선 1. 약정수매제도의 효과와 과제 = 400 2. 수매제도의 발전방향 = 404 (부록) 적정 융자율 산정 = 411 제20장 양곡 판매제도 개선 1. 조곡공매 사업개요 및 성과 = 417 2. 공매관리제도의 문제점 : 1996년도 공매사업의 경우 = 423 3. 공매제도의 발전 방향 = 434 제21장 수입관리 제도 개선 1. 의무수입쌀 관리현황과 문제점 = 441 2. 국영무역 운용 규정 = 448 3. 의무수입쌀의 관리 방안 = 450 4. 공매제도 개선 방안 = 467 제22장 유통개선을 위한 기반정비 1. 미곡유통 여건의 변화와 당면과제 = 469 2. 유통개선을 위한 기반조성 = 472 부록 부록 Ⅰ. 해외 선물거래소의 거래 현황 = 489 부록 Ⅱ. 해외 농업개발 현황과 외국의 사례 검토 = 492 부록 Ⅲ. 주요지역의 개발수입 여건 분석 = 505 부록 Ⅳ. 개발수입의 타당성 분석 = 517 부록 Ⅴ. 1996 / 1997년도 조곡공매 추진 결과 = 526 부록 Ⅵ. 1996 / 1997년도 중 조곡공매 제도 변경 내용 = 546 부록 Ⅶ. MMA쌀 수입 현황 = 549 부록 Ⅷ. 일본의 수입쌀관리 제도 = 552 부록 Ⅸ. 일본의 미곡관리 제도 = 568 부록 Ⅹ. 미국의 쌀 프로그램 = 574 부록 �. 대만의 미곡 유통 현황과 양질미 생산보급 효과 = 581 참고문헌 = 6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