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어촌용수 환경관리에 관한 연구. Ⅱ 제1장 서론 = 24 제2장 유역의 수문 분석 = 30 2.1. 유역의 현황조사 = 32 2.1.1. 지형 = 32 2.1.2. 토지 이용 = 35 2.1.3. 토양 = 35 2.1.4. 하천의 수리적 특성 = 35 2.2. 하천 유출량 및 기상자료 조사 = 39 2.2.1. 유출량 측정자료 = 39 2.2.2. 기상 자료 = 44 2.3. 유역수문모형의 선정 및 적용 = 44 2.3.1. USDAHL-74/SNUA 모형의 내용 = 44 2.3.2. 모형의 입력파라메타 결정 = 48 2.3.3. 모형의 보정 및 검증 = 56 2.4. 유역수문모형에 의한 유출해석 = 59 2.4.1. 전체유역에 대한 유출해석 = 59 2.4.2. 소유역별 유출해석 = 61 2.5. 유역의 용배수 계통조사 = 67 2.6. 요약 및 결론 = 68 제3장 오염부하량의 산정 = 70 3.1. 오염물질의 발생 및 배출 = 72 3.1.1. 오염부하 발생원의 정의 = 72 3.1.2. 원단위 = 74 3.2. 오염부하계산 모형의 개발 = 75 3.2.1. 모형의 필요성 = 75 3.2.2. 모형의 기본개념 = 76 3.2.3. 모형의 구조 = 79 3.2.4. 모형의 입·출력 자료 = 87 3.3. 오염원 현황 = 87 3.3.1. 인구추이 및 예측 = 87 3.3.2. 축산현황 = 90 3.3.3. 토지이용 특성 = 91 3.3.4. 사업소 현황 = 91 3.4. 유역의 오염부하량 = 94 3.4.1. 오염발생부하량 = 94 3.4.2. 오염배출부하량 = 101 3.4.3. 기여율 = 109 3.5. 오염부하 유달특성 = 110 3.6. 요약 및 결론 = 114 제4장 수질 및 저질 조사 = 116 4.1. 조사방법 = 118 4.1.1. 조사지점 = 118 4.1.2. 조사시기 = 119 4.1.3. 수질조사방법 = 119 4.1.4. 저질조사 방법 = 120 4.2. 수질특성 = 120 4.2.1. 하천수 수질조사 결과 = 120 4.2.2. 지하수 및 저수지의 수질조사결과 = 130 4.2.3. 저질 조사결과 = 131 4.3. 요약 및 결론 = 135 제5장 수질예측기법의 확립 = 136 5.1. 수질관리모형 개발의 배경= 138 5.2. 하천수질 예측모형 = 139 5.2.1. 기본이론 = 139 5.2.2. QUAL2E 프로그램의 설명 = 143 5.2.3. QUAL2E 모형의 수계모식화 = 145 5.3. QUAL2E 모형의 보정 및 검증 = 146 5.3.1. 복하천 수계의 모식화 = 146 5.3.2. 모형의 보정 = 148 5.3.3. 모형의 검증 = 155 5.4. 수질관리 모형의 구축 = 161 5.4.1. 모형의 구성 = 161 5.4.2. 지천의 수질 = 163 5.4.3. 본류의 수질 = 167 5.5. 요약 및 결론 = 170 제6장 농어촌에 적합한 하폐수처리 시스템 = 172 6.1. 농촌에서의 수환경보전의 특징 = 174 6.1.1. 현존 생태계의 적극적 활용 = 174 6.1.2. 기존 용수관리 조직을 이용한 수질관리 시스템 = 175 6.1.3. 실행성이 있는 단계적 환경보전 = 175 6.2. 하폐수처리시스템의 종류와 특성 = 176 6.2.1. 농촌 하폐수 정비 시스템 = 179 6.2.2. 각 처리시설의 특성 = 185 6.3. 복하천의 수질목표 = 202 6.3.1. 목표수질의 구비조건 = 202 6.3.2. 수질목표 대안 = 204 6.4. 복하천 유역에 적합한 하폐수처리 시스템의 제안 = 204 6.5. 요약 및 결론 = 208 제7장 생활용수 및 축산용수의 정수 = 210 7.1. 용수별 이용현황 = 212 7.1.1. 이용량 = 212 7.1.2. 음용수 및 축산용수 목표수질 = 212 7.1.3. 대상유역의 수원별 수질현황 = 213 7.2. 용수의 정수방안 = 213 7.2.1. 지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= 216 7.2.2. 지하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= 219 7.2.3. 연구대상 지역의 정수방안 = 220 7.3. 요약 및 결론 = 229 참고문헌 = 240 부록 = 25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