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약 안전사용 및 관리 선진화 방안을 위한 연구 제1부 연구 개요 = 1 1. 연구의 필요성 = 3 2. 연구 목적 = 5 3. 연구 과제 = 6 3.1. 연구 과제 총괄 = 6 3.2. 연구 방법 = 8 3.3. 연구 관리 및 추진 일정 = 9 4. 국내 및 해외 연구 동향 = 11 4.1. 국내 연구 동향 = 11 4.2. 해외 연구 동향 = 12 5.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= 13 5.1. 기대효과 = 13 5.2. 활용방안 = 14 제2부 농약관리 제도 분석과 미래 비전 = 15 1. 농약 산업 현황 = 17 1.1. 농약의 정의와 산업 개황 = 17 1.2. 농약산업의 플레이어 = 21 1.3. 농약산업에의 도전 : 식품안전과 환경위해성 = 23 2. 우리나라 농약 관리 제도 현황 = 26 2.1. 농약 관리제도 개요 = 26 2.2. 현행 농약관리 제도의 주요 내용 = 28 2.3. 농약 관리 현황 = 31 2.4. 농약관리 제도 관련 주요 이슈 = 35 3. 농약관리 제도 변화의 국제적 동향 = 37 3.1. 국제협약, UN 및 OECD 기준 = 37 3.2. EU = 39 3.3. 일본 = 41 3.4. 미국 = 42 3.5. 주요 선진국 농약관리 제도 변화 경향과 시사점 = 45 4. 안전 사용과 식품 안전을 위한 농약관리 선진화 비전 = 47 4.1. 농약관리의 미래 요구 분석 : 비전 설정의 방향 = 47 4.2. 농약관리 선진화 비전(안) = 51 제3부 농약등록 및 안전성 평가제도 개선 방안 = 53 1. 농약등록 제도의 현황과 주요 이슈 = 55 1.1. 농약 등록제도의 배경 = 55 1.2. 현행 우리나라 농약 등록 제도 = 57 1.3. 주요 외국의 농약 등록제도 개요 = 60 1.4. 농약 등록제도와 관련한 주요 이슈 = 69 2. 안전성 평가의 현황과 주요 이슈 = 74 2.1. 안전성 평가 개요 = 74 2.2. 안전성 평가 현황 = 76 2.3. 안전성 평가와 관련된 이슈 = 80 3. [보론] 미국의 제한사용농약 제도 분석 및 시사점 = 85 3.1. 제한사용농약(Restricted Use Pesticide) 개요 = 85 3.2. 제한사용농약 제도의 운영 = 86 3.3. 우리나라 제도에의 시사점 = 88 4. 농약 등록 및 안전성 평가 제도 개선 방안 = 90 4.1. 방향 설정 = 90 4.2. 핵심과제 : 농약 분류 체계의 재정립 = 91 4.3. 농약 등록 및 안전성 평가 관련 세부 개선 과제 = 94 제4부 농약관리 관련 주요 과제별 개선 방안 = 99 1. 식물 의약사 제도 도입 타당성 분석 = 101 1.1. 제도 발의 배경과 주요 내용 = 101 1.2. 분석의 방향과 이해관계자의 논의 동향 = 103 1.3. 국내 유사제도 및 해외 제도 검토 = 106 1.4. 법안의 논리적 타당성 검토 = 114 1.5. 법안의 사회경제적 부담 = 117 1.6. 분석 결과 = 119 2. 국제기준 농약 표시제도 도입 및 파급효과 분석 = 122 2.1. 국제기준 화학 물질 표시 제도 = 122 2.2. 현행 농약표시제도 현황 = 124 2.3. GHS와 우리나라 표시제도의 비교 = 126 2.4. 국제기준으로 전환의 필요성과 요구 : 이슈 = 130 2.5. 분석 결과 = 132 3. 가정원예용 소포장 농약 개발 보급 방안 = 135 3.1. 소포장 농약 관련 규정 및 현황 = 135 3.2. 소포장 농약 이용 요구 = 135 3.3. 해외 가정원예용 농약 현황 = 136 3.4. 소포장 농약 활성화의 문제점 : 업체 의견 = 141 3.5. 소포장 농약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= 142 4. 농약관리 기관별 역할 조정 방안 = 146 4.1. 필요성 = 146 4.2. 주요 현황과 문제 요소 = 147 4.3. 기본 방향 = 151 4.4. 기관별 기능 체계화 방안 = 152 제5부 결론 및 제언 = 157 1. 요약 = 159 2.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노력 = 161 [참고 문헌] = 163 [참고 자료] = 16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