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韓國古代의 水田農業과 水利施設 도론 1. 한국고대의 수리시설과 농경에 대한 몇 가지 검토 / 노중국 = 11 1. 수리시설ㆍ저수지 자료 = 11 2. 금석문ㆍ목간에 보이는 水利시설ㆍ稻作 관련 용어 검토 = 19 3. 저수지 축조와 노동력 동원 = 28 4. 농경의례와 祭儀 神體 = 40 1장 - 자연환경과 농경 1.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성과 전통수리시설의 입지 / 박수진 = 51 1. 한반도의 지형발달 과정 = 52 2. 한반도의 지형체계 = 60 3. 수리시설의 입지와 지형과의 관계 = 72 2. 고대의 기후와 생태 / 공우석 = 89 1. 기후와 기후 변화 = 89 2. 과거 식생 = 90 3. 고기후 = 105 2장 - 마을의 형성과 수전농경 1. 掘立柱建物이 있는 청동기시대 聚落相 / 안재호 = 115 1. 한반도 水田農耕 開始期의 社會相 = 115 2. 掘立柱建物址를 가진 취락 = 121 3. 高床建物의 사회성 = 159 2. 한반도 농경의 시작과 도작의 수용 / 조현종 = 169 1. 한반도의 初期農耕 = 169 2. 도작의 기원과 수용 = 194 3. 要約 = 201 3. 도작문화의 정착과 확산 / 이흥종 = 206 1. 도작농경과 환경 = 206 2. 도작농경의 정착과 확산 = 211 3. 일본으로의 진출과정 = 217 3장 - 수리시설과 수리기술의 발달 1. 청동기시대∼초기철기시대의 수리시설 / 곽종철 = 231 1. 用水源 = 231 2. 集水시설 = 235 3. 水路 = 241 4. 저수지(제방) = 262 5. 하천제방 = 284 6. 防潮堤 = 298 7. 토성(나성)의 體城 = 309 2. 삼국 및 통일신라의 수리시설 / 전덕재 = 316 1. 삼국초기의 수리시설과 수전경영 = 316 2. 삼국 중ㆍ후반기 堤堰의 축조와 수전의 확대 = 320 3. 통일신라 수리관개기술과 수전농업의 발달 = 328 3. 동아시아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발달과 확산 / 성정용 = 340 1. 한국 수리 토목기술의 양상 = 341 2. 中國과 日本의 고대 수리토목시설 = 349 3. 고대 수리토목기술의 확산과정과 그 의의 = 356 4장 - 농업기술의 발전과 농경의례 1. 토지활용방식을 통해 본 한국고대 농업기술의 발전과정 / 이현혜 = 365 1. 농업기술의 발달과 토지활용방식의 변화 = 365 2. 신석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= 366 3. 청동기시대의 토지활용방식 = 371 4. 삼국시대 휴한농업의 확립 = 381 5. 통일신라시대의 토지활용방식 = 387 2.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 지역성 / 김재홍 = 394 1. 농기구의 종류와 기능 = 394 2. 철제 농기구의 발전과정 = 402 3. 철제 농기구의 지역성 = 411 4. 철제 농기구와 수리시설의 발전 = 416 3. 한국고대의 농경의례와 그 변화 / 주보돈 = 423 1. 농경의례의 의미 = 423 2. 國家形性期의 농경의례 = 425 3. 初期國家의 成立과 농경의례 = 432 4. 貴族國家의 祭祀와 농경의례 = 444 부록 1. 각 지역의 경작 유구 / 안재호 = 459 2. 시대별ㆍ지역별 각종 수리시설 / 곽종철 = 494 찾아보기 = 54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