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촌 활력론 = Rebuilding rural community 제Ⅰ장 한국 농촌의 어제와 오늘ㅣ박은병 1. 농촌의 정의, 기능 및 구성 = 015 1) 농촌의 정의 = 015 2) 농촌의 사회공간적 기능 = 019 3) 농촌의 구성과 내용 = 023 2. 농촌ㆍ농업여건의 국내ㆍ외 변화 = 026 1) 세계화에 따른 농업여건 = 026 2) 보호산업으로서의 정부개입 = 032 3) 농촌개발의 패러다임 = 034 4) 식량안보 = 037 3. 우리나라의 농촌의 현황과 문제 = 037 1) 농촌인구의 변화(인구감소, 고령화) = 037 2) 농가소득 = 039 3) 농업경쟁력 = 041 4) 영세농 = 042 5) 농촌지역의 환경문제 = 042 6) 농정추진의 한계 = 044 4. 한국 농업ㆍ농촌의 발전과정 = 045 1) 한국 농업ㆍ농촌의 위상 = 045 2) 한국 농업ㆍ농촌의 발전과정 = 048 5. 농촌의 발전방향과 농정의 패러다임 = 060 1) 농촌의 발전방향 = 060 2) 농정의 기조와 방향 = 066 제Ⅱ장 전환기의 농촌문화ㅣ황정임ㅣ 1. 농촌문화의 의미 구분 = 075 2. 전통적 농경사회의 농촌문화 = 077 3. 농촌발전을 위한 자원으로서의 농촌문화 = 081 4. 현재 농촌사회의 농촌문화 = 088 1) 농촌의 변화상 = 089 2) 농촌사회 변화와 농촌문화 = 098 5. 농촌문화의 미래상 = 100 제Ⅲ장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ㅣ소진광ㅣ 1. 근대화와 농촌 지역사회의 접근논리 = 107 1) 지역사회 개념과 유형 = 107 2) 산업사회와 지역사회의 붕괴 = 114 2. 농촌 지역사회의 새로운 발전척도로서의 사회적 자본 = 118 1) 지역사회 발전의 의미 = 118 2) 지역사회 발전척도로서의 사회적 자본 = 125 3.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축적전략 = 131 1) 농촌 지역사회발전과 사회적 자본의 연계성 = 131 2) 농촌 지역사회 발전 작동과정 = 136 3) 농촌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형성전략 = 139 제Ⅳ장 농촌마을 가꾸기ㅣ임경수ㅣ 1. 농촌마을 가꾸기의 대두배경 = 153 1) 농촌마을의 정주공간에 관한 논의 = 153 2) 국가공간정책과 농촌의 사회공간적 변화 = 155 2. 농촌마을 관련 개발사업의 전개과정 = 158 1)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 말까지 농촌개발정책 = 158 2) 197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= 160 3) 198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= 163 4) 1990년대의 농촌개발정책 = 165 5) 2000년 이후의 농촌개발정책 = 168 3. 농촌마을 가꾸기의 추진전략 = 177 1) 문제점 = 178 2) 추진전략 = 179 제Ⅴ장 마을차원에서 본 향토자원과 농촌활성화ㅣ권태호ㅣ 1. 서론: 농촌활성화의 새로운 접근 = 187 2. 방곡리: 현황과 활성화 여건 = 191 1) 입지와 현황 = 191 2) 활성화 여건분석 = 195 3. 향토자원: 분석과 평가 = 198 1) 향토자원의 의미와 분류 = 198 2) 사회자원 = 200 3) 자연자원 = 205 4) 역사ㆍ문화 및 경관자원 = 207 4. 활성화 노력: 방곡가마예술제, 곁골마을연구회, 도깨비체험잔치 및 녹색농촌체험마을 = 209 1) 방곡가마예술제 = 209 2) 곁골마을연구회 운영 = 211 3) 도깨비체험잔치 = 215 4)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= 218 5. 결론: 활성화 노력의 한계와 개선방향 = 220 1) 창조적 사고와 주민 역량강화 = 220 2) 신뢰구축과 상호이해 = 220 3) 시설의 통합적 운영ㆍ관리 = 221 4) 프로그램의 지속성 및 자립성 = 222 5) 전문인력의 확보 = 222 제Ⅵ장 농촌개발과 지역균형발전ㅣ임형백ㅣ 1. 서론 = 229 2. 한국 정부의 농업부문 지원 = 231 1) 역대 한국정부의 농업부문 지원 = 231 2) 주요 부처의 농촌개발 사업 = 231 3. 경제적 측면에서 한국농업의 현황과 전망 = 233 1)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의 감소 = 233 2) 농가부채의 증가 = 234 4. 인구적 측면에서 한국농촌의 현황과 전망 = 237 1) 한국 인구 이동의 특성 = 237 2) 한국농촌 인구의 전망 = 239 3) 지역불균형발전의 가속화 = 241 5.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농촌의 개발 방향 = 244 1) 농업확장주의의 탈피 = 244 2) '선택'과 '집중'을 통한 농업경영인의 육성 = 247 3) 틈새시장 구축과 시장차별화 = 250 4) 농업의 생산ㆍ가공ㆍ유통을 통한 식품산업화 = 252 6. 농촌을 낮은 인구밀도를 가진 자생력 있는 공간으로 재편 = 254 제Ⅶ장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의 특징ㅣ임형백ㅣ 1. 서론 = 267 2. 한국 도시지역의 다문화사회 = 269 1) 다문화사회의 원인: 단기거주노동자 = 269 2) 이민자집중거주지: 외국인에 대한 다문화 정책 = 275 3. 농촌지역의 다문화사회 = 278 1) 다문화사회의 원인: 결혼이민자 = 278 2) 배태된 순혈주의 = 281 4. 한국의 다문화사회의 정책 차별화 = 283 1) 도시지역: 외국인 정책과 다문화주의모형 = 283 2) 농촌지역: 내국인 정책과 동화모형 = 286 5. 결론 = 290 제Ⅷ장 한국의 복지농촌 건설전략ㅣ김태명ㅣ 1. 서론 = 301 2. 한국농촌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 = 302 1) 한국농촌의 현주소 = 302 2) 한국농촌의 미래 전망 = 305 3. 한국농촌의 당면 문제점 진단과 분석 = 307 1) 직업으로서의 농업 진단 = 307 2) 주거공간으로서의 농촌 진단 = 310 3) 주거공간 상품으로서의 농촌 진단 = 312 4. 한국의 복지농촌 건설 전략 모색 = 314 1) 자랑스런 직업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 = 314 2) 살맛 나는 주거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 = 318 3) 잘 팔리는 주거공간 상품 만들기 전략 = 323 5. 결론 = 324 찾아보기 = 327 Abstract = 3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