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한국농업경제사연구 제1장 원시사회하의 농업 1. 원시사회의 농경 = 15 2. 원시사회의 집단조직 = 16 3. 원시사회하의 토지제도 = 18 4. 원시사회하의 농업 = 18 5. 원시사회와 교환경제 = 20 제2장 고대사회하의 농업경제사 제1절 삼국시대의 농업경제사 = 21 1. 삼국시대의 토지제도 = 21 2. 삼국시대의 농업양상 = 23 3. 삼국시대의 농민경제 = 24 4. 삼국시대의 권농정책 = 26 5. 삼국시대의 농업경영양식 = 27 제2절 통일신라의 농업경제사 = 29 1. 통일신라의 토지제도 = 29 2. 통일신라의 농민경제 = 31 3. 통일신라의 농업생산력 = 32 4. 통일신라의 농업경영양식 = 34 제3장 봉건경제사회의 농업경제사 제1절 고려조의 농업경제사 = 35 1. 고려의 토지제도 = 35 2. 토지사전제의 형성과 농업경영양식 = 38 3. 농민부담의 성격 = 40 4. 고려의 권농정책 = 43 5. 고려의 농민항쟁운동 = 44 제2절 이조의 농업경제사 = 47 1. 이조전기의 토지제도 = 47 2. 이조후기의 토지제도 = 50 3. 사전제의 확립과 농업경영양식 = 52 4. 농업경영규모의 구조 = 54 5. 이조지주와 전호관계 = 56 6. 농민부담의 형태 = 58 (1) 전조 = 58 (2) 공물 = 62 (3) 농민부역 = 64 7. 사민정책의 전개 = 66 제3절 이조후기의 지주-소작제도 = 67 1. 소작료의 징수방법 = 69 2. 소작료율 = 71 3. 소작료의 수취형태 = 71 4. 소작관리방법 = 72 5. 소작계약 = 72 6. 소작기간 = 73 7. 특수소작 = 73 제4절 이조후기의 도지권 성격 = 74 1. 이조후기의 도지권의 내용 = 74 2. 이조후기의 도지권 발생과 성장 = 79 제5절 동학농민란 = 83 1. 동학농민란의 배경 = 83 2. 동학농민란의 전개 = 85 (1) 동학농민군의 고부봉기와 백산웅거 = 85 (2) 동학농민군의 백산웅거와 전면전쟁으로의 발전 = 87 (3) 경군의 파견과 동학농민군의 황룡촌대첩 = 90 (4) 동학농민군의 전주점령과 전주화약의 성립 = 92 (5) 동학농민군의 재기와 공주공방전 = 94 (6) 동학농민군의 최후혈전 = 97 3. 동학농민란의 성격 = 100 제4장 일제하의 농업경제사 제1절 일제하 식민지경제와 한국경제의 성격 = 102 1. 토지수탈기지로서의 역할 = 102 2. 식량공급기지로서의 역할 = 103 3. 공업원료원천으로서의 역할 = 104 4. 상품시장으로서의 역할 = 106 5. 투자시장으로서의 역할 = 108 6. 군사기지로서의 역할 = 110 제2절 일제식민지경제와 조선농업경제전개 = 111 1. 제일기하의 농업경제전개(서기 1906 ∼ 1918 년) = 111 2. 제이기하의 농업경제전개(서기 1919 ∼ 1929 년) = 112 3. 제삼기하의 농업경제전개(서기 1930 ∼ 1945 년) = 112 제3절 토지조사사업 = 113 1. 토지조사사업의 배경 = 113 2. 토지조사사업의 전개와 내용 = 117 3. 토지조사사업의 결과와 영향 = 125 4. 토지조사사업과 소작농반응 = 128 (1) 도지권 확인소송 = 129 (2) 소작료 태납운동 = 130 (3) 도지조합의 설립 = 130 (4) 결의서 및 진정서 운동 = 131 제4절 산미증식계획 = 131 1. 산미증식계획시행의 배경 = 131 2. 산미증식계획의 내용과 전개 = 133 3. 산미증식계획의 결과와 영향 = 136 4. 산미증식계획과 수리조합설치 = 139 (1) 수리조합설치의 배경 = 139 (2) 수리조합설치의 성격 = 142 제5절 일제하의 농촌경제 = 155 제6절 농촌진흥운동의 전개 = 163 1. 농촌진흥운동의 배경 = 163 2. 농촌진흥운동의 전개 = 166 (1) 제일기하 농촌진흥운동의 전개 = 167 (2) 제이기하 농촌진흥운동의 전개 = 169 3. 농촌진흥운동의 결과 = 176 4. 종합적 평가 = 183 제7절 일제하의 농업경영양식 = 184 제8절 일제하의 소작료의 기본성격 = 187 1. 소작료의 실체 = 187 (1) 소작료의 징수방법 = 187 (2) 소작료율 = 192 (3) 소작료 형태 = 195 (4) 노동소작료 = 198 2. 소작료의 구성 = 199 3. 소작료의 지대범주 = 202 제9절 소작쟁의 = 204 1. 소작쟁의발상의 역사적 배경 = 204 2. 소작쟁의 운동의 역사적 함축 = 219 3. 종합적 평가 = 246 제10절 일제하 대토지 소유제와 사음 = 247 1. 사음의 의의 = 247 2. 사음의 임무 = 249 3. 사음의 선정 = 252 4. 사음의 지역적 분포 = 255 5. 사음존재의 함축 = 257 6. 사음의 총합적 평가 = 264 제11절 지주·소작제도하의 농지령 성격 = 265 1. 농지령 제정의 배경 = 265 2. 농지령의 내용 = 272 3. 농지령의 성격 = 278 4. 종합 = 280 제12절 공출제도의 실시 = 281 1. 중국침략과 공출개시 = 281 2. 공출제도의 감행과 농업수탈 = 283 제13절 일제하의 농업단체 = 284 1. 농회 = 286 (1) 조선농회의 사업 = 288 (2) 도농회의 사업 = 289 (3) 군조농회의 사업 = 292 2. 산업조합 = 291 3. 식산계 = 295 제5장 해방후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 제1절 미군정하의 농업실상 = 298 1. 해방직후 농업의 양태 = 299 2. 미군정의 토지정책 = 303 (1) 귀속농지분배의 배경 = 303 (2) 귀속농지분배의 과정과 내용 = 305 (3) 종합적 평가 = 315 3. 미군정의 식량정책 = 316 제2절 대한민국정부수립 이후의 농업국면 = 323 1. 농지개혁 = 323 (1) 농지개혁의 사회경제적 배경 = 323 (2) 농지개혁법의 제정과정 = 325 (3) 농지개혁법의 내용 = 327 (4) 농지개혁사업의 실시와 그 결과 = 333 2. 미잉여농산물의 도입 = 342 (1) 도입배경 = 342 (2) 미잉여농산물의 도입과정 = 343 (3) 미잉여농산물도입의 효과와 의의 = 349 제3절 경제개발계획과 농업발전과정 = 352 1.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추진과 농업발전과정(1972 ∼ 1976) = 352 (1) 기본일표 = 352 (2) 농업증산 장기계획의 수립추진 = 353 (3) 농촌경제의 자립기반 구축 = 355 (4) 농업개발제도의 개선과 설정 = 356 2.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추진과 농업발전과정(1967 ∼ 1971) = 356 (1) 기본목표 = 356 (2) 농공병진정책 전개하의 농업발전 = 358 (3)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전개하의 농업발전 = 358 (4) 고곡가정책추진하의 농업발전 = 358 (5) 농업금융확대하의 농업발전 = 358 3.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추진과 농업발전과정(1972 ∼ 1976) = 359 (1) 기본목표 = 359 (2) 새마을 운동추진과 농업개발 = 360 (3) 농지보전과 확대개발하의 농업발전 = 360 (4) 농업생산기반조성 사업의 확충과 농업발전 = 360 (5) 농산물가격안정시책하의 농업발전 = 361 4.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추진과 농업발전과정(1977 ∼ 1981) = 361 (1) 기본목표 = 361 (2) 농산물 유통시책강화하의 농업발전 = 362 (3) 농업금융확충하의 농업발전 = 362 (4) 새마을소득 종합개발사업전개하의 농업발전 = 362 (5) 농정 지원체제 강화하의 농업발전 = 363 제4절 한국경제발전과 농업구조변화 = 363 제5절 경제개발계획 시행과 농업변모 = 366 1.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시행(1962 ∼ 1966)과 농업변모 = 367 2.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시행(1967 ∼ 1971)과 농업변모 = 369 3.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시행(1972 ∼ 1976)과 농업변모 = 372 4.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시행(1977 ∼ 1981)과 농업변모 = 375 5. 제5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수립시행(1982 ∼ 1986)과 농업변모 = 378 찾아보기 = 38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