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업의 6차산업 활성화 방안 Session Ⅰ 한국 한국 농업의 6차 산업화와 정책과제 제1장 농업의 6차산업화의 의미 1. 왜 6차산업화가 필요한가? = 3 2. 농업의 새로운 활로: 6차산업화 = 5 3. 농업의 6차산업화의 개념과 유형 = 7 4. 6차산업화의 기대효과 = 11 제2장 6차산업 관련 정책 1. 6차산업 관련 정책의 시대적 흐름 = 13 2. 6차산업화 관련 정책의 현황 = 21 3. 6차산업화 과련 정책의 특징과 문제점 = 38 제3장 한국의 6차산업 현황과 사례 1.6차산업 관련 통계 = 43 2. 6차산업화 운영 실태 분석 = 52 3. 사례를 통해서 본 6차산업화 활동 = 58 제4장 6차산업화 정책 수요 분석 1. 조사 개요 = 81 2. 정부의 6차산업화 정책에 관한 의견 = 82 3. 6차산업화 추진과 실태에 관한 한·일 비교 = 98 4. 시사점 = 107 제5장 농업의 6차산업화 정책 우선순의 AHP 분석 1. 분석 목적 = 111 2. 분석 자료 및 결과 = 112 3. 요약 및 시사점 = 118 제6장 농업의 6차산업화 활성화 정책과제 1. 정책 방향과 목표 = 119 2. 6차산업화 전략 = 120 3. 6차산업 활성화 정책과제: 정책적 관점 = 126 참고문헌 = 145 Session Ⅱ 일본 일본 농업의 6차산업화 현황과 정책 개요 = 149 서론 = 153 제1부 일본의 6차산업화의 특징과 정책 등의 개관 = 155 제1장 6차산업화의 기본적인 인식 1. 6차산업화 인식의 기본적인 시점 = 157 2. 6차산업화의 사업 내용의 요점-모식도에 의한 검토 = 159 제2장 6차산업화 정책의 개요 1. 일본 농림수산정책에서 6차산업화 정책의 의의 = 163 2. 6차산업화에 관한 최근 주요 시책의 개요 = 165 제3장 6차산업화의 이론적 정리 1. 사업 활동(단계)의 「연결 방법」과 6차산업화 = 175 2. 6차산업화의 특징과 농업 측의 소득 증가를 위한 사업추진의 필요성 = 181 3. 이노베이션을 유발하기 쉬운 구조의 6차산업화~기반이 되는 「정보·지식의 교류·공유·축척」= 182 4. 6차산업화 특성을 감안한 유통시스템 등의 검토~「생산자 주도형 가치사슬」의 구축을 위해 = 184 제4장 6차산업화의 사업추진 상황과 유형 분류의 기본적 관점 1. 전국규모의 통계 등에 의한 6차산업화의 특징 = 191 2. 유형 분류의 3가지 관점 = 203 3. 대표적 개별 사례의 특징 등의 개관 = 209 제5장 소괄 = 235 인용·참고문헌 = 237 제2부 6차산업화 추진을 위한 해외 유사 정책 연구 = 239 제1장 배경과 과제 1. 일본 농업정책의 흐름과 6차산업화 정책 = 241 2. 6차산업화와 조직적 이노베이션 = 243 제2장 6차산업화 유사 정책으로서 농촌 이노베이션 정책 1. 분석대상으로 한 해외 및 일본 국내의 유사 정책 = 249 2. 농촌 이노베이션 정책의 인지공간: 정책 목표와 정책 수단 = 249 3. 각국의 농촌 이노베이션 관련 정책의 포지션 = 250 제3장 사례분석 1. 상향식 농촌개발과 인재육성: LEADER사업과 독일 바이른주 사례 = 253 2. 식품 부문의 산업클러스터 정책: 프랑스의 클러스터 정책 = 259 제4장 6차산업화 추진을 위한 함의와 정책 연구의 전망 = 269 참고문헌 = 273 Session Ⅲ 중국 중국 농업의 6차산업: 발전과 진화 제1장 6차산업 발전의 개황 1. 6차산업의 의미 = 277 2. 농업산업화의 발생과 발전과정 = 280 3. 농업산업화의 발전 현황과 성과 = 286 제2장 농업산업화 발전 모델의 사례분석 1. 농민전업합작조직 주도형 = 293 2. 정부 지원형 = 296 3. 단지 인도형 = 298 4. 용두기업 인도형 = 301 5. 대농가 인도형 = 305 제3장 지역별 농업산업화 발전의 경험과 재정지원정책 1. 지역별 농업산업화 발전 추진의 실천경험 총결 = 309 2. 지역별 농업산업화 발전의 재정지원정책 시사점 = 314 3. 문제점 및 정책건의 = 318 제4장 일부 국가중점용두기업의 기본상황 분석 1. 상이한 유형의 용두기업 운영상황 = 325 2. 용두기업 기본상황의 수평적 비교 = 328 3. 용두기업 발전상에 존재하는 문제점 및 정책건의 = 331 제5장 중소식품가공기업의 발전 방향 1. 중소식품가공기업(SMFES)의 국가발전에 대한 공헌 = 337 2. 중국식품가공업의 현황 = 343 3. 중국 중소식품기업 부문별 외부 구동력 촉진 = 348 4. 기본제도의 현황 = 352 5. 중소식품기업의 전략중점 및 제약요인 = 357 제6장 농업산업화 용두기업의 사회화서비스 추진 연구 1. 용두기업의 농가를 위한 사회화서비스 제공 현황 분석 = 362 2. 용두기업이 농가에 제공하는 사회화서비스의 특징 = 370 3. 용두기업이 농가에 제공하는 사회화서비스의 효과분석 = 374 4. 용두기업 사회화서비스 강화에 대한 정책건의 = 378 제7장 농업산업화 시범기지 운영 및 재정지원정책 연구 1. 농업산업화 시범기지 발전의 주요 성과 = 383 2. 지역별 농업산업화 시범기지의 혁신 추진 경험 = 388 3. 농업산업화 시범기지의 재정지원 이론과 실천 = 392 4. 농업산업화 시범기지 재정지원의 주요 부분과 정책적 건의 = 402 제8장 농업산업화 발전의 재정지원정책 연구 1. 농업산업화 재정지원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 모색 = 437 2. 농업산업화 특별기금프로젝트의 시행상황 및 효과 분석 = 442 3. 농업산업화 특별기금 규모 확대의 필요성 = 446 4. 농업산업화 특별기금 지원 확대의 주요 부분 = 450 5. 농업산업화 재정지원 확대에 대한 정책건의 = 453 참고문헌 = 45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