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송이증수 및 인공재배 연구 제1장 총론 = 1 1. 송이의 명칭 = 1 2. 송이의 분류 체계 = 1 3. 송이 및 송이 유사종의 분포 = 2 4. 송이의 연구 역사 = 8 가. 우리나라의 송이 연구 = 8 나. 일본의 송이 연구 = 14 다. 중국의 송이 연구 = 16 제2장 송이의 일반적 특성 = 18 1. 송이의 형태 = 18 2. 송이의 생리, 생태 = 19 가. 송이의 생활사 = 20 나. 포자 및 발아 = 21 다. 송이의 균근(菌根) = 23 라. 균환(菌環)의 형성 = 24 마. 균환의 일생 = 25 바. 자실체의 발생과 생장 = 27 3. 송이의 성분 = 29 가. 일반성분 분석표 = 29 나. 섬유소, 당류 및 유기산 = 30 다. 단백질 및 아미노산 = 31 라. 미네랄 및 비타민 = 31 마. 약효 성분 및 기타 성분 = 32 바. 새로운 식품으로서의 가치 = 34 제3장 송이발생림의 특성과 송이발생 = 36 1. 송이발생지의 답사 및 사례조사 = 36 2. 우리나라의 송이발생지 분포 및 변화 = 43 3. 송이발생림의 일반적인 지형 및 토양 = 47 가. 우리나라의 송이발생지 일반 환경 = 47 나. 임업연구원 송이시험지의 발생지 환경조사 = 49 4. 송이발생지와 소나무림의 관계 = 64 가. 소나무 지배형 = 64 나. 이단림형(二段林型) = 64 다. 활엽수 침입형 = 65 라. 활엽수 지배형(50% 이상) = 65 5. 송이균환의 특성 = 67 가. 외형적 특징 = 67 나. 균환과 관련된 층위의 구분 = 69 다. 균환의 나이 추정 = 73 라. 균환의 성장과 계절적 변화 = 73 마. 균환의 소나무 뿌리 분포 = 75 바. 균환에서 자라는 각종 미생물의 분리 = 76 사. 소나무 아닌 다른 나무에서의 송이 발생 = 78 6. 균환 및 균환 주변지역의 버섯발생 = 79 가. 송이발생림과 미발생림의 버섯상(相) 비교 = 79 7. 기상과 송이발생의 관계 = 81 가. 최저지온(地溫)이 19℃일 때 저온자극 = 81 나. 균사생장, 원기형성 및 자실체 발생 = 82 다. 송이의 흉풍(凶豊)과 기상의 관계 = 85 라. 우리나라 주요 송이산지의 송이 발생 및 기상 = 87 마. 송이 흉년인 해의 특징 = 92 제4장 송이발생림의 증수 및 품질향상 기술 = 94 1. 송이발생림의 쇠퇴 및 피해 = 94 가. 소나무림의 해충피해 = 95 나. 송이발생림의 환경악화 = 96 다. 소나무림의 산불피해 = 97 2. 송이발생림의 식생정리 = 97 가. 송이발생림 관리의 이론적 개념 = 98 나. 송이발생림의 식생정리 = 103 3. 균환관리와 균환 활력의 증대 = 108 가. 균환관리 = 108 나. 균환의 회복과 치료 = 111 4. 소나무림의 조성과 갱신(更新) = 115 가. 조림에 의한 소나무림 조성 = 116 나. 종자의 파종 = 116 다. 천연갱신에 의한 소나무림 조성 = 118 라. 소나무를 육성하여 포자(胞子) 파종 = 119 5. 송이 증수 및 품질향상 = 121 가. 컵 피복 및 흙덮기 기술 = 121 나. 관수 = 130 다. 균환부 낙엽긁기의 효과 = 137 라. 히로시마식(廣島式) 저온처리 및 관수 = 138 6. 송이 채취와 선별 및 품등 = 141 가. 산지에서의 송이 채취 = 141 나. 송이의 선별과 품등 = 142 7. 송이의 포장, 운반 및 저온처리 = 144 가. 포장 및 운반 = 144 나. 송이보관에 따른 중량감소와 품질 악화 = 144 8. 기타 송이발생림 관리 = 151 가. 항공 엽면시비와 송이의 발생 = 151 나. 제초제의 영향 = 154 제5장 송이의 병해충 및 산불피해 = 157 1. 송이 및 송이산에서 발견되는 해충 = 157 가. 우리나라에서 조사된 해충 및 작은 동물류 = 157 나. 일본에서 조사된 송이의 해충 = 159 다. 해충이나 짐승 피해의 방제 = 162 2. 소나무의 주요 해충 = 163 가. 솔잎혹파리 = 163 나. 일본의 소나무재선충 = 165 3. 해균과 해균방제 = 168 4. 산불의 피해 = 170 제6장 송이 미발생림의 송이 발생촉진 처리 = 173 1. 송이발생을 위한 적지(適地) 판정 = 173 가. 송이발생림의 모암(母岩) = 173 나. 지형의 판정 = 174 다. 송이가 발생되기 쉬운 소나무림의 유형 = 176 라. 시업에 적합한 소나무의 임령 = 178 마. 송이발생림 시업지의 적지판정표 = 178 2. 송이발생림 만들기의 작업 = 179 가. 소요인력 및 연차계획표 = 179 나. 도구 및 작업 준비 = 185 다. 식생의 정리 = 186 라. 낙엽 부식층의 제거(지표손질) = 193 마. 건전한 송이밭의 소나무림으로 육성 = 197 3. 식생정리에 의한 균환의 형성과 증대 = 199 가. 식생정리 후 균환형성의 실례 = 199 나. 연차별 송이 과수원(果樹園) 만들기 = 201 4. 송이발생림 만들기의 여러 가지 발생처리 = 204 가. 포자살포 = 204 나. 감염묘 만들기 = 209 다. 감염묘의 송이 미발생림 이식 = 212 제7장 송이 균사 배양 = 213 1. 송이 균사 배양 = 213 가. 포자 및 버섯조직 순수분리 = 213 나. 균근에서의 송이균 순수분리 = 214 다. 송이균 배양시험 = 215 라. 송이균의 발효조 대량배양 = 217 2. 송이균 배양용 주요 배지 = 218 3. 송이균 감염묘 무균육성 또는 송이종균 개발 = 222 제8장 송이의 생산 및 유통 = 223 1. 송이 생산과 수출입 = 223 가. 송이생산량 변동 = 223 나. 지역별 송이생산량 = 224 다. 우리나라의 송이 수출 및 수입 현황 = 226 2. 송이 유통 = 227 가. 임산물 사용제한고시 = 227 나. 송이 생산자 및 채취권 = 227 다. 송이 공급소 및 공급 대상자 = 228 라. 송이 공판 = 229 마. 주요 유통경로 = 230 바. 송이 수출시 일본의 통관제도 = 230 사. 송이의 포장 및 출하규격 = 232 아. 유통자 현황 = 238 3. 일본의 송이 수입현황과 시장조사 = 239 가. 송이 생산 및 수입 = 239 나. 시장가격 및 유통실태 = 243 다. 소비동향 = 245 4. 중국의 송이 생산 및 유통현황 = 246 가. 송이 주산지 및 생산 현황 = 246 나. 송이 유통 및 소비동향 = 246 5. 송이의 생산 및 유통 개선 방안 = 247 6. 송이발생림의 경영 = 249 제9장 송이 요리의 몇가지 = 251 1. 일반이 간편히 만들 수 있는 송이 요리 = 251 2. 자연산 양양송이로 만드는 송이요리 = 255 3. 다카키 책자의 송이요리 = 264 제10장 송이 생산, 유통 및 연구지원 정책과 전망 = 266 1. 송이생산 지원정책 = 266 2. 송이유통 및 수출 지원정책 = 268 가. 문제점 = 268 나. 개선방안 = 269 다. 송이산업 육성을 위한 시책 = 270 3. 연구지원 정책 = 271 가. 송이 증산을 위한 연구지원 = 271 나. 송이 선도유지를 위한 연구지원 = 271 4. 송이생산 및 연구 전망 = 271 가. 송이 생산전망 = 271 나. 송이 연구전망 = 27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