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정부업무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제1장 서 론 [윤수재] =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= 2 제2절 연구의 목적 = 8 제3절 연구의 범위 방법 및 기대효과 = 11 제4절 연구 설계 = 3 1. 연구 흐름도 = 13 2. 연구의 분석틀 = 16 제2장 이론적 논의 [윤수재] = 19 제1절 정부업무평가의 이론적 논의 = 20 1. 정부업무평가의 개념: 법률적 검토 중심으로 = 21 2. 정부업무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= 25 3. 정부업무평가상의 메타평가 = 30 제2절 메타평가에 대한 이론적 논의 = 49 1. 메타평가 = 49 2. 메타평가에 대한 선행연구 = 60 3. 소결론: 분석지표 도출 = 78 제3절 연구의 분석틀: 분석지표를 중심으로 = 84 제3장 해외 메타평가 사례분석 [윤수재] = 87 제1절 메타평가 유형 1: 유럽위원회 사례 = 94 1. 메타평가시스템 분석 = 94 2. 메타평가 수행내용 분석 = 105 제2절 메타평가 유형 2: 호주의 사례분석 = 124 1. 메타평가시스템 = 124 2. 메타평가 수행내용 분석 = 130 제3절 메타평가 유형 3: 캐나다의 사례분석 = 153 1. 메타평가시스템 = 153 2. 메타평가 수행내용 평가 = 161 제4절 메타평가 유형 4: 영국의 사례분석 = 180 1. 메타평가시스템 = 180 2. 메타평가 수행내용 평가 = 186 제5절 소결론: 국가간 비교 = 01 1. 메타평가시스템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 = 202 2. 메타평가 수행내용에 대한 국가별 평가결과에 따른 시사점 = 206 제4장 우리나라 정부업무평가 실태에 대한 메타평가 [윤수재] = 213 제1절 평가범위 대상 및 방법 = 214 제2절 평가환경 = 220 1. 환경적 위험 및 우선순위에 대한 검토 여부 및 그 적절성 = 220 2. 정책 대상집단 및 이해관계자의 수요(요구)에 대한 사전조사 여부 및 그 적절성 = 224 제3절 평가계획 = 230 1. 평가 주기 및 기간의 적절성 = 230 2. 평가결과 등급산정의 적절성 = 235 3. 평가 목적 및 원칙의 타당성 = 242 4. 평가 대상 및 자료 선정의 타당성 = 245 제4절 평가투입 = 248 1. 평가 인력(조직) 규모 및 역량의 적절성과 평가 인력(조직) 구성의 형평성 및 독립성 = 248 2. 평가 예산의 충분성 = 253 제5절 평가수행 = 255 1. 평가 방법(문헌/인터뷰/통계) 및 설계(사례분석/실험설 계 등)의 타당성 = 255 2. 평가도구(지표/영역)의 타당성 = 261 3. 평가결과 산정을 위한 분석 수준의 적절성 = 266 제6절 평가결과 = 272 1. 증거에 기반 한 평가 결과 기술여부 및 그 충분성 = 272 2. 평가 결과를 산출-결과-영향의 3차원으로 심층 논의했는지 여부와 그 충분성 = 278 3. 평가결과를 이해하기 쉽도록(도표와 그림을 활용) 보고하고 있는지 여부와 그 충분성 = 285 제7절 평가활용 = 288 1. 평가결과의 공개여부 및 보고방법의 적절성 = 288 2.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한 향후의 정책형성을 위한 제언 및 비전 제시의 충분성 = 291 3. 평가대상기관의 평가결과 수용 여부를 조사/확인하는지 여부 및 그 충분성 = 293 제8절 소결론 = 295 1. 평가환경 = 296 2. 평가계획 = 299 3. 평가투입 = 301 4. 평가수행 = 302 5. 평가결과 = 304 6. 평가활용 = 305 7. 전반적인 평가결과 = 307 제5장 정부업무평가 및 메타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[윤수재] = 311 제1절 연구설계 및 조사방법 = 312 1. 연구설계 = 312 2. 조사방법 = 319 제2절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분석 = 322 1. 현행 평가제도에 대한 평가분석 = 322 2. 정부업무평가 개선을 위한 메타평가 향방 = 333 제3절 심층분석 (1): 공무원과 전문가 간의 인식 차이 = 342 1. 현행 평가제도에 대한 인식차이 비교분석 = 342 2. 현행 평가시스템의 개선과 메타평가의 방향에 대한 의견 = 353 제4절 심층분석 (2): 포트폴리오 분석 = 364 1. 자체평가의 현황에 대한 평가 = 366 2. 특정평가의 현황에 대한 평가 = 374 제5절 심층면접 결과분석 = 381 1. 자체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: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= 381 2. 특정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: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= 384 제6절 소결론 = 387 1. 정부업무평가제도에 대한 평가 및 개선방안: 메타평가를 중심으로 = 387 2. 심층분석 (1): 집단간 의견차이 분석 = 397 3. 심층분석 (2): 포트포리오 분석 = 399 4. 심층면접 결과 = 402 제6장 결론: 요약 및 정책 제언 [윤수재] = 405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을 통한 시사점 제시 = 406 1. 연구목적 및 연구 분석틀: 선행연구 검토를 중심으로 = 406 2. 분석결과: 해외사례분석, 국내 정부업무평가제도 분석 및 인식 분석 = 411 3. 결과 종합 = 418 제2절 정부업무평가 및 메타평가에 대한 법 · 제도적 측면의 개선방안 = 419 제3절 정부업무평가 및 메타평가에 대한 제도 운영적 측면의 개선방안 = 425 1. 자체평가에 대한 ‘범부처 메타평가’ 실시 필요 = 426 2. ‘자체평가에 대한 중장기 메타평가’ 실시 필요 = 428 3. ‘특정평가에 대한 중장기 메타평가’ 실시 필요 = 428 4. ‘평가시스템에 대한 평가’ 실시 필요 = 429 5. 정책제안 및 보완사항에 대한 평가보고서 기술 구체성 강화 필요 = 432 6. 환경분석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에 대한 평가보고서 기술(설명)심화 필요 = 434 7. 결과보고의 심층성 강화를 위한 결과기술 가이드라인 제공 필요 = 435 8. ‘평가설계 및 평가도구, 사례선정에 대한 평가’ 실시 필요 = 436 9. ‘범부처 협력과제에 대한 평가방안’ 모색 필요 = 438 10. ‘중장기적 관점의 사회적 영향평가’ 실시 필요 = 439 11. 평가를 위해 투입되는 시간인력에 대한 보고 필요 = 439 12. 평가시기의 개선 필요 = 440 제4절 정부업무평가 및 메타평가에 대한 인식 측면의 개선방안 = 441 1. 정부업무평가의 지향점에 대한 교육 및 인식 제고 교육 실시 필요 = 442 2. 중장기적 메타평가의 필요성과 지향점에 대한 교육 실시 필요 = 443 3. 범부처 메타평가의 필요성과 지향점에 대한 교육 실시 필요 = 443 4. 자체평가보고서 기술을 위한 가이드라인 보완 필요 = 444 5. 시계열적 분석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필요 = 445 6. 평가의 전문성과 더불어 평가구성원의 다양성 확보 필요성에 대한 교육 실시 필요 = 446 7. 정책환류의 의미에 대한 재교육 필요 = 447 8. 평가위원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필요 = 448 9. 평가예산에 대한 평가 필요성 교육 = 449 10. 환경분석과 우선순위 설정의 연계성 필요에 대한 교육 필요 = 449 11. 메타평가수행을 위한 교육 필요 = 450 12. 사회적 영향에 대한 평가를 위한 교육 필요 = 451 참고문헌 = 45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