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지연금 도입관련 연구용역 자료 [Ⅰ]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도입 방안('06.12) = 3 1. 서론 = 14 1.1. 연구배경 및 목적 = 14 1.2.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= 16 1.3. 선행연구 검토 = 16 1.4. 연구 범위 = 18 2. 현행 역모기지론 및 관련 정책 분석 = 19 2.1. 역모기지 이해 = 19 2.2. 금융기관의 주택담보 역모기지론 = 21 2.3. 농협 연금형 생활자금대출 = 23 2.4. 경영이양직불제도 = 23 3.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도입 필요성 = 27 3.1. 농가자산 분포의 특성 = 27 3.2. 역모기지 담보로서 농지가 갖는 특수성 = 29 4.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도입 방안 = 33 4.1. 공적보증기관 필요성 및 설립 방안 = 33 4.2. 농촌형 역목기지 취급기관 = 38 4.3. 역모기지 지급대상 및 기간 = 41 4.4. 세제 지원 방안 = 42 4.5. 농지 소유 · 이용관련 법 · 제도 = 42 5. 농촌형 역모기지제도 도입에 따른 예상 문제점 = 47 5.1. 관습과의 충돌 = 47 5.2. 노후생활비 충당에 미흡 = 47 5.3. 농지담보 제공에 대한 논란 예상 = 50 5.4. 역모기지 리스크 부담 = 51 6. 결론 및 향후 과제 = 53 6.1. 요약 및 결론 = 53 6.2. 향후 과제 = 58 참고문헌 = 59 <참고자료 1> 재정경제부「역모기지 활성화 방안」= 60 <참고자료 2> 주택 역모기지제도 해외사례 = 69 <참고자료 3> 미국 주택도시개발성(HUD) 홈페이지 소개 = 76 <참고자료 4> 가쉬표 해설 및 가쉬표 = 81 [Ⅱ] 농지연금 수요예측조사 최종보고서('08.07) = 101 Ⅰ. 조사개요 = 107 1. 조사배경 및 목적 = 107 2. 주요 조사내용 = 107 3. 조사설계 = 107 4. 조사 공정표 = 108 5. 표본설계 및 구성 = 108 6. 실사진행 및 데이터 분석방법 = 112 7. 유효 설문지 회수 현황 = 115 Ⅱ. 농지연금 수요조사 조사결과 분석 = 118 1. 설문문항별 단순빈도분석 = 118 2. 지역에 따른 교차분석 = 156 3. 농지소유면적에 따른 교차분석 = 174 4. 연령에 따른 교차분석 = 192 [부록] 농지연금 수요조사 설문지 = 211 [Ⅲ] 농촌형 역모기지(농지연금) 도입방안 연구('08.10) = 219 제1장 서론 = 228 제1절 연구의 목적 = 229 제2절 연구의 범위 = 230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= 231 제2장 농촌형역모기지(농지연금)모형개발을 위한 사전 검토 = 233 제1절 농촌사회의 특징 = 233 제2절 주택역모기지제도 개관 = 242 제3절 주요국의 역모기지제도 = 258 제4절 우리나라 역모기지제도의 현황 = 270 제3장 농지연금모형의 설계 = 280 제1절 농지연금의 개념과 배경 = 280 제2절 농지연금의 필요성과 특성 = 285 제3절 농지연금 기본모형설정 = 288 제4절 농지연금모형에 적용되는 기초변수의 설명 = 295 제5절 농지연금모형의 사업추진형태 = 297 제6절 농지연금모형에서 위험부담비용구조의 설계 = 300 제7절 체증형 농지연금모형에서의 위험부담비용구조 = 305 제8절 농지연금지급형태의 다양화 방안 = 311 제9절 농지연금 통합모형 구축방안 = 313 제4장 농지연금의 운용리스크 평가 = 324 제1절 역모기지제도의 리스크 = 324 제2절 농지연금의 운용리스크 = 325 제3절 위험부담(보증)리스크확인을 위한 자료 및 예측방법론 = 330 제4절 기본모형설정에 따른 보증리스크의 확인 = 333 제5절 위험부담리스크의 구체적 평가 = 335 제6절 농지연금의 적정모형 = 344 제7절 농지연금모형(수정모형)의 보증리스크 평가 = 350 제8절 농지연금 풀(Pool)의 재정지출규모 추정 = 357 제9절 농지연금의 사후관리방향 = 362 제5장 농지연금의 운용기관의 역할의 기능 = 374 제1절 농지연금운영기관의 효율성 비교분석 = 374 제2절 운영기관의 역할과 기능 = 380 제3절 농지은행 및 농림수산식품부의 역할 = 382 제6장 농촌구조조정 및 노후복지실현 정책 방향 = 385 제1절 농촌구조조정의 활성화 = 385 제2절 농지은행 측면의 역할 = 389 제3절 노후복지실현 = 391 제7장 결론 = 393 제1절 요약 = 393 제2절 기대효과 = 394 제3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= 395 참고문헌 = 397 [Ⅳ] 농지연금모형 구성요소 산출 및 프로그램 구축('10.10) = 403 <요약문> Ⅰ. 서론 = 420 Ⅱ. 농지연금모형 개관 = 422 1. 종신형 농지연금 = 422 2. 기간형 농지연금 = 423 1) 기간형 농지연금상품 설계 = 423 2) 기간형 농지연금모형(연금 지급기간 만료시 농지연금채권 정산) = 425 3. 월지급금 산정모형 = 427 1) 농지연금의 월지급금(pmt)산정모형의 설계 = 428 2) 농지연금 기본모형에서의 연금산정할인율의 이해 = 432 4. 농지담보인정비율(LTV) = 437 Ⅲ. 모형 기초변수 분석 = 439 1. 이자율 = 439 1) 기대이율(i)와 실제대출이자율(r) 수준의 결정 = 439 2) 기대이율 수준의 결정 = 440 3) 실제대출이자율 수준의 결정 = 445 4) 이자율 분석결과 정리 = 447 2. 농지가격상승률 = 448 1) 시군지역 농지가격지수에 의한 분석 = 450 2) 군지역 농지가격지수에 의한 분석 = 455 3) 전국지역 농지가격지수에 의한 분석 = 457 4) 농지가격상승률 분석결과 정리 = 459 5) 농지평가율 = 459 3. 농지연금의 대출생존확률과 대출종료확률 = 461 1) 사망률 = 461 2) 중도해지율(조기상환율) = 462 3) 농지연금의 대출생존확률과 대출종료확률 = 463 Ⅳ. 리스크 분석 = 466 1. 농지연금 1차 분석모형 = 466 1) 분석모형 = 466 2) 시뮬레이션 분석에 사용할 확률모형 = 467 2. 농지연금 1차 분석모형 분석결과 = 469 1) 순손해액(NL) 분석결과 = 469 2) 위험부담비용 구조의 결정 = 470 3) 금전적 가치 비교 = 476 3. 농지연금 2차 분석모형 및 분석결과 = 478 1) 기본모형의 설정 = 478 2) 순손해액 분석결과 = 478 3) 위험부담비용 구조와 결정 = 480 4) 금전적 가치의 평가 = 483 4. 농지연금 3차 분석모형 및 분석려과 = 484 1) 기본모형의 설정 = 484 2) 순손해액 분석려과 = 484 Ⅴ. 농지연금 기본모형의 선택 = 487 1. 종신형 농지연금 기본모형의 선택(안) = 487 1) 기본모형의 제시 = 487 2) 농지연금모형의 선택(안) = 488 3) 모형의 수정 및 최종모형의 선택 = 490 2. 기간형 농지연금모형에서의 월지급금 = 494 Ⅵ. 농지연금제도의 사후 리스크 관리 방향 = 495 1. 기초율 관리 = 495 1) 이자율 자료 = 495 2) 농지가격 자료 = 496 3) 대출생존확률과 대출종료확률 = 496 2. 농지연금 사후관리의 전문성 제고 = 496 <참고문헌> = 497 <부록> ※ 첨부 : 농지연금모형 엑셀프로그램 파일 [Ⅴ] 농지연금사업 브랜드 인지도 여론조사 보고서('10.12) = 501 제1장 조사 개요 Ⅰ. 조사의 목적 = 506 Ⅱ. 조사의 내용 = 506 Ⅲ. 조사의 설계 = 507 Ⅳ. 자료처리 및 분석 = 507 Ⅴ. 표본의 특성 = 508 제2장 조사 결과 요약 제3장 조사 결과 분석 1. 연금 대상자들의 노후준비 = 510 2. 노후준비를 위해 하는 것 = 511 3. 현재 노후준비에 대한 견해 = 512 4. 농지연금 인지도 = 513 5. 농지연금 인지경로 = 514 6. 농지연금에 대한 견해 = 515 7. 농지연금 가입의사 = 516 8. 가입하려는 이유 = 517 9. 가입하지 않으려는 이유 = 518 제4장 통계분석표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