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지역 사회통합과 발전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[채종헌] = 1 제1절 연구의 배경 = 2 제2절 연구의 목적 = 4 제3절 연구범위와 방법 = 7 1. 연구 범위 = 7 2. 연구의 방법 = 9 제4절 연구의 기대효과 = 12 제2장 사회통합과 협동조합의 의의 [채종헌] = 15 제1절 사회통합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과제 = 16 1.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사회통합 = 16 2. 사회양극화와 지역 불균형 심화 = 20 3. 사회통합과 지역발전의 대안으로서 사회적경제 = 22 제2절 협동조합의 배경 및 의의 = 24 1. 시장경제의 한계와 사회적경제 = 244 2. 공동체주의 이론과 사회자본 = 30 3. 협동조합의 의의 = 41 제3장 협동조합의 사례 및 현황분석 [채종헌·김종수] = 59 제1절 협동조합의 제도적 현황 분석 = 60 1. 사회적 경제의 제도적 현황 = 60 2. 기존 협동조합의 한계와 문제점 = 70 3.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한계 = 75 제2절 국외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= 82 1. 이탈리아(볼로냐) 협동조합 = 82 2. 스페인(몬드라곤) 협동조합 = 95 3. 스위스(미그로) 협동조합 = 113 4. 캐나다 퀘벡 협동조합 = 124 제3절 국내 협동조합의 사례연구 = 137 1. 우리나라 대표적 협동조합 사례 = 137 2. 원주시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= 144 3. 충청남도 협동조합 = 155 4. 서울시 협동조합 지원정책 = 166 제4장 연구 설계 [채종헌] = 171 제1절 연구 설계 및 분석틀 = 172 1. 연구 설계 = 172 2. 연구 분석의 틀 = 174 제2절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조사 = 175 1. 협동조합 인식조사의 개요 = 175 2. 인식조사의 구성 = 76 제3절 AHP 분석 설계 = 178 1. 계층적 의사결정 기법의 도입 = 178 제4절 쟁점 분석 및 사회네트워크분석 설계 = 180 제5장 협동조합의 사회적 인식 분석 [채종헌·김종수] = 183 제1절 조사 개요 = 184 1. 설문의 구성 = 184 2.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= 186 3. 조사대상의 특성 = 187 제2절 서울지역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인식 분석 = 190 1.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= 190 2. 협동조합의 7원칙 인식조사 분석 = 195 3. 직원(조합원)의 교육 훈련 및 증자 = 197 4.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의 지역사회 기여 = 202 5. 정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관계 = 206 제3절 서울과 충남지역의 협동조합 인식조사 비교분석 = 212 1. 서울과 충남 응답대상의 일반현황 분석 = 212 2. 협동조합의 7원칙 비교분석 = 217 3. 조합원의 교육훈련 및 증자현황 = 220 4. 협동조합들의 지역사회 기여 인식현황 = 223 5. 협동조합의 행정기관 및 다른 협동조합과의 협력 = 227 제4절 협동조합 인식조사 분석 소결 = 232 1. 서울지역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의 인식조사 분석 결과 = 232 2. 서울과 충청남도 협동조합들의 인식조사 비교 분석 = 234 제6장 협동조합 관련정책의 전문가 우선순위 분석 [채종헌] = 237 제1절 AHP 방법 소개 및 모형 구축 = 238 1. 계층적의사결정(Analytic Hierarchy Process)의 개념 = 238 2. AHP 분석의 단계 = 240 3.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계층적 의사결정모형 도출 = 242 제2절 협동조합 활성화 정책 우선순위 분석 = 247 1. 조사개요 = 247 2. 정책우선순위의 단계별 평가기준의 분석 = 248 3. 정책우선순위 종합적 평가기준의 분석 = 256 제3절 전문가의 지역특성에 따른 정책우선순위 분석 = 260 1. 조사개요 = 260 2. 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= 260 3. 비수도권지역 전문가 정책우선순위 분석 = 265 제4절 분석 소결 = 271 제7장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[채종헌[ = 275 제1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사 개요 = 276 제2절 원주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= 281 1. 전체 사회적경제 생태계 네트워크 분석 = 281 2. 운영지원 분야 = 284 3. 정보자원 분야 = 296 4. 교육활동 분야 = 303 5. 지역 네트워크 분야 = 308 제3절 분석 소결 = 313 제8장 결 론 [채종헌] = 315 제1절 연구 요약 = 316 제2절 정책 제언 = 322 1.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 = 323 2. 협동조합 운동과 정부 간 긴밀한 협력 = 324 3. 각 부처의 사회적경제 정책 협업 = 324 4.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금융조달과 전문적 지원 = 325 5. 협동조합기본법의 정비 및 개정을 통한 문제 해결 = 327 6. 기존 협동조합 활용 및 연계 가능성 진단과 개선 = 328 7. 지역자원운영과 개발을 위한 협동조합의 활용 = 329 8. 협동조합 모형 차별화 전략 강구 = 330 9. 분야별 협동조합 도입 전략 차별화 = 330 10. 협동조합에 대한 홍보와 사회적 인식 확대 방안 = 332 11. 창업에 대한 협동조합의 지원과 유인 정책 활용 = 333 12.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한 지역 대학의 활용 = 334 13. 협동조합운동과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제도권의 교육 필요 = 335 14. 효과적인 사회적경제 작동을 위한 효과적 협의시스템 개발 및 교육 = 335 참고문헌 = 339 부 록 = 347 <부록 1> 서울·충남 협동조합의 현황 및 정책인식조사 설문지 = 348 <부록 2> 정책우선순위 조사 설문지 = 360 <부록 3>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조사 설문지 = 37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