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업·식품고전과 농정고사 1장. 조선시대의 농업기술고전 농서(農書)는 언제부터 이용하였나? = 12 우리나라 농서는 언제부터 편찬되었나? = 16 우리 농서(農書)는 어떤 사회계층이 썼나? = 21 우리 농서(農書), 어떤 문체(文體)로 쓰였나? = 25 최초의 한국 농서, 농사직설(農事直設)의 내용 = 30 15세기의 온실을 밝힌 산가요록(山家要錄) = 34 15세기의 화훼기술, 양화소록(養花小錄) = 38 15세기의 품종해설, 금양잡록(衿陽雜錄) = 42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(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) = 46 건답육모기술을 밝힌 위빈명농기(渭濱明農記) = 52 춘화(春化)처리를 밝힌 농가월령(農家月令) = 56 논보리 재배법을 밝힌 허균(許筠)의 한정록(閑情錄) = 60 농사직설을 증보한 농가집성(農家集成) = 65 덧거름 시용을 처음으로 밝힌 색경(穡經) = 70 체계적인 종합농서, 산림경제(山林經濟) = 74 고구마 재배에 관한 여러 옛 농서(農書) = 79 박지원(朴趾源)의 과농소초(課農小抄) = 83 정학유(丁學遊)의 농가월령가(農家月令歌) = 87 이기원(李基遠)의 농가월령((農家月令) = 93 최초로 서양농학이 수록된 농정신편(農政新編) = 97 개화기 한국농서의 특징 = 102 굶주림과 구황서(救荒書) = 108 가장 오래된 수의서(獸醫書), 신편집성마의방(新編集成馬醫方) = 117 잠서(蠶書) 구백년의 역사와 특징 = 123 2장. 조선시대의 농정고사 조선시대의 권농(勸農), 무엇이 있었나? = 128 적전(籍田)이란 무엇인가? = 133 조선시대의 농정제도(農政制度)와 기술직 = 138 조선조의 농정은 제사농정(祭祀農政)인가? = 142 조선시대의 농업교육 = 146 조선시대, 새로운 품종 어떻게 육성하였나? = 155 조선시대의 분뇨(糞尿) 시비기술 = 160 17세기 신농업기술을 생각한다 = 166 조선조의 감초(甘草)재배 시험 = 173 역대 임금을 울린 조선조의 우역(牛疫) = 177 조선시대의 농업기상 관측과 흙비(土雨) = 181 사형(死刑)으로 다스린 조선조의 산불방지 = 185 정조(正祖)의 농정치적(治績) = 189 순무와 무에 얽힌 사회(史話) = 194 1884년에 발족한 우리나라 최초의 농사시험장 = 199 옛 농서(農書)에 기록된 낙원(樂園) 사상 = 209 원예의 명산지와 외국인 = 214 개화기 농정(農書)과 김가진(金嘉鎭) = 219 강정택(姜鋌澤)과 농지개혁 = 224 한말(韓末) 개화파 인사들의 구미(毆美) 농업기술 도입 = 229 사라져가는 농경(農耕)의 세시풍속(歲時風俗) = 238 3장. 조선시대의 식품고전 가장 오래된 식품서 산가요록(山家要錄) = 244 식이(食餌)요법에 관한 최초의 고전, 식료찬요(食療餐要) = 250 사시찬요초(四時餐要秒)의 여러 식품 = 256 김수(金授)의 수운잡방(需雲雜方) = 262 허균(許筠)의 도문대작(屠文大嚼) = 267 색경(穡經)의 수문보록(隨聞補錄) = 273 석계부인(石係夫人) 장씨의 음식디미방(飮食知味方) = 278 산림경제(山林經濟)의 치선(治繕)편 = 283 증보산림경제(增補山林經濟)의 식품부문 = 289 고사신서(攷事新書)와 고사십이집(攷事十二集)의 식품 = 295 해동농서(海東農書)의 치선(治饍)편 = 300 규합총서(閨閤叢書)의 식품 = 306 하생원(河生員)의 종합식품서 주방문(酒方文) = 312 임원십육지(林園十六志)의 식품[鼎俎志, 정조지] = 317 저자와 연대 미상의 여러 식품서(食品書) = 322 방신영(方信榮)의 요리제법 = 327 4장. 조선시대의 식품고사 장원서(掌苑署)와 과일진상에 얽힌 고사(故事) = 334 송이를 즐긴 연산군(戀山君) = 338 왕조실록상의 감귤 = 342 성씨(姓氏)의 혼란, 사회적 혼란 = 346 농업고전(古典)과 미로(迷路)인생 = 349 |